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SSAFY의 프로젝트로 WebRTC를 사용하는 서비스를 개발했습니다. WebRTC로 확장성있는 프로젝트를 위해서 Peer가 N개의 연결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Media Server를 사용하였습니다. Media Server는 Kurento를 사용했습니다.(K
What is WebRTC 웹 브라우저 간에 플러그인 없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설계된 API입니다. 또한 WebRTC는 표준임과 동시에 표준을 구현한 오픈소스 프로젝트입니다. WebRTC에서 브라우저가 일반적인 피어(Peer)인데 이들이 서버가 없이 통신하기 위
프로젝트에서 Kurento Media Server를 활용한 1:N 스트리밍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크게 5가지의 구성요소가 필요합니다. KMS(Kurento Media Server) Kurento KMS는 미디어 서버를 오픈소스로 제공하는 Kurento의
배경 지식은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을 얼추 한 것 같습니다. 이후 포스팅부터는 실제적으로 어떻게 1:N 스트리밍을 구현했는지 코드와 함께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처음 WebRTC를 접하시는 분들이 많이 읽으실 수 있을 것 같아서 다양한 Example 코드를 읽으면서 제
저의 블로그를 보기 전에 꼭 읽으셔야 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저는 제가 경험한걸 적을 뿐이고 이해도가 탁월하다고 할 수도 없습니다. WebRTC connectivity Lifetime of WebRTC Sessioin Signaling and Video Call Si
이전 포스팅이 Broswer에서 Peer Connection을 관리하는 방법이라면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버단에서 어떻게 Peer Connection을 연결하고 유지하는지 말해보겠습니다. 1:N 스트리밍을 KMS을 이용해서 구현하는 위주로 진행합니다. Kurento 1:
JS Event.. Negotiation,onicecandidate RTCPeerConnection에서 뭐가 어떤 이벤트를 호출하는가!!! Kurento Coturn 연결 준비 해야함. Coturn setting Trickle ICE보는 방법. realm P
소감, 회고 개발 네트워크 통신이라는게 어려운 여러 기능들의 결합이라는걸 느낄 수 있었다. 웹 서비스에서 TCP/IP 통신을 위해서 내가 보이지 않는 low-level의 코드와 구현이 많겠다는 것을 새삼 느낄 수 있었다. coturn 서버의 작동을 확인하기 위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