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킹을 하면서 꼭 알아두어야 할 약어들

mcyoo.log·2022년 7월 6일
0

A
AAA : 인증(authentication), 권한 부여(authorization), 계정 관리(accounting)의 첫 머리 글자를 따서 AAA라고 한다. 요즘은 워낙 보안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AAA처럼 보안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AAL : ATM adaptation layer의 약자이다. 물론 ATM에서 나오는 말이다. 데이터 링크 계층에 속하는 계층이다. AAL은 데이터를 받아 그 데이터를 48바이트 ATM 페이로드 세그먼트 형태로 만드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또 AAL은 CS와 SAR이라는 두 개의 서브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AAL의 네가지 유형은 AAL1, AAL2, AAL3/4, AAL5 입니다.

AARP : AppleTalk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이다. 주로 매킨토시가 사용하는 AppleTalk 프로토콜에서 데이터 링크 주소를 네트워크 주소로 바꾸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Access list : 라우터로 들어오거나 나가는 액세스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입니다.

Access server : 커뮤니케이션 서버 혹은 Network Access Server(NAS)
( 위에 NAS랑은 다르다. Network Attached Storage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 쉽게 말하면 LAN으로 연결하는 외장 하드디스크)
라고도 부르는 이 서버는 일반적으로 모뎀 등의 콜을 LAN에 연결해 주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우리가 집에서 모뎀을 통해 ISP 업체에 접속하는 경우 모뎀의 콜을 처음으로 받아서 서버나 인터넷으로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이 액세스 서버입니다.

ACD : Automatic Call Distribution(자동 호출 분배)의 약자입니다. 동일한 교환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장소의 고객들에게 자동으로 호출을 재라우팅하는 장치나 서비스입니다. 즉 고객이 전화를 걸었을 때 교환원 중에서 지금 현재 전화를 받을 수 있는 사람을 찾아서 그 전화를 연결해 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 바로 ACD라고 할 수 있습니다.

Acknowledgment 또는 Ack : 어떤 상황에 대해 인식했음을 확인해 주는 신호를 말합니다. 즉 상대편이 어떤 요청에 대한 시그널을 보냈을 때 그 시그널을 받았다는 표시로 Ack 신호를 발생시킵니다.

Active monitor : 토큰링 네트워크에서 데이터가 무한으로 네트워크를 돌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원래는 데이터를 만들어서 보낸 PC, 즉 출발지의 PC가 전송 후 다시 돌아온 데이터를 삭제하게 되지만, 만약 전송 PC의 고장으로 이 데이터가 링 안에서 계속 돌아다닐 때 이를 발견해서 대신 없애주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Address mapping : 한 형태(프로토콜)의 주소를 다른 형태(프로토콜)의 주소로 변환하는 기법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X.25를 통해 IP를 라우팅할 때, X.25 네트워크가 IP 패킷을 전송할 수 있도록 IP 주소를 X.25 주소로 맵핑한다고 하는데, 이것은 바로 IP 주소와 X.25를 서로 바꾸어 주는 것을 일컫는 말입니다.

Administrative distance : 라우터에서 주로 나오는 말입니다. 즉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해 구해진 라우팅 정보를 그 신뢰도에 따라서 수치로 나타낸 값입니다. 예를 들어 같은 목적지에 대해서 스태틱 라우팅 정보로 알게 된 경로가 있고 RIP 라우팅으로 알게 된 경로가 있다면 라우터는 이 중 administrative distance 값이 작은 스태틱으로 알아낸 경로를 선택하게 됩니다. 이 값은 0에서 255까지이며, 값이 높으면 높을수록, 신뢰도 등급은 더 낮아집니다.

Advertising 광고, 즉 라우팅 정보나 서비스 업데이트 내용을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네트워크로 내보내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advertising은 다른 라우터들이 이 라우터를 인식할 수 있게 해줍니다.

Alarm : 주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에서 사용되는 말입니다.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하면 이 Alarm 신호를 이용해서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현재의 상황을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ANSI :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미국 국립 표준기구)의 약자입니다. 기업체와 정부 단체, 그리고 표준과 관련된 활동을 조정하고, 미국 국내 표준을 승인하는 등 국제 표준 단체들에서 미국의 입지를 강화하는 일을 하는 단체입니다. ANSI는 주로 통신과 네트워킹 분야와 관련해 국제 표준과 미국 국내 표준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AppleTalk : Apple Computer에서 설계한 통신 프로토콜로서, 매킨토시 간의 통신을 위해서 개발되었습니다. 현재는 많이 사용되고 있지는 않는 프로토콜입니다.

Application layer : OSI reference model(OSI 기준 모델)에서의 7번째 계층입니다. 이 계층은 OSI 모델에 속하지 않는(전자 메일, 파일 전송, 터미널 에뮬레이션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의도한 통신 상대측 및 연결하는 데 필요한 자원의 이용 가능 상태를 알아내어 설정하고, 관련 애플리케이션들을 동기화시키고, 오류 복구나 데이터 손상 방지를 위해 프로시저에 관한 합의 사항을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ARP : Address Resolution Protocol(주소 분석 프로토콜)의 약자입니다. IP 주소를 MAC 주소로 바꾸어줄 때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입니다.

AS : Autonomous System의 약자입니다. 하나의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하나의 관리체계로 움직이는 영역입니다. 즉 만약 한 회사의 네트워크가 다른 회사의 네트워크와 연결된다면 각 회사의 네트워크를 하나의 AS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이러한 AS 간의 라우팅 프로토콜은 주로 BGP를 이용해서 일어납니다. 또 Autonomous System은 IANA에서 할당한 고유한 16비트를 부여받아서 사용합니다.

ASBR : Autonomous System Boundary Router의 약자입니다. AS 간의 연결을 위한 라우터가 바로 ASBR 입니다.

ASCII :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미국 정보교환 표준코드)의 약자입니다. 문자를 표현하는데 쓰이는 8비트 코드 체계입니다(7비트 더하기 패리티)

Asynchronous transmission(비동기 전송) : 정밀한 클럭 처리를 하지 않고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를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이러한 비동기 전송에서는 일반적으로 시작 비트와 정지 비트가 사용됩니다.

ATM : Asynchronous Transfer Mode(비동기 전송 모드)의 약어 입니다. 음성, 비디오,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를 고정 길이(53바이트) 셀에 넣어 전달하는 국제 셀 릴레이 표준입니다. 고정 길이 셀(53바이트)을 이용해서 전송 지연을 획기적으로 줄인 통신 방식입니다. ATM은 E3, SONET, T3 등과 같은 고속 전송 미디어를 활용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ATM layer : ATM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링크 레이어의 서비스 독립적인 서브 레이어입니다. ATM 레이어는 AAL에서 48바이트 페이로드 세그먼트를 수신한 다음, 각 세그먼트에 5바이트 헤더를 붙여 53바이트의 표준 ATM 셀을 만드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 셀들은 물리적인 매체를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Physical 레이어로 넘겨지게 됩니다.

AURP : AppleTalk Update-Based Routing Protocol의 약자입니다. AppleTalk 트래픽을 캡슐화해 다른 종류의 프로토콜의 헤더 안에 넣는 방법으로, 이 방법을 사용하면 두 개 이상의 서로 접하지 않는 애플토크 인터네트워크를(TCP/IP와 같은)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를 연결해 애플토크 WAN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런 연결을 AURP 터널이라고 한다. AURP는 캡슐화 기능 외에도 외부 라우터들 사이에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해 전체 AppleTalk WAN의 라우팅 테이블을 유지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Authentication : 인증 즉 보안기능 중에서 사람이나 프로세스의 신분을 확인해서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요소로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영어로 말하자면 Who are you? 정도가 됩니다.

B
Backbone : 중심이 되는 경로하고 생각하면 됩니다.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가장 자주 송수신 대상이 되는 통신의 주경로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도로로 비유하면 고속도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네트워크의 성능은 백본의 성능이라고 할 정도로 백본은 중요합니다.

Bandwidth(대역폭) : 네트워크 신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주파수와 가장 낮은 주파수 사이의 차이. 네트워크에서는 주로 속도를 나타낼 때 많이 사용되는 말입니다. 즉 Bandwidth가 10Mbps라면 이것은 속도를 나타내는 것 입니다.

Baud : "보우" 또는 "보" 라고 읽습니다. 초당 전송되는 독립적인 신호 요소의 수에 해당하는 신호 처리 속도의 단위. 각 신호 요소가 정확하게 1비트에 해당한다면 baud(보)는 초당 비트 수(bps)와 같은 의미가 됩니다.

B channel : Bearer channel(베어러 채널)의 약자 입니다. ISDN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보내는데 사용되는 전이중., 64Kbps 채널입니다. 참고로 BRI의 경우는 2개의 B채널을 가지고 있고, T1 PRI의 경우는 24개, E1 PRI의 경우는 30개의 B 채널을 가지고 있습니다.

Beacon : 케이블이 끊어지는 경우와 같은 심각한 문제가 링에 발생했음을 알려주기 위해 토큰링 장치나 FDDI 장치에서 보내는 프레임을 말합니다. beacon(비콘) 프레임에는 다운된 것으로 추정되는 스테이션의 주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BECN : Backward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의 약자입니다. 통신에서 Congestion, 즉 혼잡이 발생했을 때를 대비해서 만든 비트입니다.

BGP : Border Gateway Protocol의 약자로 AS 간의 라우팅에 사용되며, 이런 프로토콜을 Exterior Gateway Protocol이라고 합니다. 요즘 인터넷의 대중화로 회사의 네트워크를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BGP가 많이 사용됩니다.

BGP4 : BGP Version 4, 즉 BGP 버전 4의 약자입니다. 요즘 사용되는 거의 대부분의 BGP 프로토콜은 바로 BGP 4 입니다.

B-ISDN : Broadband ISDN(광대역 ISDN)의 약자입니다. 비디오와 같은 높은 대역폭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룰 수 있도록 고안된 ITU-T 통신 표준입니다. BISDN은 현재 SONET 방식 전송 회선을 통해 ATM 기술을 사용하며 155Mbps 에서 622Mbps 이상까지의 데이터 속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ISDN : 기존의 공중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공중전화선 말고, 일반 대중이 사용하는 전화망.) 인프라에서 고속의 디지털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규약이다.
상술한 대로 기존에 깔아 둔 구리선 기반의 전화 인프라, 즉 두 가닥의 구리선으로 최대 128kbps라는 고속(!!!)의 통신 속도를 낼 수 있는 규약이다.
ISDN에는 BRI(Base Rate Interface)와 PRI(Primiary Rate Interface)가 있는데, BRI의 경우 2개의 B채널과 1개의 D채널을 사용한다. B채널은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며 D채널은 제어 정보나 시그널 전송등에 사용된다(16Kbps)
B채널은 1가닥당 64Kbps의 대역폭을 가져서 데이터 대역폭으로 BRI는 64Kbps*2로 128Kbps의 속도가 나오게 되며. 총 대역폭은 144Kbps까지 나오게 된다.

Bit :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가장 작은 단위입니다. 8비트(bit)가 1바이트(byte) 입니다.

BOOTP : Bootstrap Protocol(부트스트랩 프로토콜)의 약자입니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비가 자신의 IP 정보를 받아오기 위해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Bootp 서버는 주로 NMS가 담당합니다.

BPDU : Bridge Protocol Data Unit의 약자입니다. 네트워크의 브리지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디폴트 2초)으로 보내지는 브리지의 정보입니다. 이 정보를 이용해서 브리지는 스패닝 트리를 구현합니다.

BRI : Basic Rate Interface의 약자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ISDN이 대부분 BRI 입니다. 데이터 전송을 위한 두 개의 B채널과 한 개의 D채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Bridge : 브리지의 가장 큰 역할 중 하나는 역시 콜리전 도메인을 나누어 준다는 것입니다.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두 네트워크 세그먼트 사이에서 패킷을 연결하고 전달하는 장치로, 브리지들은 OSI의 데이터 링크 계층(2계층)에서 작동합니다. 일반적으로 브리지는 수신되는 프레임의 MAC주소를 기준으로 프레임을 필터링하거나 진행 방향으로 포워딩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Broadband(광대역) :
1. 다수의 독립적인 신호를 하나의 케이블로 멀티플렉싱하는 전송 시스템
2. 통신 전문 용어 : 음성 수준 채널(4kHz) 보다 더 큰 대역폭을 가지는 모든 채널
3. LAN 용어 : 아날로그 신호 처리 방식을 사용하는 동축 케이블

Broadcast : 브로드캐스트는 네트워크 상(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의 모든 노드로 보내지는 데이터 패킷입니다.

Broadcast domain : 브로드캐스트 영역은 브로드캐스트가 발생했을 때 이 패킷을 받는 모든 장비들의 영역을 말합니다. 이런 브로드캐스트 영역은 오로지 라우터에 의해서만 분리가 가능합니다.(가상 랜을 사용하는 스위치도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나누어주지만 서로간의 통신은 불가능 합니다. 라우터를 거쳐야만 통신이 가능합니다.)

Buffer : 전송중인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저장 영역을 말합니다. 버퍼는 통신에서 서로 다른 처리 속도의 차이를 해결해 주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즉 받아주는 장비의 처리 속도가 느린 경우 보내는 장비는 자신의 버퍼에 패킷을 임시 보관하고 있다가 받아주는 장비가 받을 준비가 되면 버퍼에 있던 패킷을 보냅니다.

Bus topology : 네트워크 스테이션에서 시작된 전송이 미디어의 길이를 따라 전달되어 다른 모든 스테이션이 수신하게 되는 버스 모양의 랜 구조를 말합니다. 이더넷이 주로 버스 토폴로지 입니다.

Byte(바이트) : 8비트가 1바이트가 됩니다.

C
Caching : 캐싱이라는 일반적 의미는 이미 배운 정보를 다음에 사용할 때 또 배울 필요 없이 일정한 곳에 저장했다가 빠르게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요즘은 인터넷에서 한 번 갔다 온 곳을 다시 갈 때를 대비해서 서버가 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캐시 서버 또는 캐시 엔진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CAM : Content-Addressable Memory의 약자입니다. 스위치 등에서 주소 저장을 위한 메모리로 많이 사용됩니다.

CATV : Cable Television(케이블 TV)의 약자입니다. 동축 케이블을 사용해 여러 채널의 프로그래밍 자료가 가정으로 전송되는 통신 시스템 입니다.

CBR : Constant Bit Rate의 약자입니다. ATM 포럼에서 정의한 ATM 네트워크 QoS 클래스 중 하나 입니다. CBR은 왜곡되지 않은 데이터 전달을 보장하기 위해 정밀한 클럭 처리 방식에 의존하는 연결 장치에서 사용된다고 합니다.

CCITT : Consultative Committee for International Telegraph and Telephone(국제 전신 전화 자문 위원회)의 약어 입니다. 통신 표준 개발을 담당하는 국제적인 단체입니다. 지금은 ITU-T라고 합니다.

CDDI : Copper Distribute Data Interface의 약자로, STP 케이블 배선과 UTP 케이블 배선을 통한 FDDI 프로토콜을 구현했습니다. CDDI는 비교적 짧은 거리(약 100m)에서 전송하며, 백업(Backup)을 위하여 듀얼-링 아키텍처를 사용하며 100Mbps의 데이터 속도를 제공합니다.

CDP : Cisco Discovery Protocol의 약자입니다. 시스코 라우터나 스위치 장비들끼리 서로의 정보를 볼수 있도록 만든 프로토콜입니다.

Cell : ATM 스위칭에서의 기본 데이터 단위를 말합니다. 하나의 셀은 5바이트의 헤더 부분과 48바이트 페이로드, 즉 데이터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Channel(채널) : 주로 통신 경로를 일컫는 말입니다. 요즘은 하나의 케이블에 여러 개의 채널을 전송 하는 기술 또는 여러 개의 케이블을 묶어서 하나의 채널 전달에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Channelized E1 : 2.048Mbps의 속도를 64Kbps 속도로 30개의 채널로 나누어서 사용할 수 있게 만든 기술입니다.

Channelized T1 : 1.544Mbps의 속도를 64Kbps 속도로 24개의 채널로 나누어서 사용할 수 있게 만든 기술입니다.

CHAP : Challenge Handshake Authentication Protocol 의 약자입니다. PPP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보안 기법 중의 하나로, 접속시에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이용해서 접속 여부를 결정합니다. 이와 비슷한 기법으로는 PAP이 있는데, PAP에 비해 암호를 encryption해서 보낸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Checksum : 전송된 데이터가 이상 없이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즉 데이터와 같이 데이터를 가지고 만든 체크섬이라는 정수 값을 보내는데, 수신측에 이 값을 다시 계산해서 보내온 체크섬과 비교하는 것 입니다. 두 값이 서로 같으면 데이터에 이상이 없다는 것을 확인합니다.

CIDR :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의 약자입니다. 즉 주어진 IP를 클래스 구분없이 뒤에 오는 서브넷 마스크에 따라 구분하는 방식입니다. BGP4에서 지원하며 CIDR은 라우팅 테이블을 줄이는데 효과적입니다.

Circuit switching : 전송 전에 일단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 물리적인 전용 경로를 만든 다음 전송하고, 전송이 끝나면 이 경로를 끊는 방식입니다. 전화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CLI : Command Line Interface의 약자로서, 시스코 라우터가 주로 이 방식을 사용합니다. 즉 명령어를 메뉴 방식이나 아이콘 방식이 아닌 직접 텍스트 입력 방식으로 입력해주는 방식을 말합니다. 도스나 유닉스 역시 CLI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대비되는 말은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있습니다.

Client :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요청하는 노드(PC,프린터 등)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주로 사용자 PC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Client / Server computing : 전송이 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발생하는 네트워크를 일컫는 말입니다. 파일 서버나 프린터 서버, 그리고 메인 프레임 등을 두고 각각의 유저 PC들이 이런 서버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해서 사용하는 경우를 보통 클라이언트 / 서버 환경 이라고 합니다.

CMTS : 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 요즘 많이 사용하는 케이블 모뎀을 접속해주는 센터용 장비를 말합니다. 시스코에서는 UBR 장비가 있습니다.

Coaxial cable 보통 동축 케이블이라고 합니다. 하나의 내부 와이어 전도체를 감싸고 있는 속이 빈 외부 실린더형 전도체로 구성되어 있는 케이블입니다. 현재 LAN에서 사용되는 동축 케이블의 종류는 디지털 신호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50옴 케이블과 아날로그 신호 처리와 고속 디지털 신호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75옴 케이블 두 가지가 있습니다.

Collapsed backbone : 주요 네트워크 장비가 중앙에 모여있고 클라이언트들이 이곳에 접속된 구조로 만들어진 네트워크를 일컫는 말입니다.

Collision : 이더넷에서 두 노드가 동시에 전송하게 되면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충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콜리전이라고 합니다. 콜리전이 발생하면 전송 노드는 이 패킷을 다시 전송해야 합니다.

Collision domain : 이더넷에서 서로 동시에 전송하면 충돌이 발생하는 영역을 말합니다. 허브나 리피터로 연결된 모든 노드들이 서로 같은 콜리전 도메인에 있습니다. 이러한 콜리전 도메인은 브리지나 스위치를 통해서 나누어줄 수 있습니다.

Communication server : 일반적으로 모뎀 등의 콜을 LAN에 연결해 주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우리가 집에서 모뎀을 통해 ISP 업체에 접속하는 경우 우리 모뎀의 콜을 처음으로 받아서 서버나 인터넷쪽으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해주는 이 서버는 access server 또는 NAS 라고도 합니다.

Compression : 데이터를 전송할 때보다 적은 대역폭을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압축 기술입니다.
일단 압축된 데이터는 전송 후에 도착지에서 다시 압축을 풀어서 사용합니다.\

Concentrator : 예전에 hub(허브)를 부르던 말입니다. 모든 케이블을 한 곳에 집중시킨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요즘은 자주 사용되지 않는 말입니다.

Congestion : 네트워크 용량을 초과하는 트래픽이 발생할 경우 네트워크에 컨제션이 발생했다고 합니다.

Connectionless : 통신시에 전송 대상 간의 연결을 먼저 하지 않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에 대비되는 말로 전송 전에 커넥션을 연결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인 Connection oriented 방식이 있습니다.

Connection-oriented : 전송 전에 먼저 연결을 맺는 통신 방식입니다.

Console : 주로 호스트로 들어가는 통로를 말합니다. 라우터나 스위치의 세팅시에도 콘솔을 이용해서 명령을 입력합니다. 따라서 당연히 라우터나 스위치 등의 장비에는 콘솔 포트가 있습니다. 이때 사용되는 케이블을 콘솔 케이블이라고 합니다.

CPE : Costomer Premises Equipment의 약자입니다. 전화 회사로부터 정보 서비스를 받기 위해 사용자의 사무실 또는 집에 설치되는 장비를 일컫는 말입니다. 주로 터미널, 전화기, 모뎀 등과 같은 통신 단말기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CRC : Cyclic Redundancy Check의 약자로, 데이터의 전송 시 수신측에서 오류 점검을 위해 사용하는 기법입니다.

CS : Convergence Sublayer의 약자입니다. ATM에서 사용되는 서브 레이어입니다. 오류 점검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CSMA/CD

CSU : Channel Service Unit의 약자입니다. 보통 전용선 설치시 라우터와 회선 사이에서 연결자 역할을 수행합니다. 일반적으로 DSU와 함께 사용되어 CSU/DSU라고도 부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속도가 낮은 것은 DSU를, 속도가 높은 것에는 CSU를 사용합니다.

CTI : Computer Telephony Intergration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기존의 통신(PBX) 장비를 컴퓨터 어플리케이션과 통합한 형태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CTS : Clear To Send의 약자입니다. 수신측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을 때 송신측에 보내는 신호입니다. EIA/TIA-232 규격입니다.

Cut-through packet switching : 스위치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술이며 데이터가 들어올 때 이 데이터가 전부 들어오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맨 앞쪽의 목적지 주소만 읽게 되면 바로 목적지로 전송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이와 대비되는 말로는 store and forward switching이 있습니다.

DAS : Dual Attachment Station, 즉 이중 연결 스테이션의 약자입니다. FDDI에서 메인(Main) FDDI링과 세컨더리(secondary) FDDI 링에 모두 연결되는 장비를 말합니다. 이렇게 이중 연결 방식을 사용해서 만약 메인 링이 장애가 발생해도 세컨더리 링(secondary ring)을 통해서 전송이 가능합니다.

Data link layer : OSI reference model(OSI 참조 모델)의 두번째 계층입니다. 물리적인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신뢰할 수 있게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적인 어드레싱, 네트워크 토폴로지, 라인 규칙(line discipline), 오류 통지, 순차적 프레임 전달, 흐름 제어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계층은 두 개의 서브 레이어, 즉 MAC 서브 레이어와 LLC 서브 레이어로 다시 나눠집니다.

DCE :
1. Data Communications Equipment의 약어(EIA 확장 기준)
2. 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의 약어(ITU-T 확장 기준)
사용자-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네트워크측으로 구성되는 통신 네트워크 장비의 연결 수단. DCE는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물리적인 수단이 되며, 트래픽을 전송하고, DCE 장치와 DTE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동기화시키는 데 사용되는 클럭 처리 신호를 제공합니다. 모뎀과 인터페이스 카드는 DCE의 예입니다.

D channel : Data channel의 약자입니다. BRI에서 16Kbps나 PRI에서 64Kbps의 채널을 제공합니다. AODI는 바로 이 D채널을 이용한 통신입니다.

DDR : Dial-on-Demand Routing의 약자입니다. 라우팅이 필요할 때만 자동으로 세션을 연결하고 라우팅이 종료되면 세션을 자동으로 끊는 라우팅 방식을 말합니다. 주로 전화 회선이나 ISDN 등이 DDR에 많이 이용됩니다.

DECnet :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이 개발한 통신 제품군(프로토콜 패키지 포함). DECnet/OSI(DECnet Phase V라고도 함)는 가장 최근에 발표된 것이며, OSI 프로토콜과 전용 Digital 프로토콜을 모두 지원합니다. Phase IV Prime은 DECnet 노드를 MAC 주소와 관련된 한계가 있는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시스템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내장된 MAC 주소를 지원합니다. 하지만 요즘은 그리 많이 사용되는 편이 아니기 때문에 이런 것이 있다는 것 정도만 알아두자

Dedicated LAN : 전용 랜을 의미하는 말로 보통 스위치에서 연결된 라인을 말합니다. 즉 허브에 연결된 shared LAN과 대비되는 말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Dedicated line : 보통 전용회선이라고 부르며 영구적으로 전송을 위해 살아 있는 라인을 말합니다.
leased line(임대 회선)이라고도 합니다. 여기에 대치되는 말로는 dial-up line이 있습니다.

Default route : 라우팅 테이블에 지정되지 않은 목적지를 찾아가는 경우 사용하는 경로입니다. 즉 목적지가 라우팅 테이블이 존재하지 않을 때 라우터는 디폴트 라우트로 경로를 배정합니다.

Delay : 지연, 즉 송신자가 송신을 시작한 것과 수신자가 처음으로 응답을 받은 것 사이의 시간을 말합니다.

Designated router : OSPF에서 만들어지는 라우터로 멀티 액세스 네트워크를 위한 LSA를 생성하고 OSPF를 실행할 때 다른 특별한 책임을 지는 라우터입니다. 적어도 두 대의 라우터가 연결되어 있는 각 멀티 액세스 OSPF 네트워크에는 OSPF Hello 프로토콜에 의해 선택된 Designated router가 필요합니다.

Dial backup : WAN 구간이 다운되었을 때를 대비해서 다이얼 라인으로 백업라인을 구성할 수 있는데 이를 다이얼 백업이라고 합니다.

DLCI : Data-Link Connection Identifier의 약자입니다. 프레임 릴레이 네트워크에서 PVC나 SVC를 지정하는 값으로 사용됩니다.

DLSw : Data-Link Switching의 약자입니다. 데이터 링크 계층 스위칭과 캡슐화 기법을 사용해 TCP/IP 네트워크를 통해 SNA 트래픽과 NetBIOS 트래픽을 포워딩 하는 방식을 마련해 주는 RFC 1434에서 규정된 호환성 표준을 말합니다. DLSw SRB 대신에 SSP를 사용하며, 홉 카운트 한계, 브로드캐스트 트래픽, 시간 종료, 흐름 제어 기능 부족, 우선 순위 설정 기법 부족 등과 같은 SRB의 주요 한계를 제거했습니다.

DNS : Domain Name System의 약자입니다. 네트워크 호스트의 이름과 IP 주소를 맵핑해서 유저가 IP 주소 대신 호스트 이름으로 그 호스트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서버입니다.

Domain : 도메인은 인터넷에서 조직체 종류나 지형을 기초로 네트워크를 분류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말합니다. 요즘 인터넷 도메인명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합니다.

DS-0 : Digital Signal Level 0을 나타냅니다. T1 시설에서 64Kbps로 단일 채널을 통해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프레임 처리 규격을 말합니다.

DS-1 : Digital Signal Level 1을 나타냅니다. 북미에서 T1(1.544Mbps)의 속도로 디지털 신호를 전송 하거나, 유럽에서 E1(2.108Mbps)의 속도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프레임 처리 규격을 말합니다.

DS-3 : Digital Signal Level 3을 나타냅니다. T3(44.736Mbps)의 속도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프레임 처리 규격을 말합니다.

DSL : Digital Subscriber Line, 즉 디지털 가입자 라인을 뜻하는 약자입니다. 제한된 거리에서 기존의 구리선 배선을 통해 높은 대역폭을 제공하는 공공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입니다. DSL 에는 ADSL, HDSL, SDSL, VDSL 등의 네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네 가지 모두 한 쌍의 모뎀을 통해 제공됩니다. 즉, 한 모뎀은 교환국에 있고 다른 한 모뎀은 고객 사이트에 있게 됩니다. 대부분의 DSL 테크놀로지는 트위스티드 페어선의 전체 대역폭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음성 채널을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남게 됩니다.

DSU : Data Service Unit의 약자입니다. 라우터의 전용 회선을 연결할 때 라우터와 회선의 중간에 놓이게 되는 장비입니다. 종종 CSU와 함께 CSU/DSU 라고 표기되기도 합니다.

DTE : Data Terminal Equipment의 약자입니다. 사용자-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사용자측에서 데이터 발신 장치나 수신 장치, 또는 두 가지 겸용으로 사용되는 장치로, DTE는 모뎀과 같은 DCE 장치를 통해 데이터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일반적으로 DCE에 의해 생성된 클럭 처리 신호를 사용하게 됩니다. DTE에는 컴퓨터, 멀티플렉서 라우터 등과 같은 장치가 포함됩니다.

DVMRP : Distance Vector Multicast Routing Protocol 의 약자로, 대체로 RIP에 기초하고 있는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전형적인 밀집 모드 IP 멀티캐스트 기법을 구현합니다. DVMRP는 IGMP를 사용해 라우팅 데이터그램을 인접 프로토콜과 교환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