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대수] 선형방정식과 선형시스템

Ethan·2022년 9월 12일
0

선형대수

목록 보기
2/3

선형방정식

  • 변수간의 관계가 직선/선형적인 일차함수식

  • a1x1+a2x2++anxn=ba_1x_1+a_2x_2+\cdots+a_nx_n = b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 a=[a1a2an],x=[x1x2xn]\mathbf{a} = \begin{bmatrix} a_1 \\ a_2 \\ \vdots \\ a_n\end{bmatrix}, \mathbf{x} = \begin{bmatrix} x_1 \\ x_2 \\ \vdots \\ x_n\end{bmatrix}에 대해 aTx=b\mathbf{a}^T\mathbf{x} = b의 행렬곱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위 선형방정식은 ax\mathbf{a} \cdot \mathbf{x}, 즉 두 벡터의 내적과 동일하다.
행렬곱의 원소를 구하는 것과 내적은 동일한 연산이므로 당연한 이야기이다.

선형시스템

선형시스템은 x\mathbf{x}를 해로 갖는 선형방정식들의 집합이다.
따라서 다음의 두 가지 성질을 가진다.

  • 가산성
    f(x)+f(y)=f(x+y)f(x) + f(y) = f(x+y)

  • 비례성
    af(x)=f(ax)a*f(x) = f(a*x)

또한 선형시스템은 항상 Ax=bA\mathbf{x} = \mathbf{b}와 같은 행렬과 벡터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자.

60x1+5.5x2+1x3=6660x_1+5.5x_2+1*x_3 = 66
65x1+5.0x2+0x3=7465x_1+5.0x_2+0*x_3 = 74
55x1+6.0x2+1x3=7855x_1+6.0x_2+1*x_3 = 78

위와 같은 선형연립방정식이 있다. 이는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605.51655.00556.01][x1x2x3]=[667478]\begin{bmatrix} 60 & 5.5 & 1 \\ 65 & 5.0 & 0 \\ 55 & 6.0 & 1\\ \end{bmatrix}\begin{bmatrix} x_1 \\ x_2 \\ x_3 \end{bmatrix} = \begin{bmatrix} 66 \\ 74 \\ 78 \end{bmatrix}

항등행렬과 역행렬

항등행렬

  • 대각성분이 모두 1인 정사각행렬

  • InRn×nI_n \in \mathbb{R}^{n \times n} 형태로 표기한다.

  • 임의의 행렬 AA와 곱하면 항상 AA가 나온다.

역행렬

  • 정사각행렬 AA에 대해 A1A=AA1=InA^{-1}A = AA^{-1} = I_n가 성립하는 A1A^{-1}를 역행렬이라 한다.

  • 2차원 행렬 A=[abcd]A = \begin{bmatrix} a & b \\ c & d \end{bmatrix}에 대해 A1=1(adbc)[dbca]A^{-1} = \frac{1}{(ad-bc)} \begin{bmatrix} d & -b \\ -c & a \end{bmatrix} 이다.

선형방정식의 풀이

A가 임의의 n차원 정사각행렬일 때

1) Ax=bA\mathbf{x} = \mathbf{b}에 대해 A1Ax=A1bA^{-1}A\mathbf{x} = A^{-1}\mathbf{b}
2) Inx=A1bI_n\mathbf{x} = A^{-1}\mathbf{b}

따라서 x=A1b\mathbf{x} = A^{-1}\mathbf{b} 이다.

선형방정식의 해의 개수

1) 만약 A1A^{-1}가 존재한다면, 즉 판별식이 0이 아니라면 선형방정식의 해는 유일하다.
2) A1A^{-1}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즉 판별식이 0이라면 선형방정식의 해는 무수히 많거나 없다.

A가 임의의 m x n 직사각행렬일 때

mm은 방정식의 수, nn은 변수의 개수이다.

1) m>nm > n 이라면 일반적으로 해가 무수히 많다.
2) m<nm < n 이라면 일반적으로 해가 없다.

profile
재미있게 살고 싶은 대학원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