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블로그에서 정리해준 실기 기출문제를 풀어보자
20년 1회 14번
switch문에서 break가 없으면 default까지 쭉쭉 실행
20년 1회 20번
align() : 버블 정렬 코드
main에서 실행 후 a[0]부터 a[4]까지 출력
20년 3회 10번
넘쉬워서 딱히 할말이.. 200+30+4
20년 4회 10번
char * : 문자열 포인터, 문자열을 배열로 저장
위와 같이 p는 문자열의 시작 주소를 갖고, 값을 참조할 때와 달리 변수에 주소를 치환하지 않음.
문제에서 printf 안의 변수 p -> char형 포인터를 이용하여 배열(문자열) s의 내용을 참조한다.
21년 1회 15번
포인터 배열 선언 시 첫번째 값에 첫 주소 할당되는거만 알면 되는 문제
21년 2회 16번
easy.. / 2의 10승
21년 2회 18번
easy.. / 1 + 3 + 4 = 8
21년 3회 12번
**arr: arr의 값의 값 (이중포인터?) -> arr 첫번째 주소의 값 -> 12
21년 3회 17번
쉬운 문제
22년 1회 12번 / 5 입력시 출력은?
scanf -> call-by-reference, 정수 입력시 주소를 참조해야 하므로 &을 이용해 주소를 받음. 문자열은 문자열이 이미 주소이므로 &을 안써도 괜찮음.
22년 1회 15번
정수연산 나머지연산자: %, 몫: /
22년 2회 8번
쉬운 문제
22년 2회 15번
문자열 배열에서 \0(NULL) 뺀 길이 더하기
참고로 strlen도 \0 뺀 길이를 반환함.
22년 2회 16번
그냥 함수 해석하면 되는 문제
22년 3회
field[j][i] 주변의(-1~1) 값이 0보다 큰 칸의 개수를 (1일 경우) mines[j][i]에 적음. 즉 지뢰찾기.
22년 3회 13번
n/2보다 작은 n의 약수의 합이 n과 같은 경우의 개수 구하는 문제
일일이 다 파악해봐야 함... 이런건 그냥 시간 남으면 푸는 수밖에 없음
23년 1회 2번
*p 포인터 변수 -> %c , p 문자열 저장 변수 -> %s
*p *(p+1) *(p+2) -> 각각 가리키는 주소의 값,
(*p)+1 -> 가리키는 값의 ASCII코드 다음값
23년 1회 8번
a의 값이 b에 있는지 검사 -> 있으면 출력
23년 1회 10번
2진수 10으로 나눈 나머지를 2의 승수로 곱해서 10진수로 변경
23년 1회 14번
뭔가 센스로도 풀 수 있는 문제
23년 2회 1번
이렇게 해야되는구나... n[(n+1)%5]
23년 2회 2번
정수나누기 몫 (/) 나머지(%)
23년 2회 3번
문제 보고 순서대로 출력하는걸 냈을까? 라고 생각해야됨
문자열 주소로 입력받으면 마지막에 받는 값으로 계속 갱신 -> 마지막 값 3개 출력
23년 2회 5번
쉬운 문제
23년 2회 7번
쉬운 문제
23년 2회 9번
포인터 움직이면서 값 입력 출력하는 문제... 시간 있으면 풀고 아님 포기해야 될듯
23년 2회 18번
쉬운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