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허브에 레포를 파서 팀원들이 각각 맡은 기능들을 구현한 코드들을 push를 통해 커밋하게끔 하려고 했으나 무슨 이유에서인지 파일들이 엉망이 되어버렸다😱
이럴 바엔 새로 하나 다시 만드는게 낫겠다는 생각이 들어, 전에 만들었던 코드를 기반으로 다시 새로 짜서 개발하느라 바쁜 한 주였다.
이번에 코드를 새로 짜면서 새로운 강의를 발견하여 이 강의를 토대로 코딩을 해보았다.
인프런 강의 : Firebase 서버를 통한 Android앱 HowlTalk 만들기
하지만 문제는 강의가 만들어진 시점이 몇 년전 강의인 것에 비해, 현재는 안드로이드나 Firebase의 버전이 업그레이드 됨에 따라 전에는 잘 쓰던 함수가 deprecated 된 것이 많았다. (이 때 내적으로 비명을 계속 질렀던 것같다. 그냥 두지 왜😢)
아직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개발에 익숙하지도 않았던 터라 deprecated 된 함수를 대체할만한 함수를 구글링을 통해 찾아도 사용법을 잘 이해하지 못했다. 그래서 왜 이렇게 코드를 짜는거라고? (ex. startActivityForResult 함수)
그래서 강의에 나와있는 코드와 구글링으로 발견한 현재 새로 생긴 함수로 작성된 코드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찾아내며 결국은 성공했다...!! 구글링으로 통해 블로그에 나와있는 코드 사용법 + 안드로이드 developer 문서 + 강의 코드 + 강의 댓글의 힘이 컸다.
처음엔 버전이 맞지 않아 개발하는 데에 역경이 생긴 것에 대해 불만이 생겼지만, 지금에서는 오히려 생각해보니 순조롭게 강의에 나와있는 코드만 따라쳐서 개발이 되었다면 개발 능력이 잘 향상되지 않았을 것같다. 물론 지금 강의에 나와있는 코드를 100퍼센트 이해한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전보다 숙련도나 이해도가 좀 올라간 것은 사실이다.
ⓐ 회원가입 및 로그인 기능
ⓑ 친구목록 (프사와 상태 메세지 확인 가능)
ⓒ 상태메세지 바꾸기 기능
ⓓ 채팅방 목록 (메세지 내용 확인 가능, 클릭시 해당 채팅방으로 이동)
ⓕ 메세지를 보낸 시간 및 메세지를 읽었는지 확인 가능
ⓖ 자동 로그인과 로그아웃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