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는 기본형과 참조형이있으며 기본형은 실제 값을 저장하고, 참조형은 값이 저장되는 주소를 값으로 갖는다.
참조형의 경우 아직은 이해하기 어려우니 간다하고 이해가 쉬운 기본형을 먼저 공부하는 것이 좋다.
기본형에 저장되는 값(data)의 종류(type)는 크게 문자와 숫자로 나눠지면
숫자는 정수와 실수로 나눌 수 있다.
종류로는
논리형 : boolean
문자형 : char
정수형 : byte, short, int, long
실수형 : float, double
boolean yes = true; // 논리형 boolean은 true와 flase값을 갖는다
char E = '이'; // 문자형 char는 하나의 문자만 저장할 수 있다.
// 숫자 타입은 각 타입마다 저장할수 있는 데이터 크기가 저장되어있다.
byte b = 1; // -128 ~ -127
short s = 2; // -32,768 ~ 32,767
int i = 4; // -2,147,483,648 ~ 2,147,483,647
double d = 8; //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float f = 4.0f; // 값저장시 f필요 / (3.4 X 10-38) ~ (3.4 X 1038)
double db = 8.0; // (1.7 X 10-308) ~ (1.7 X 10308)
따라서 변수타입은 저장하려는 값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장 알맞은 타입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