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코드 둘째 날... 꿈이 아니였어.. 너무 좋다..
table 태그 열고 닫고
tr = table raw
td = table data
th = table heading 자동으로 가운데 정렬이 되고 글씨 두께가 두꺼워진다.
<table class="border-table">
<tr>
<th></th>
<th>내용</th>
<th>장소</th>
</tr>
<tr>
<th>1시</th>
<td>HTML이란</td>
<td>101호</td>
</tr>
<tr>
<th>2시</th>
<td rowspan="2">HTML실습</td>
<td>102호</td>
</tr>
<tr>
<th>3시</th>
<td>103호</td>
</tr>
<tr>
<th>4시</th>
<td>CSS란</td>
<td>104호</td>
</tr>
<tr>
<th>5시</th>
<td>CSS실습</td>
<td>104호</td>
</tr>
<tr>
<th>6시</th>
<td colspan="2">수업 없습니다.</td>
</tr>
</table>

colspan=“2” 면 그 코드 위치에서 오른쪽 혹은 위로 숫자만큼 까지 merge 된다는 뜻인거같다.

1. type=“text” 대부분 text를 쓴다. 보통 이름, id, 주소, 닉네임을 입력 받을 때 사용
2. type=“password” 까만원으로 나온다. 화면에서는 안 보여도 값을 JS에서 가져올 수 있다.
3. type=“number” 숫자만 입력 가능, only numbers
4. placeholder Input 칸이 비어있을 때 표시되는 글자칸
textarea 태그는 text를 쓸 수 있지만 input보다 내용이 길 때 사용한다. mostly 짧은 방명록이나 댓글을 입력할 때 사용하는 태그.
input, texture, button 은 한줄로 나오는 inline element 코드
그래서 실제 개발할때도 부모에 div 태그를 감싸서 영역을 분리한다.
input과 textarea 의 가로가 모두 제각각일 때 통일 시키는 법.
통일된 부모에 width를 주고 input, textarea의 width는 100% 로 설정
참고: textarea 를 만들면 브라우져의 default 스타일인 resize 를 없애준다.
input::placeholder{ color:red;}
만약 input중에서 text 타입만 스타일링 하고 싶다면?



많은 selector 표현들 >>> https://www.w3schools.com/cssref/css_selectors.asp
보통 html에 입력한 순서대로 출력되는데, position을 쓰면 순서대로 하지 않아도 된다.
이중에 static은 잘 쓰지 않는 property이다.

예시를 봐야한다.


하나의 class로 합쳐봐도 됬다.
부록: class가 3개 인것이 이상해서, 1개로 합쳐 봤는데 똑같이 출력됬다.. 왜 3개로 배웠는지 모르겠어서 찾아봤는데 동기의 생각은, 나중에 저런 p 나 div 가 여러개 일 때, 그때 몇개를 바꿀때, 그때 쪼개기 힘들어서, 미리 나눠 놓는게 좋다.. 라고 했다. 설명을 잘 해주셨는데, 내가 아직 해보지 않아서 그런지 감이 안왔다.
위 그림처럼 검색어 입력박스를 만드는 assignment였는데 초반에 접근을 잘못해서 시간이 너무 오래걸렸다. 45분 삽질하다가 도저히 입체적으로 상상이 안가서 손으로 그렸다.
지금 생각해보니까 scope class랑 right class 합쳐도 됬을 듯 하다.
fixed는 문자 그대로 고정됬다는 뜻, absolute는 relative를 가진 부모가 필요하지만 fixed는 필요 없다.

이렇게 CSS를 하면 애플 모양 이미지가

위 image 처럼 스크롤을 내려도 애플모양 회색 띠가 화면 맨 위에 고정되어있다.
아래는 html

위에 CSS를 보고도 모르겠다면 코드해석
position이 absolute이거나 fixed가 되면 주변의 요소에 상관없이 위치.
해당 영역이 무의미해지면서 다른 요소들과 겹친다.
노란색 상품 헤더가 겹쳐서 상단에서 헤더의 높이만큼 떨어지게 하겠습니다.
2가지 방법이 있다.
body에 padding-top을 주거나,
product box에 margin-top을 주는 것입니다.
body에 padding-top 을 48px 만큼 띄워주세요.(위에를 그냥 두고 아래로 내려가는 바디를 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