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7,8장 문제

No.8·2023년 3월 5일
0

Network

목록 보기
13/14

7강

  • 김동준 O/X : Well-Known 포트의 포트 번호는 항상 알려진 포트만 사용해야한다.
    • A X
      • 항상 해당 값만 사용 해야하는 절대적인 번호는 아니다.
  • 송진주 Q. 하나의 프로그램은 하나의 포트 번호만 사용한다 ? (O / X)
    • A O (내 컴퓨터 기준) ⇒ 여러 프로그램이 같은 포트 번호를 사용하면, 상대방이 특정 프로그램과 통신하려고 할 때 그 포트 번호로 어떤 프로그램과 통신하려는지 알 수 없다. ⇒ 내 컴퓨터의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대방 컴퓨터의 여러가지 프로그램들과 연결될 수 있다.
  • 김준형 Q. 사용자가 크롬브라우저로 네이버 HTTPS 웹서비스에 접속한다면, 크롬브라우저의 포트번호는 : 443이다
    • A False, 네이버 서버의 포트번호가 443이고 크롬브라우저(나)는 다른 포트를 쓰고 있을 것(실습에서는 6000번대)
  • 김나연
    1. 포트 번호의 사용 목적?
    2.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포트를 Registered 포트라고 한다. (T / F)
    • A
      1. 특정 프로세스가 특정 프로세스와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
      2. F : 그건 Dynamic, Registered는 어느 정도 공신력 있는 곳에서 정해둔 포트 번호

8강

  • 김동준 Q. UDP 프로토콜의 구조를 간단히 말해주셔요
    • A
      • Source Port
        • 출발지 포트번호
      • Destination Port
        • 목적지 포트번호
      • Length
        • 길이, payload 까지
      • Checksum
        • 프로토콜이 잘못됐는지 체크
  • 송진주 Q. UDP 프로토콜의 특징 3가지를 말씀해주세요.
    • A
      • 비연결 지향성
      • 낮은 신뢰성
      • 데이터 전달에 문제가 생겨도 재전송 요청이나 검증을 할 수 없다.
  • 김준형 Q. UDP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 3가지
    • A
      • DNS 서버 : 이름 도메인의 ip 주소 반환
      • TFTP 서버 : 파일 전송
      • RIP 프로토콜 서버 : 라우팅 테이블 정보 공유
  • 김나연 낼 게 업 다 Q. UDP 프로토콜은 Ugly Datagram Protocol의 약자다. (T / F)
    • S F : User Datagram Protocol 또는 Universal Datagram Protocol
profile
88888888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