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는 핵심 특징 2가지 있습니다.
각 테이블마다 명확하게 정의된 구조가 있습니다. 해당 구조는 필드의 이름과 데이터 유형으로 정의 됩니다.
따라서 스키마를 준수하지 않은 레코드는 테이블에 추가할 수 없다. 즉, 스키마를 수정하지 않는 이상 정해진 구조에 맞는 레코드만 추가가 가능한 것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중 하나다.
또한, 데이터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관계’를 이용한다.
하나의 테이블에서 중복 없이 하나의 데이터만을 관리하기 때문에 다른 테이블에서 부정확한 데이터를 다룰 위험이 없어지는 장점이 있다.
한마디로 관계형 DB의 반대이다
스키마도 관계도 존재하지 않는다
SQL과 핵심적인 차이가 있는데, SQL은 정해진 스키마를 따르지 않으면 데이터 추가가 불가능하지만, NoSQL에서는 다른 구조의 데이터를 같은 컬렉션에 추가가 가능하다.
NoSQL에서는 레코드를 문서(documents)라고 부른다.
문서(documents)는 Json과 비슷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처럼 여러 테이블에 나누어 담지 않고, 관련 데이터를 동일한 ‘컬렉션’에 넣는다.
따라서 여러 테이블에 조인할 필요없이 이미 필요한 모든 것을 갖춘 문서를 작성하는 것이 NoSQL이다.
두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할 때 중요한 Scaling 개념도 존재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확장성은 ‘수직성’ 확장과 ‘수평적’ 확장으로 나누어진다.
수직적 확장 : 단순히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 (ex. CPU 업그레이드)
수평적 확장 : 더 많은 서버가 추가되고 데이터베이스가 전체적으로 분산됨을 의미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작동하지만 여러 호스트에서 작동)
데이터 저장 방식으로 인해 SQL 데이터베이스는 일반적으로 수직적 확장만 지원함
수평적 확장은 NoSQL 데이터베이스에서만 가능
둘다 훌륭한 솔루션이고 어떤 데이터를 다루느냐에 따라 선택을 고려해야한다.
위와 같은 장단점들을 고려하여 더 좋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