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 Functional Product Team (목적 조직팀)

- 기능조직과 비교하여 특정 목적을 이루기 위해 모든 인원이 하나의 팀으로 구성
자기완결성
하나의 팀에서 모든 목적(MVP 만들기 등)을 해결할 수 있어야 함
- 다양한 팀원이 하나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일함 ⇨ 시너지 발휘
- 기획 속도, 완성도 떨어지더라도 빠른소통/진행 ⇨ 애자일 하게 일할 수 있는 방법
Product Team = PDG + Tech Team
PDG(Product Design Group) = PO(Product & PDG Leader) / PM / Product Designer
Tech Team = TL (Tech Leader) / Backend & Frontend Developer
시장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Cross Functional 조직은 생동감있고 , 빠르게 시장에 대처 가능한 조직 구성이다
서비스 기획 직무(PO,PM)이 개발자와 디자이너와 효과적으로 협업하는 방법
협업능력
- 개발자와 디자이너의 업무 방식을 존중하고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돕는다
- 개발자와 디차이너가 절차상 필요한 존재라고 치부하지 않고, 중요한 파트너로 대한다
-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제대로 일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준다
- 프로젝트 초반부터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참여하도록 독려한다
- 전문가에게 권한을 위임할 줄 안다
커뮤니케이션
- 흠잡을 데 없이 정리가 잘 되었고, 커뮤니케이션이 일관적이고 명확하다
- 팀원의 의견을 경청하고, 다양한 의견을 취합하여 실행 방안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
- 최대한 많은 정보를 자주 공유한다 (오버커뮤니케이션 > 언더커뮤니케이션)
-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팀원들이이 지금 무엇을 하고 있고,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하는지 계속해서 명확하게 한다
업무 범위 및 리스크 관리
- 중요한 것에 집중한다
- 무자비할 정도로 불필요한 것을 걸러낸다
- 업무 범위 조정과 실험을 통해서 리스크를 관리한다
의사결정 능력
- 사용자와 비즈니스 결과를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일관적이고 투명한 결정을 내린다
- 자신의 자존심이나 명성을 위한 결정이 아니라 소비자, 비즈니스, 팀을 위한 결정을 한다
- 데이터에 기반한 결정을 내릴 줄 안다
업무 지식
- 계랑/정성적 리서치 방법에 대해 깊이 이해한다
- 제품에 대한 결정과 기술적인 결정을 구분해서 이해할 수 있다
- 어떤 결정을 내릴 때 기술적으로 무엇을 의미하고 오래 걸릴지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 데이터를 제대로 사용할 줄 알고, 데이터를 이해하는 사람과 협업할 수 있다
- 최소한의 개발/디자인 지식을 보유하고 있다
목표와 비전 설정
- "왜" 이 일을 해야하는지 그 비전과 목표를 제대로 설명할 수 있다.
- 지속해서 사용자, 경쟁사, 시장 조사를 하고 이를 제품에 반영한다.
- 해결책보다는 문제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더 깊이 고민한다.
회사 생활
- 경영진에게서 오는 압박을 잘 수용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면 업무를 해야하는지 알고있다
- 제품을 더 좋게 만들기 위해서 회사 경영진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 회사 문제로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힘들어하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태도/자세
- 피드백을 사적인 감정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 자기 아이디어와 사랑에 빠지지 않는다
- 미팅에 빠지지 않는다.
- 팀원이 답변을 요구하면, 제때 답변을 가저온다
🐣 오늘자 일기

위 기준을 바탕으로 좋은 PM이 되도록 노력해야겠다.
미래에 디자이너와 개발자와 사이좋은 그런 PM! 밥 같이 먹고 싶어하는 PM이 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