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관련 명령어

MySprtlty·2022년 7월 23일
0

Linux Command Line

목록 보기
2/8

🏷️메모리 통계 정보

📌free

  • 시스템이 사용중인 메모리 양을 알 수 있다.
  • default unit은 KibiBytes다.
  • 각 필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total: 시스템에 탑재된 전체 메모리 용량
    • used: 현재 사용중인 메모리 용량
    • free: 이용하지 않는 메모리 용량
    • buff/cache: 버퍼 캐시 또는 페이지 캐시가 이용하는 메모리 용량
    • available: free + free가 부족할 때 해제될 수 있는 메모리 용량
      • free가 부족할 땐, 버퍼 캐시나 페이지 캐시 또는 커널 내의 메모리 일부가 해제될 수 있다.
  • Swap:에 해당하는 라인은 Swap area 정보다.

📌sar -r

  • sar명령에 -r옵션을 주면, 메모리와 관련된 통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r옵션에 ALL 파라미터를 주면, 페이지 테이블의 양에 대한 필드(kbpgtbl)도 확인 할 수 있다.

  • freesar -r이 각각 대응하고 있는 필드는 다음과 같다.

    freesar -r
    total
    usedkbmemused
    freekbmemfree
    buff/cachekbbuffers + kbcached
    availkbavail
  • ex)

sar -r 1
sar -r ALL 1

🏷️Page 관련 정보

📌sar -B

  • -B옵션을 주면, paging 관련 통계를 출력한다.
  • fault/s 필드는 초당 page fault수를 나타낸다.
  • ex)
sar -B 1

📌pagesize

  • 페이지 크기를 출력한다.
  • cf) x86_64에서는 기본적으로 4KB다.

🏷️Swap Area 관련 정보

📌swapon --show

  • --show 옵션을 주면 시스템 스왑 영역 관련 정보를 출력해준다.

📌sar -W

  • Swapping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pswpin/s는 초당 swap in된 page수를, pswpout/s는 초당 swap out된 page수를 나타낸다.
  • 시스템 성능이 나빠졌을 때, 양쪽의 수치가 0이 아니라면 원인이 swapping일 수도 있다.

📌sar -S

  • -S option reports swap space utiliztion statistics
  • 스왑이 발생하고 있을 때,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인지 스레싱이 되어가고 있는지 알 수 있다.
  • kbswpused field가 스왑 영역의 사용량을 나타낸다.
  • kbswpused field가 점점 증가한다면 위험하다.
profile
2Co 4:7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