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모두의 네트워크: #3 물리계층: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오예찬·2023년 7월 17일
0

모두의 네트워크

목록 보기
3/5

물리계층: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이 장의 목표

  • 전기 신호를 이해한다.
  • 랜 케이블을 이해한다.
  • 리피터를 이해한다.
  • 허브를 이해한다.

물리 계층의 역할과 랜 카드의 구조


출처:https://cdn.shopify.com/s/files/1/2476/2680/files/Picture1.png?v=1569419479

  • 전기 신호에는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가 있다.
  • 아날로그 신호는 전화 회선이나 라디오 방송에 사용되는 신호다.
  • 네트워크를 통해 상대방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 0과 1의 비트열은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된다. 상대방이 받은 전기 신호는 다시 0과 1의 비트열로 복원된다.

케이블의 종류와 구조

  •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에는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과 STP(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이 있다.

  • UTP 케이블은 실드로 보호되어 있지 않아 노이즈의 영향을 쉽게 받는다.

  • STP 케이블은 실드로 보호되어 있어 노이즈의 영향을 매우 적게 받는다.

  •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랜 케이블이라고 부른다.

  • 랜 케이블은 통신 규격에 따라 몇 가지 분류로 나눌 수 있다.

  • 랜 케이블의 양쪽 끝에는 RJ-45라는 커넥터가 있다.

    출처: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no=2875

  • 랜케이블에는 다이렉트 케이블과 크로스 케이블이있다.

리피터와 허브의 구조


출처:https://afrozahmad.com/wp-content/uploads/2022/01/Ethernet-Switch-vs-Hub-vs-Router.png?ezimgfmt=rs%3Adevice%2Frscb1-1

  • 리피터(repeater)는 네트워크를 중계하기 위한 장비다.
  • 허브는 리피터 허브라도고 부른다.
  • 허브는 전기 신호를 정형하고 증폭하는 기능을 한다.
  • 리피터와 허브는 받은 데이터를 보내는 대상뿐만 아니라 모든 포트에 전송한다.
  • 허브는 스스로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더미 허브'라고도 부른다.

참고

모두의 네트워크_미즈구치 카츠야 지음_이승룡 옮김

profile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