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정위블
post-thumbnail

[Spring] 닉네임 중복 확인 함수

이래저래 시간을 보내다 굉장히 오랜만에 글을 작성한다.그동안 정보처리기사 필기 시험을 준비하고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었다.필기 시험은 공부한 범위 내에서 나왔고 80점을 넘기며 넉넉하게 합격했다.이제 실기 시험만 남았는데, 실기 시험도 열심히 공부를 해야지.사담은

2023년 8월 22일
·
0개의 댓글
·

[정보처리기사 필기] 네트워크 IP 주소 범위

오늘도 필기 시험을 준비하다가, 기출 몇 개를 풀어도 헷갈리는 부분이 또 생겨서 글을 작성한다. 프로그래밍 파트의 IP 주소의 단계에 관한 개념이다. 분명 컴퓨터네트워크라는 과목에서 배웠던 개념인데, 네트워크의 길이에 따라서 클래스가 나뉜다는 것을 알고 있는데 이상하

2023년 7월 14일
·
0개의 댓글
·

[정보처리기사 필기] UML (Unified Modeling Language)

7월 20일에 있을 정보처리기사 필기 시험을 위해서 공부하던 중 매번 비슷하게 틀리는 문제가 있어서 제대로 공부할 겸 포스팅 해보기로 했다.정보시스템이랑 DB, 프로그래밍 쪽은 어느정도 완성이 됐는데 소프트웨어 계획과 개발 쪽이 계속 오답이 나온다.우선 내가 틀린 문제

2023년 7월 1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Bug Review] port is already in use. (for Mac)

프로젝트 개발을 위해서 서버를 돌렸는데, 저번부터 자꾸 "port 0000 is already in use."라는 에러가 발생했다.저번에 발생했었을 때는 포트 번호를 8080으로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러려니 하고 프로퍼티의 포트 번호를 변경하고 사용했는데, 절대

2023년 5월 2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React] MapBox 활용

시험기간이다 뭐다 해서 바빠서 블로그를 못 올린지 벌써 한 달이나 됐다. 다행히 시험 점수는 괜찮게 나온 듯 싶어서 기분 좋게 포스팅을 하려고 한다. 현재 4학년으로 재학 중이라 졸업작품을 진행하고 있는데, 이번 졸업작품에서 리액트로 웹 서비스를 해야 할 일이 생겼

2023년 5월 1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pring Boot] Flutter로 데이터 가져오기

지난 게시물에서는 Flutter와 Spring boot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DB에 저장하는 코드를 작성했었다.이제 Flutter에서 DB에 저장된 게시물 목록을 가져와 보여주고, 게시물 리스트의 아이템을 클릭하면 게시물의 상세 정보를 보여주는 기능을 생성해야

2023년 4월 15일
·
0개의 댓글
·

[Spring Boot] IoC와 DI

스프링 부트 하면 빠질 수 없는 개념이 있다. 바로 DI(의존성 주입)과 IoC(제어의 역전)이다.오늘은 이 두 가지 개념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IoC부터 살펴보도록 하자.IoC는 제어의 역전을 의미한다.객체와 메소드를 호출하는 작업은 보통 개발자가 하게 되는데,

2023년 4월 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pring Boot] Flutter와 연동하기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DB를 사용할 일이 생겼다.백 개발자를 따로 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번에 한 번 해보자고 생각하며 처음 스프링에 대해서 알아가게 되었다.우선 Flutter에 화면 구성은 웬만큼 되어 있는 상태였기 때문에, DB를 생성해서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

2023년 4월 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Flutter] getX 활용법 - 의존성 주입

오늘은 GetX의 의존성 주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의존성 주입이란 컨트롤러를 인스턴스화 시키는 것을 말하는데, GetX에는 총 네 가지의 방법이 있다.Get.put: 페이지로 이동할 때 생성(create), 초기화(initialized)되며 페이지에서 나갈 때 d

2023년 3월 2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Flutter] getX 활용법 - 반응형 상태 관리

저번에는 간단한 예시와 함께 단순 상태 관리에 대해 알아보았다.지난 게시물에서 얘기한대로, 오늘은 반응형 상태 관리에 대해 알아보겠다.반응형 상태 관리와 단순 상태 관리의 차이점은 지난 게시글에서 다뤘으니, 오늘은 예시 코드와 코드 해석만 간단히 짚고 넘어갈 예정이다.

2023년 3월 26일
·
0개의 댓글
·

[Flutter] getX 활용 - 상태 관리 (1)

저번 게시물에서는 getX의 라우팅 관리 기능에 대해 포스팅 했었다.오늘은 getX의 상태관리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겠다.getX의 상태관리에는 두 가지의 기능이 있다.단순 상태 관리반응형 상태 관리단순 상태 관리는 Controller에 함수를 작성할 때 상태 값을 변경

2023년 3월 2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Flutter] getX 활용 - 라우팅 관리

getX를 사용하면 얼마나 편리해질까?지난 포스팅에서, getX의 세 가지 주요기능 중 하나로 라우팅 관리를 소개했었다.주요 기능의 효과를 직접 코드를 통해 확인해 보자.아래는 getX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페이지로 이동시키는 코드다.Navigator를 사용해서 작성하

2023년 3월 21일
·
0개의 댓글
·

[Flutter] getX 사용법 - 기본 설정

GetX 나는 여지껏 플러터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상태 관리를 위해 provider를 사용해왔다. 앞으로도 provider를 쓰면 되겠지~ 하고 있었는데 글쎄 프로바이더는 이제 업데이트가 안 된단다. 이번에 새로 진행하는 토이 프로젝트 또한 플러터로 진행되기 때문에

2023년 3월 2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Flutter] CarouselSlider로 여러 이미지 보여주기

플러터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던 중, 여러 이미지를 한 번에 보여주는 페이지를 만들 일이 생겼다.잘 보일지는 모르겠지만 앱 화면을 일부 캡처한 사진이다. 이미지 배열이 주어지면 옆으로 슬라이드 하며 넘길 수 있는 ImageView를 제작하고, Indicator를 사용해

2023년 1월 3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Instagram 클론 코딩] 홈페이지 만들기 (2)

오늘은 전에 말했던대로 홈페이지의 RecyclerView에 대해서 작성할 예정이다.fragment_home.xml의 뷰다.화면의 제일 위에 앱바를 구현하고, 그 아래에 ScrollView를 사용해 RecyclerView를 넣어줬다.ScrollView를 사용하는 이유는

2023년 1월 26일
·
0개의 댓글
·

[Kotlin] 확장 함수

해당 게시물은 과거에 작성한 블로그 내용을 옮겨 온 것으로, 가독성이 떨어지고 내용이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확장: 클래스에 상속하거나 디자인 패턴을 따로 사용하지 않아도 새로운 기능으로 클래스를 확장할 수 있는 기능확장 함수: 확장이 일어날 때 추가적으로 구현하게 되는

2023년 1월 26일
·
0개의 댓글
·

[Kotlin] Scope 함수

해당 게시물은 과거에 작성한 블로그 내용을 옮겨 온 것으로, 가독성이 떨어지고 내용이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특정 객체의 context에서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는 함수스코프 함수를 람다 함수로 사용할 시 임시 스코프를 형성객체의 이름을 반복 선언하지

2023년 1월 26일
·
0개의 댓글
·

[Flutter] Provider

해당 게시물은 과거에 작성한 블로그 내용을 옮겨 온 것으로, 가독성이 떨어지고 내용이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위젯의 State를 표시하려면 불필요한 위젯들이 ReBuild되는 문제가 발생state: 위젯이 빌드되는 동시에 읽을 수 있으며 위젯의 생명 주기 사이에 변경 가

2023년 1월 2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Flutter] Widget

해당 게시물은 과거에 작성한 블로그 내용을 옮겨 온 것으로, 가독성이 떨어지고 내용이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Text 위젯: 텍스트를 작성할 수 있는 위젯Row 위젯: 행으로 작성할 수 있는 위젯Column 위젯: 열로 작성할 수 있는 위젯Row와 Column은 flex

2023년 1월 25일
·
0개의 댓글
·

[React] 리액트 컴포넌트 (Component)

해당 게시물은 과거에 작성한 블로그 내용을 옮겨 온 것으로, 가독성이 떨어지고 내용이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리액트 어플리케이션을 이루는 최소한의 단위재활용성 및 독립성 증가데이터를 입력받은 후 state에 따라 DOM 노드 출력컴포넌트명은 항상 대문자로 시작소문자로 시

2023년 1월 25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