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 운영체제(11)파일, 파일 시스템

김영현·2023년 7월 12일
0

CS

목록 보기
13/32

File

A named collection of related information.
정보와 관련된 컬렉션에 이름을 붙인게 file이다.
사용자 입장에서 유의미하게 상호작용 하는게 파일인듯!

  • 보조기억 장치에 저장된다
  • OS가 저장장치들을 File단위로 볼 수있게 해준다.
  • create, write, read, delete, lseek(포인터)=reposition, open과 close는 뒤에서 설명 예정

Metadata(file attribute)
파일자체의 내용이 아니라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들이다.

  • 용량
  • 유형
  • 권한
  • 위치 등...
    개인 프로젝트에서 영상을 넘길때 metadata를 넘겼었는데, 이부분과 일치하는구나

open, close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적재할때, meatadata를 먼저 올린다.
meatadatadirectory가 존재한다. 따라서 하위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들도 손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 open으로 meatada를 불러와서 경로를 봐야 낭비를 덜한다.


참고로, open작업은 시스템 콜이기에 무조건 OS로 권한이 넘어가서 실행된다.
따라서 OS는 무엇이 메모리에 적재되는지 알기에, LFU나 LRU 같은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있다


Directory, Partition

파일 중 디렉토리 파일이란 것도 있다.
여기엔 meatadata중 일부가 저장된다. 흠. 그냥 디렉토리 관련 정보만 저장하는건가?

partition은 익숙하다. 물리적 저장장치를 가상으로 나누는 것.
=> Logical Disk

다른 파티션에 존재하는 FileSystem에 접근하려면, Mount를 해준다.


File Protection

파일을 보호해보자! 파일의 접근권한은 아무에게나 주면 안된다. 사용자가 여럿일 수도 있음.

참고로 r,w,xread,write,execution의 준말이다

  • Access control Matrix : 행렬 만들어서, 접근권한 부여. 하지만 공간 낭비가 좀 있다
  • Grouping : 유저를 3 그룹으로 분류하고, 접근권한을 3비트씩 표시한다.(3*3 9bit필요)
    일반적으로 자주 쓰이는 방식 중 하나다.
  • Password : 파일마다 암호화를 한다. (권한별로 * 모든 파일 = 오마이갓)

File Access

파일의 접근 방식은 두가지로 나뉜다.

  • 무조건 순서대로 봐야하는 순차적 접근(sequential access)
  • 임의의 순서로 접근이 가능한 직접 접근(direct,random access)

직접 접근 방식을 주로사용하지만, 순차적 접근이 필요한 파일도 있을 수 있다.

profile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기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