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나는] 파일 서버와 CDN & 패킷으로 오류 찾기
rest API create할 때 파일 서버 이용
- grpc는 파일을 주고받는 역할을 못 함
- 그래서 formData나 file 형식을 주고받는 create, put을 이용할 때는 restAPI를 이용
- 이 문제를 grpc로 해결하기 위해 파일 서버를 이용
- 파일 서버는 백과 별개의 서버로 파일을 저장하는 CDN에 데이터 주고 받음
파일 서버로 파일 저장하고 받기
- formData로 파일과 일반 데이터(string, map<string, string>, int32, bool 등)들이 있음
- 먼저 rest API로 파일 서버에 저장할 파일 데이터를 보냄
- 파일 서버가 CDN에 파일을 저장하며 파일의 id 값을 프론트에 다시 넘겨줌
- 프론트는 파일 id값을 받고(string 혹은 int32), 일반 데이터들과 함께 grpc를 이용해 백에 전달
- 백은 파일 id와 일반 데이터를 DB에 저장
- 이후 get 요청이 있을 때 백은 기존에 저장한 attachment_id(첨부파일 id)를 CDN에 요청하여 파일 정보를 받음
- 일반 데이터와 파일 데이터를 프론트에 넘겨 이용 가능
네트워크 패킷으로 오류 찾기
- 기본 적인 것도 질문해도 된다는 사수님의 말에 무식한 질문 폭격을 하던 나

- 네트워크를 패킷을 이용한 디버깅은 프론트의 필수 요소라며 방법을 알려주심
- 오류가 있을 땐 콘솔에도 뜨지만 대부분 네트워크 패킷을 보면 원인 찾기 가능
- 페이로드 잘못인지, 받아오는 데이터가 없어서 빈화면이 뜨는 건지 바로 알 수 있음
코린이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디버깅을 습관화 들이자! 나도 실전 개발자가 된 것 같아!!!
참고로 grpc를 이용하면 사진처럼 패킷이 암호화 되어 찾을 수 없다ㅎㅎㅎㅎ 이럴 땐 콘솔에 찍어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