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너리 관련 명령어
📌objdump
- 🖇️cf) objdump stands for object file dump
- 바이너리 파일 정보 출력한다.
- 옵션
-S
-d
-b
- 순수 Binary 출력
- stands for binary
- 🔍ex)
objdump -S 실행파일
📌xxd
- 🖇️cf) xxd stands for hexa dump
- 실행파일 내용을 16진수로 출력
- 🔍ex)
xxd 실행파일
📌ldd
- 🖇️cf) ldd stands for list dynamic dependencies
- 어떤 라이브러리를 링크하고 있는지 목록을 출력한다.
- 🔍ex)
ldd /bin/echo
📌readelf
- elf 형식을 읽어서 출력한다.
- 🖇️cf) 리눅스 실행파일은 elf형식이다.
- 옵션
-h
- 🖇️cf) h stands for header
- elf header 출력한다.
- entry point도 볼 수 있다.
-S
- 🖇️cf) S stands for Section
- Section 정보를 출력한다.
-a
- 🖇️cf) a stands for all
- 모든 정보를 출력한다.
- 🔍ex)
readelf -S /bin/sleep
readelf -h /bin/sleep
📌nm
- 🖇️cf) nm stands for name
- object file로부터 symbol list를 출력한다.
- 🔍ex)
nm te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