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ex.html

해피데빙·2024년 4월 16일
0

index.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 euc-kr 등 다른 문서로 되어 있으면 제대로 인코딩을 할 수 없다 -->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 ie의 edge 버전에 맞게 변경해준다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핸드폰에 맞춰서 화면을 키워준다 -->
    <link rel="shortcut icon" type="image/x-icon" href="favicon.ico">
    <!-- /는 프로젝트 폴더 의미. /는 네이버 서버, 도메인/favicon.ico에서 파일을 가져온다-->
    <!-- vscode에서는 점 없이 /를 사용하면 c 드라이브를 프로젝트 폴더로 잘못 인식한다. 그러므로 .을 붙여서 사용한다 -->
    <title>NAVER</title>
    <!-- head : meta data 즉 데이터에 대한 설명이 담긴 곳 -->
    <style>
        html, body {
            margin: 0;
            padding: 0;
        }
        /* ,를 쓰면 두 태그에 적용 가능 */
        #wrap {

        }
        #wrap-center {
            text-align: center;
            width: 1280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color: yellow;
            /* div는 display:block이라 너비가 부모의 100%인데 width를 정해주면 나머지 영역이 마진이 된다 */
            /*  inline-block으로 변경하면 정해진 width만큼만 차지를 한다
            /*  그냥 inline을 하면 width, height모두 무시 */
        }
        #header {
        }
        #main { 
            height: 1120px;
        }
        #hamburger {
            /* 이미지 스프라이트 : 옛날 브라우저에서 사용하던 이미지를 받아올 때의 비효율을 줄이기 위해 사용 */
            /* 이미지 파일이 100개면 매번 하나씩 요청을 할 수 없으니까 합친 이미지 하나를 한방에 받고 background image에서 잘라서 사용한다 */
            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18px;
            background-image: url('./new.png');
            width: 46px;
            height: 46px;
        }
    </style>
</head>
<body>
    <div id="wrap">
        <div id="wrap-center">
            <div id="header">
                <div id="hamburger"></div>
            </div>
            <div id="search"></div>
            <div id="nav"></div>
            <div id="main"></div>
        </div>
    </div>
</body>
</html>
profile
노션 : https://garrulous-gander-3f2.notion.site/c488d337791c4c4cb6d93cb9fcc26f17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