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코딩책과 함께 보는 소프트웨어 개념사전> (1)

권슬기·2023년 6월 9일
0

IT 도서 추천

목록 보기
1/2

별점 : ⭐⭐⭐⭐
출판연도 : 2019년
추천자 : 컴퓨터 전공에 관심이 있는 중,고등학생 / 비전공 개발자
줄거리 : 쉬운 글로 풀어진 컴퓨터 입문서


<주요 내용>
리눅스 : 컴퓨터를 통솔하는 소프트웨어. 무료로 제공되는 '공개 소프트웨어'이다. 소스코드를 공개하는 것은 기업의 기술력을 공개하는 것과 마찬가지라서 대부분의 기업들은 소스코드를 공개하지 않는다. 하지만 리처드 스톨만은 사용자들에게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자유와 통제권을 줘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유닉스 운영체제의 설계에 기반을 두고 리눅스를 개발한다. 하지만 핵심 소프트웨어인 '커널'은 완성이 못 되어 미완성된 커널로 세상에 공개 되었다. 그 때 핀란드 대학생 리누스 토발즈의 노력으로 완성된 커널이 1992년에 선보이게 된다. 그래서 운영체제가 리눅스가 되었다. 리눅스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자유 권리'를 법적으로 보장해주었고 지금 우리가 소프트웨어를 마음껏 사용할 수 있는 자유를 선물해주었다. 무료이자 자유인 것이다. 한 대학생의 노력으로 시작된 리눅스 커널은 전 세계 개발자들에 의해 지금까지 개선되어 안정성 있는 운영체제로 발전했다. 서버 분야에서 리눅스는 유닉스와 윈도우 대안으로 자리 잡았다. 두 운영체제는 고가의 상용 소프트웨어인지라 기업들에게 부담이 있다.

요청과 응답 : 인터넷은 '사이의(inter)'와 '네트워크(net)'라는 말이 결합된 단어로 네트워크와 네크워크 사이를 이어주는 기술을 말한다. 거미줄처럼 복잡한 인터넷을 보통 구름(클라우드)모양의 아이콘으로 표현한다. 내가 만든 영상이 유뷰트 서버에 올라가있다. 누군가 내가 만든 동영상을 조회한다는 것은 요청이 서버에 도착하는 것이다. 서버는 이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기록을 뒤진다. 서버에게 요청하는 유튜브 앱이 바로 클라이언트 역할이다.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무엇을 요청(request)하고 서버가 이 요청에 대한 응답(response)을 보내주기 때문에 이 둘은 요청과 응답의 관계를 가진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 인터넷 공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와 서비스를 받는 컴퓨터가 있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웹서버, 데이터베이스)를 서버라고 한다. 서비스를 받는 컴퓨터(폰, 컴퓨터)를 고객이라는 의미로 클라이언트라고 한다. 서버는 많은 임무를 하기 때문에 능력이 출중한 컴퓨터를 쓴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무엇인가를 요청할 때 웹브라우저를 이용한다.

웹브라우저: 웹페이지 보여주는 클라이언트용 소프트웨어. 우리가 사용하는 네이버, 다음 같은 웹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도록 웹브라우저에는 주소를 입력할 수 있는 부분이 맨 윗줄에 있습니다.

profile
병아리 프론트엔드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