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프로토콜
웹을 만드는 기술들
WWW 상에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
- HTML
- Javascript
- CSS
셋을 통틀어 웹표준이라 부른다
특징
7계층 프로토콜
HTTP/HTTPS, SMTP, FTP, TELNET 등
HTTP 요청 프로토콜
요청 프로토콜 구조
1. Request Line

요청 방식
1. GET : client가 server로부터 문서 읽어올때 사용
2. POST : client가 server에게 정보를 전송할 때
3. PUT : client가 server에 특정 자원을 업로드할 때(수정)
4. DELETE : server에서 문서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
등등
URI
- 인터넷 상에서 특정 자원을 나타내는 유일한 주소

응답 프로토콜
응답 프로토콜 구조

1. Status Line

상태코드

- 200번대 : 성공
- 400번대 : 클라이언트 오류
- 500번대: 서버 오류
a. 일반 헤더
- Content-Length : 메시지 바디 길이를 나타낼 때 쓰인다
- Content-Type : 메시지 바디에 들어있는 컨텐츠 종류
b. 요청 헤더
- Cookie : 서버로부터 받은 쿠키를 다시 서버에게 보내주는 역할을 한다
- Host : 요청된 URL에 나타난 호스트명을 상세하게 표시 요청 프로토콜 보낼 때 필수
- User-Agent : Client Program에 대한 식별 가능 정보를 제공(웹/앱 접속 정보를 알 수 있음)
c.응답 헤더
- Server : 사용하고 있는 웹서버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
- Set-Cookle: 쿠키를 생성하고 브라우저에 보낼 때 사용, 해당 쿠키 값을 브라우저가 서버에게 다시 보낼 때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