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수 ]
변수 : 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어떤 글자든지 가능하지만 한 가지의 값만 저장 가능)
변수의 선언 (초기화) : 초기값을 저장하는 것. 이를 "리터럴"이라고 함.
ex) int score;
int score = 30;
[ 타입 ]
타입 :
기본타입
- 정수타입 : byte, char, short, int, long
타입변환 : 작은 크기의 타입이 더 큰 타입으로 변환이 가능함. byte < short < int < long < float < double 식의 크기 순.
- 강제타입변환 (캐스팅) : 큰 크기의 타입이 작은 크기 타입으로 자동 타입 변환이 불가. 큰 그릇의 물을 작은 그릇에 넣을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 그러나, 쪼개서 저장하는 것은 가능. 이를 강제 타입변환, 캐스팅이라 함. 이 때, 캐스팅은 괄호를 사용.
ex) int intvalue = 1023314;
byte value = (byte) intvalue;
[ 연산자 ]
연산자 : 연산에 사용되는 표시나 기호. (+, -, *, == 등)
- 삼항연산자 : " A ? B : C "
A (조건식) ? B (true) : C (false)
[ 메소드 ]
[ 참조타입 ]
: 실제 값을 변수 안에 저장하는 기본타입과 달리, 메모리의 번지를 통해 객체를 참조. 스택 영역에 숫자 주소가 저장되고, 힙 영역에 문자가 저장되어 객체로 불러오는 구조.
- 배열타입 : [] 대괄호를 사용하여
- 생성방법 : int[] array = {1, 3, 5};
or
int[] array = new int [5];
- 배열길이 : 배열변수.length를 사용.
- 다차원배열 : int[][] > [행][열]
향상된 for 문 :
ex) int[] cat = {1, 3, 5};
for(int dog : cat) {
> cat의 값을 int dog에 담음.
- 열거타입 : 한정된 값만을 갖는 데이터 타입.
- 첫 글자는 대문자로 짓는 것이 관례.
- 소스파일 (.java) 을 생성.
- 열거타입을 선언하기 위해 public enum 키워드 사용.
- 열거타입에 선언된 값을 "열거상수"라고 함. 열거상수는 모두 대문자로 작성.
[ 클래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