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란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한다.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선 변수를 선언해야하는데 선언 방법은 다음과 같다.
int A;
여기서 int는 정수형 데이터 타입이며 A는 변수명을 의미한다
즉 변수를 선언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타입으로 어떠한 이름으로 만들지 정해야한다.
이렇게 선언된 변수는 초기화 또는 값을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t A;
A = 10;
int B = 20;
현재 A에는 10이라는 정수가 저장된 상태이며 선언과 저장을 따로하였다.
변수 저장에는 = 이라는 대입연산자를 사용하며 이는 오른쪽의 값을 왼쪽(변수)에 저장하라는 의미이다.
B의 경우 변수 선언과 저장을 같이하였다.
변수를 사용하기 전에 값을 저장하는 것을 변수의"초기화"라고 한다.
int A, B;
두 변수는 같은 int형 데이터타입을 가지고 있음으로 ,를 이용해 동시에 선언 할 수 있다.```
int A, B;
A = 10;
B = 20;
int C = A + B;
System.out.println(C);
실행창
30
저장된 변수들을 사용해 새로 선언한 C에 A와 B를 더한 값을 저장한 후
C를 출력하여 30이라는 정수를 출력받았다.
변수명은 규칙이있다.
1.대소문자가 구분되며 길이에 제한이 없다.
2.예약어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3.숫자로 시작해서는 안된다.
4.특수문자는 '_'와 $만을 허용한다
package study;
public class variab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대소문자가 다르기때문에
int a; // 서로 다른 변수
int package; // 맨위 study 옆에 사용하는 package는 예약어의 하나로 변수명으로 사용불가능하다.
int Package; // P가 대문자이기 때문에 package와는 다른 변수명으로 인정된다.
int top10;
int 10top; // 숫자가 먼저와서는 안된다.
int $and_or; // 사용가능한 특수문자 $ _ 이기 때문에 가능
int and^; // 그외에 특수문자는 불가능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