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로 웹페이지를 만드는데 사용하는 언어이다.
브라우저를 통해 보는 페이지는 모두 html로 작성되어 있다.
html을 시작할땐 먼저 새파일을 클릭하고 html:5를 쓰면 시작된다.
태그는 크게 head/body로 크게 나눈다.
h1~h6까지 있고 문서의 제목과 소제목으로 사용된다. h태그는 글씨크기와 굵기는 상관없다.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페이지 타이틀</title>
</head>
<body>
<h1>h1 태그</h1>
<h2>h2 태그</h2>
<h3>h3 태그</h3>
<h4>h4 태그</h4>
<h5>h5 태그</h5>
<h6>h6 태그</h6>
</body>
</html>
문단의 앞뒤에 여백을 준다. p태그안에 span태그를 넣어서 쓰면 나중에 span태그 안의 글만 볼드를 준다던지 p태그에 있는 글과 다를게 꾸며주고싶으면 span태그를 이용하면 된다.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페이지 타이틀</title>
</head>
<body>
<h1>h1 태그</h1>
<p>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p>
<p>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p>
<span>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우하세</span>
</body>
</html>
약자로 순서가 있는 리스트이다.
<body>
<h1>과일</h1>
<ol><li>바나나</li>
<li>사과</li>
<li>키위</li>
</ol>
</body>
약자로 순서가 없는 형태의 리스트이다.
<body>
<h1>과일</h1>
<ul><li>바나나</li>
<li>사과</li>
<li>키위</li>
</ul>
</body>
list-style:none;하면 앞에 표시 없어진다.
용어와 용어의 의미를 리스트형식으로 만들때 사용한다.
<body>
<h1>의류</h1>
<dl><dt>모자</dt>
<dd>-머리에 쓰는 것</dd>
<dt>신발</dt>
<dd>-발에 신는 것</dd></dl>
</body>
문서에서 표를 만드는 태그이다.
tr표의 행, td표의 열을 사용한다.
<body>
<table>
<tr>
<td>섹션1</td>
<td>섹션2</td>
</tr>
<tr>
<td>섹션3</td>
<td>섹션4</td>
</tr>
<tr>
<td>섹션5</td>
<td>섹션6</td>
</tr>
</table>
</body>
href는 클릭시 들어갈 링크 / target은 링크를 여는 방법이다.
target의 종류는 self, blank, parent, top 이렇게 있다.
</head>
<body>
<a href="http://www.naver.com"></a>
<a href="http://www.naver.com" target="_blank"></a>
</body>
흠,,,
버튼을 만드는 태그이다.
<body>
<button>나를 눌러봐</button>
</bo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