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대생의 데이터 직군 취업로그 17

류지윤·2023년 6월 23일
0
post-thumbnail

[ 오늘의 수업내용 요약 ]

3_029 확률

  • 모든 사건에서 특정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수를 나타낸 것
  • 모든 사건 : 표본 공간
  • 특정 사건 : 사건
  • 조합을 이용해서 확률을 알아낼 수 있다.

[ 기초수학 문풀 ]
=> 수업내용 메모가 많이 없는 이유는 대부분 기초 수업때 들은 내용을 적용하면
풀리는 내용이 대다수였음 !
3_031
약수 : 나누어 떨어지는 수
소수 : 1외에 약수가 자기 자신뿐인 수
소인수 : 약수(인수)이면서 소수인 수

3_040
피보나치 수열
an = a(n-2) + a(n-1)

3_041
재귀함수를 사용하는 이유 : 코드가 간단해지고 복잡한 연산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4_001 자료구조

  • 자료구조란 여러개의 데이터가 묶여있는 자료형을 컨테이너 자료형이라고 하고, 이러한 컨테이너 자료형의 데이터 구조를 자료구조라고 한다.
  • 자료구조는 각각의 컨테이너 자료형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며, 파이썬의 대표적인 컨테이너 자료형으로는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셋트가 있다.

4_002 리스트

  • 배열과 같이 여러개의 데이터를 나열한 자료 구조
  • []를 이용해서 선언하고, 데이터 구분은 ‘’를 이용한다.
  • 데이터느 아이템(요소)라고 칭한다.
  • 숫자, 문자열, 논리형 등 모든 기본 데이터를 같이 저장할 수 있다.
  • 리스트에 또 다른 컨테이너 자료형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4_003 인덱스

  • 인덱스란 아이템에 자동으로 부여되는 번호표
  • [‘홍길동’, ‘박찬호’] => ‘홍길동’ (인덱스 0)
  • 인덱스는 0부터 시작된다. 자동으로 매겨지는 것이기 때문에 변경 불가
  • 리스트 아이템은 인덱스를 이용해서 조회 가ᅟᅳᆼ하다.
  • IndexError : 잘못된 인덱스 사용으로 인한 에러 발생

4_004 리스트 길이

  • 리스트 길이란 리스트에 저장된 아이템 개수를 뜻한다.
  • [‘홍길동’, ‘박찬호’] => 리스트 길이 2
  • len(리스트 변수)를 사용하면 리스트 길이를 찾을 수 있다.
  • 리스트 변수 = 레퍼런스 변수
  • 반복문을 이용하면 리스트의 아이템 조회가 가능하다.
  • len()함수는 리스트의 개수뿐만 아니라 문자열의 길이도 될 수 있다.
  • str= ‘Hello python’
  • print(len(str))

4_005 리스트와 for문

  • for문을 이용하면 리스트 아이템을 자동으로 참조할 수 있다.
  • for문을 이용하면 리스트 내부에 또 다른 리스트의 아이템을 조회할 수 있다.
    : for문에 변수를 두 개 넣어주면 사용 가능하다.
    cars = [‘그렌저’, ‘말리부’, ‘카니발’]
    for I in range(len(cars)):
    print(cars[i]
    4_005 리스트와 for문 2
  • for문과 if문 사용
  • continue 이용

4_007,8 while문을 이용한 리스트 조회

  • while문을 이용하면 다양한 방법으로 아이템 조회가 가능하다.
  • len()함수 사용 방법
  • flag함수 사용 방법
  • while True(논리형 함수) 사용 방법

4_009 enumerate()함수

  • enumerate()를 사용하면 아이템을 열거할 수 있다.
  • enumerate()는 문자열에도 사용 가능하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