렌더링(rendering)
- HTML, CSS, JavaScript 등 개발자가 작성한 문서가 브라우저에서 출력되는 과정.
- 현존하는 브라우저는 기본적으로 렌더링을 수행하는 렌더링 엔진을 가지고 있다. (각자 전용 렌더링 엔진을 가지고 있다)
[1. 웹사이트 접속]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통해 웹 사이트에 접속한다.[2. 리소스 다운로드]
브라우저는 서버로부터 HTML, CSS, JavaScript와 같은 웹사이트에 필요한 리소스를 다운 받는다.[3. HTML 문서 파싱해 DOM 트리 만들기]
렌더링 엔진은 전달받은 HTML 문서를 파싱(parsing)해 DOM 트리를 만든다.[4. 스타일 코드 파싱해 CSSOM 트리 만들기]
이어서 다운 받은 외부 CSS 파일과 함께 포함된 스타일 요소를 파싱(parsing)해 CSSOM 트리를 만든다.[5. Render 트리 만들기]
만든 DOM 트리와 CSSOM 트리를 결합해 Render 트리를 구축한다.[6. 레이아웃]
레이아웃 과정을 통해 각 요소를 어디에 배치할 지 결정한다.[7. 페인팅]
레이아웃 과정이 끝나면 UI 백엔드에서 Render 트리를 화면에 그리기 시작한다. 이 과정을 페인팅(paint)라고 한다.
1) 브라우저는 HTML 문서를 받아들자마자 DOM 트리로 파싱한다.
(이 과정에서 HTML 토큰이 만들어지는데, 이 토큰에는 시작 태그와 마침 태그가 포함되고, 속성 이름과 값도 포함된다. 토큰으로 변한 입력 값은 파서에 의해 노드가 되고, 최종적으로 트리 구조의 DOM으로 구성된다.)2) 브라우저는 HTML 문서를 파싱하면서 CSS스타일을 만날 경우 텍스트를 CSS 스타일링 레이아웃과 페인팅에 사용하는 데이터 구조인 CSSOM 트리로 파싱하고,
<script>
태그를 만날 경우 렌더링을 차단하면서 HTML 파싱 또한 중단한다. 이어 script 파일을 다운 받아 파싱하고 실행시킨 뒤 다시 HTML 파일을 파싱하기 시작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link rel="stylesheet" href="code.css"> <title>코드스테이츠</title> </head> <body> <h1>Section4</h1> <p>Unit1은 <span>HTML</span>과 <span>CSS</span> 심화다.</p> <section>어렵지 않아요!</section> </body> </html>
HTML 파일을 DOM 트리로 변환
<link>
, <style>
태그를 만나게 되면 파싱을 잠시 멈추고 해당 리소스 파일을 서버로 요청한다.
CSS 속성 상속의 예
body
가 부모 요소이고font-size
가 16px인 속성을 가지고 있을 때, 그 자식 요소인p
는 부모 요소인body
가 갖고 있던 속성을 상속 받으면서 동시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속성인font-weight
속성까지 가진다.
(2개의 속성을 가지는 것)
DOM 트리와 CSSOM 트리는 트리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슷하게 생겼지만, 애초에 리소스부터 틀린 서로 다른 속성을 가진 독립적인 트리이다. 그렇기 때문에 브라우저 위에 웹사이트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이 둘을 합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meta>
나 CSSOM 트리의 display:none
과 같이 사용자에게 보여주지 않아도 되거나, 보여주지 말아야 할 태그나 요소는 렌더 트리에서 제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