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하기 위한 규칙을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불어를 못하는 한국인과 한국어를 못하는 프랑스인이라면 영어로 대화한다는 규칙을 정해서 대화할 수 있다.
편지를 배송하기 위해서는 편지를 쓸 때부터 상대방에게 도착할 때까지 지켜야 하는 독립적인 여러 규칙을 거쳐야 한다.
ISO(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OSI 모델을 제정했다.
OSI 모델은 7계층으로 위에서부터 응용 계층, 표현 계층, 세션 계층, 전송 계층, 네트워크 계층, 물리 계층이 있다.
각 계층은 독립적이어서 데이터가 전달되는 동안에 다른 계층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현재는 TCP/IP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OSI 모델은 7계층이지만 TCP/IP 모델은 4계층이다. 위에서부터 응용 계층, 전송 계층, 인터넷 계층, 네트워크 접속 계층이 있다.
사진 출처: 채채씨의 학습 기록
데이터를 보낼 때는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에 추가해야 하는데 이 정보를 헤더라고 한다.
데이터를 상대방에게 보낼 때 각 계층에서 헤더(데이터 링크 계층의 트레일러도 포함)를 붙여 나가는 것을 캡슐화라고 한다.
데이터를 수신할 때 각 계층에서 헤더(데이터 링크 계층의 트레일러도 포함)를 제거해 나가는 것을 역캡슐화라고 한다.
OSI 모델에서 데이터 송신 측은 응용 계층 -> 전송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순서로 캡슐화한다. 반대로 수신 측은 데이터 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전송 계층 -> 응용 계층 순서로 역캡슐화 한다.
송신 측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만들어진 데이터가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수신 측에 전송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