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부트캠프로 k8s를 접하고 k8s를 다루는 엔지니어가 되고 1년 6개월이란 시간이 지났습니다. 지난 1년 반동안 제가 배우고 경험했던 내용들을 증명하고 싶어 CKA 시험을 치루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그에 대한 서사...⭐
Udemy CKA
k8s를 접해보셨다면 다들 들어보셨을 '그 분'의 강의로 시험 준비를 하였습니다.
cka같은 실습 시험의 경우 시험 환경 준비가 상당히 번거로운데 해당 강의는 실습환경도 제공되어 만족스러운 강의였습니다. ( 이 모든게 udemy 할인가 19,000원 ❗)
kodekloud
실습은 위에 인강에서 제공되는 환경에서 진행하였습니다. 인강을 듣고 해당 파트에 대한 실습을 진행하는 형식으로 공부하였습니다. 인강이 완료되고 난 후에는 실습 환경을 리셋하고 반복해서 문제를 풀어 생소하던 k8s 명령어를 익혔습니다.
10월 3일에 시험을 보려고 마음 먹었었는데 10월 2일에 신청을 했을 정도로 일정 잡는 것에 대한 부담은 없습니다. 온라인으로 시험을 보기 때문인지 한국시간에 맞춰 새벽, 낮, 저녁 모두 시간대가 여유가 있었습니다. 시험 일정을 잡을 때는 Timezone이 Asia/Seoul인지 확인하도록 합니다.
시험 시간 30분 전부터 시험 환경에 접속을 할 수 있습니다.
접속 전, chrome, ultraviewer같은 프로세스는 종료해야 접속을 할 수 있습니다.
환경에 접속하게 되면, 감독관과 연결이 되고 감독관은 시험을 치루는 방, 책상 아래, 책상을 볼 수 있도록 요청합니다.
시험도중 간단하게 물 마시는 것은 허가 되어 만약 필요하다면 보여달라고 요청합니다.
시험 전부터 워낙 악명이 높은 환경입니다.
시험 접수를 하게 되면 2번의 실습 환경 체험 및 모의고사 기회가 주어집니다.
저는 간단하게 환경만 보고 나와서 잘 모르지만 모의고사는 실제 시험보다 2-3배 어렵다고 합니다.
간단하게 테스트 해봐서 그런지 크게 낯설지는 않았습니다.
문제는 총 17문제이며, 각 문항마다 배점이 공개 되어있습니다.
시험 중 k8s docs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discuss는 안 됩니다. 주의하세요 ❗
docs⭕ ex)
discuss❌ ex )
제공하는 context를 설정하고 문제를 푸는 것이 중요합니다❗❗
kubectl config use-context ~~ # 제공되는 내용 복사 붙여넣기 하시면 됩니다.
환경에 적응이 빨리 되서 그런지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었습니다. 문제 한 번 풀고, 검토까지 하고 나니 30분정도 남아서 감독관한테 말하고 종료하였습니다.
합격 컷은 66점이며 저는 85점으로 합격하였습니다. 만점.. 받고 싶었는데..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문제마다 부분점수가 있으니 시험 시, 잘 모르는 내용이 있더라도 docs를 보시면서 최선을 다해 푸시는 걸 권장드립니다.
재시험 기회도 있고, 난이도 자체는 어렵지 않으니.. k8s를 접하신 분들이라면 한 번쯤 도전해보시는거 추천드립니❗( 접수비가 50만원이 넘는게 함정)
취득 축하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