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데이터 분석 스터디 2회차 화상회의를 마쳤다.
원래 매 주 일요일 19시에 회의 시작하기로 했었지만 저번 주에 팀원의 사정이 생겨서 한 주 건너띄었다.
각자 생각한 주제를 토대로 알아볼 수 있는 것들 알아보기로 했다.
내가 생각한 주제는
- 평택시 교통약자를 위한 무료셔틀버스 노선
시에서 교통약자를 위한 정책들을 알아보았다. 그 곳에 교통약자를 위한 무료 셔틀 버스 운행건은 없었다..
하.지.만 !
교통약자를 위한 콜택시 운영을 하고 있었고 관련 사업은 평택도시공사에서 진행하고 있었다.
그래서 무작정 전화를 해서 관련 데이터들을 받을 수 있는지 물어보았고 정보공개시스템 체계때문에 바로 받을 수는 없고 "정보공개포털" 사이트를 이용해서 청구 할 수 있다 고 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Dooray 에 올려놓았다.
내가 조사해 본 주제와 ㅈㅎ 이 알아본 주제로 회의 내용이 이어졌다.
ㅈㅎ 이 가져온 주제는 내가 생각한 주제보다 세부화 된 건 아니었지만 조금 더 끌렸다. 왜냐하면 공모전에 참여하자 는 주제였기 때문이다.
산림을 국민 복리 증진에 적극 활용하기 위해서 도입 된 새로운 정책적 개념
협의의 ‘산림복지’
산림 을 기반으로 산림문화ㆍ휴양, 산림치유 및 교육 등의 서비스를 창출ㆍ제공함 으로써 국민의 복리 증진에 기여하기 위한 경제적ㆍ사회적ㆍ정서적 지원과 관련된 활동
출생부터 사망까지 전 생애주기에 걸쳐 숲을 통해 숲태교, 유아숲체험, 산악레포츠, 산림치유 등 다양한 혜택을 국민들에게 제공
광의의 ‘산림복지’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을 기반으로 국민의 안녕과 복리 증진을 위해 산림의 직ㆍ간접적 편익을 창출ㆍ수급하는 활동
조림ㆍ숲가꾸기를 통해 맑은 물 공급, 대기 정화 등 산림의 공익적 편익 증진
계산을 해보니 제출까지 대략 8주의 시간이있었다. 세부 스케쥴은 아니지만 대략적으로 정해보았다.
주제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아마도 시계열분석이나 회귀분석으로 가지 않을까 싶다. ( 미정 )
내용을 잊어먹거나 놓칠 수도 있을 것 같아 녹화도 같이 진행하였다. 녹화본은 녹화 종료하고 바로 메일로 받을 수는 없고 회의가 종료되면 두레이 메일로 받게된다.
두가지 버젼으로 오게 되는데
한개는 녹화본, 다른 한개는 녹음본이다.
산림복지 관련해서 다시 한번 세부 주제를 정해야한다.
아이디어 공모전은 말 그대로 아이디어 공모전 일 뿐 일반 공모전에 비해 조금 작은 개념이라고 한다. 하지만 초기 데이터 분석에 있어 확실한 개념과 기준을 잡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