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처기 실기 : 2021년 3회차 기출, 1️⃣ ~ 🔟

m_ngyeong·2025년 3월 20일
0
post-thumbnail

정보처리기사 실기


📝 2021년 3회차 기출, 1️⃣ ~ 🔟

1. Java Lang. - Object

class Connection {
  private static Connection _inst = null;
  private int count = 0;
    static public Connection get() {
      if(_inst == null) {
      _inst = new Connection();
      return _inst; 
      }
    return _inst;
    }
  public void count() { count ++; }
  public int getCount() { return count; }
}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nection conn1 = Connection.get();
    conn1.count();
    Connection conn2 = Connection.get();
    conn2.count();
    Connection conn3 = Connection.get();
    conn3.count();
    
    System.out.print(conn1.getCount());
  }
}

🖍️ 3
Connection conn1 = Connection.get();: 객체 생성

2. 정보 보호 기술: AAA

( ① ) 시스템을 접근하기 전에 접근 시도하는 사용자의 신원을 검증.
( ② ) 검증된 사용자에게 어떤 수준의 권한과 서비스를 허용.
( ③ ) 사용자의 자원(시간,정보,위치 등)에 대한 사용 정보를 수집.

① Authentication ② Authorization ③ Accounting

3. DCL - GRANT

🖍️

  • GRANT: 사용자(User)에게 접속권한, 오브젝트 생성권한, DBA 권한 등을 부여할 수 있는 명령어
  • REVOKE: 사용자에게 부여한 권한을 다시 회수하는 명령어

4. 스푸핑 공격

( ) 스푸핑은 근거리 통신망 하에서 ( )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데이터 패킷을 중간에서 가로채는 중간자 공격 기법이다. 이 공격은 데이터 링크 상의 프로토콜인 ( )를 이용하기 때문에 근거리상의 통신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공격이다.

🖍️ ARP

5. Coupling

어떤 모듈이 다른 모듈의 내부 논리 조직을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경우의 결합도이다. 하위 모듈에서 상위 모듈로 제어 신호가 이동하여 상위 모듈에게 처리 명령을 부여하는 권리 전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 Control

6. OSI 7 Layer

( ① ) 물리계층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정보의 전달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
( ② )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기능
( ③ ) 수신자에서 데이터의 압축을 풀수 있는 방식으로 된 데이터 압축

🖍️ ① 데이터링크 ② 네트워크 ③ 표현

  • 1 Layer: 물리계층(Physical Layer)
    단순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on/off)해서 주고받는 기능만 하며, 케이블, 리피터, 허브를 통해 데이터 전송한다.
  • 2 Layer: 데이터 링크계층(DataLink Layer)
    물리계층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정보의 전달을 수행하도록 역할을 가지며, MAC주소를 가지고 통신을 한다.
  • 3 Layer: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전송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경로를 찾아 전송하는 계층이다. 주소(IP)를 정하고, 경로(route)를 선택하여 패킷을 전달하는 것이 핵심이다.
  • 4 Layer: 전송 계층(Transport)
    데이터를 전송하고 전송 속도를 조절하며 오류가 발생된 부분은 다시 맞춰주며, 주로 TCP프로토콜을 사용한다.
  • 5 Layer: 세션 계층(Session)
    네트워크의 양쪽 연결을 관리하고 지속적으로 연결을 시켜키며, TCP/IP의 세션을 만들고 없애는 것을 반복한다.
  • 6 Layer: 표현 계층(Presentation)
    응용계층으로부터 전달받거나 전송하는 데이터의 인코딩(언어처리) 및 디코딩이 이루어진다.
    JPEG,TIFF,GIF 등의 다양한 포멧을 지원한다.
  • 7 Layer - 응용계층(Application)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사용자에게 보이는 유일한 계층으로 메일전송/인터넷접속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7. UML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개념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추상화'라하며,
이는 실세계의 복잡한 상황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개념화(槪念化)하는 것이다.

( ① )은 클래스들 사이의 전체 또는 부분 같은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고,
( ② )은 한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를 포함하는 상위 개념일 때 IS-A관계라하며, 일반화 관계로 모델링한다.

🖍️ ① Aggregation(연관 관계) ② Generalization(일반화 관계)

8. 테스트 케이스

식별자 ID테스트 항목( ① )( ② )( ③ )
DS-45S-21로그인 기능사용자 초기 화면사용자 아이디(Test11) / 비밀번호(test@#@!#)로그인 성공
DS-45S-25로그인 기능사용자 초기 화면사용자 아이디(Test11) / 비밀번호("")로그인 실패

🖍️ ① 테스트 조건, ② 테스트 데이터, ③ 예상 결과

9. BlackBox Test

( ) 통해 요구사항 명세를 입력 조건과 출력 조건 간의 논리적 관계로 표현하고, 이를 기반으로 테스트케이스를 도출한다.
( )의 ‘원인(causes)’은 입력 조건을 의미하고 ‘결과(effects)’는 입력 조건의 결과를 의미하며, 원인과 결과 간의 논리적 관계를 AND, OR, NOT 같은 boolean 연산자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 Case Effect Graph

10. 대칭키 암호 알고리즘

( )는 블록 암호의 일종으로, 미국 NBS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현재 NIST)에서 국가 표준으로 정한 암호이다.
( )는 64비트 평문을 64비트 암호문으로 암호화하는 대칭키 암호 알고리즘이다.
( )의 키는 7비트마다 오류검출을 위한 정보가 1비트씩 들어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56비트이다.

🖍️ DES



참고,
https://newbt.kr/시험/정보처리기사+실기
https://chobopark.tistory.com/217

profile
ʚȉɞ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