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 예시와 함께 이해하기

쉽게 이해 하기
NIC ( 랜카드 ) -> 물리 장비로서 완전히 L1 물리 계층이다.
랜 드라이버는 L2에서 L1 끄트머리에 겹쳐있다.
IP는 인터넷 (네트워크 계층)
TCP UDP는 전송 계층
- 크롬으로 인터넷에 접속하려면 chrome S/W가 실행되어야 하고
- 이 프로세스가 socket을 열어서 실행된다.
2. 중요한 Protocol

OSI 7 Layer에서 각 계층별 중요한 protocol은 외워두자.
L2 계층의 이더넷은 유선을 말한다.
L5의 SSL과 L7의 HTTP가 만나면
HTTPS가 되는데 신기하다.
3. 식별자
각 계층에서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가 존재하는데,
외우면 편하다.
L2 : MAC 주소
- L2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식별하는 식별자로, 물리 계층을 식별한다.
- 쉽게 말해 랜 드라이버가 랜 카드를 식별하는 것이다.
L3: IP 주소
- 네트워크 계층에서 식별하는 식별자로, 인터넷과 연결된 컴퓨터를 식별한다.
L4: PORT 번호
- L4 전송 계층에서 식별하는 식별자로, 프로세스를 식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