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okml explore 심화

이명진·약 5시간 전
0

LookML 정리

목록 보기
4/4

오늘은 Explore 에 대해서 자세히 작성해 본다.

Explore는 테이블을 만들때 사용한다. 여기서 dimention이랑 masure 랑 작업을 해서 한 결과를
대시보드와 looks 로 저장을 해서 데이터를 관리할수 있다

우선 가운데를 확인해보자

필터와 Visuallzation, data가 있다.

필터

필터 부분은 dimention, masure 를 이용해서 필터를 만들수 있다. custom한 dimention과 masure 도 필터가 가능하며
view에서 미리 작업한 parameter도 필터를 이용할수 있다.

필터는 아래 +필터 버튼으로 필터를 만들수 있으며 왼쪽에 dimention부분에서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역피라미드 버튼을 눌러도 필터를 생성이 가능하다
위에 FILTER-ONLY FIELDS 라는 것은 view에서 파라미터로 작업하면 여기에 추가가 된다

Visuallzation

이부분은 저장할수있는 결과물에 대해서 작업하는 것이다
DATA부분에서 작업한 내용들을 보이도록 수정할수 있다.
각 원본데이터를 DATA부분에서 다루고 여기서는 차트가 만약 테이블이라면 컬럼의 테이블 명 , dimention이름을 보기 좋게 수정할수 있으며 dimention의 값들을 소수점 둘쨋자리, 퍼센트 등등 custom가능한 부분까지 표시 항목을 수정할수 있다.

막대바를 확인하면 이름 옆에 다양한 그림들이 있는데 그림을 클릭하면 각각 테이블 차트 , 막대 차트 , 원 차트 , 그래프 등등 차트를 바꿀수 있다.
원하는 차트를 클릭하자

맨 오른쪽에 Edit 버튼을 누르면 각 테이블의 세부사항을 수정할수 있다

Plot 에서는 테마를 변경할수 있는데 Edit Chart Config를 누르면 코드 형식으로 나오는데 이용해보지는 않았다

Series에서는 각 세부 셀에 대해서 변경할수있다.

customization에서는 각각의 이름 , 포멧 형식을 수정할수 있으며 정렬, 색상 등등 을 설정할수 있다

Formatting 에서는 조건부 서식을 이용하여 색을 줄수가 있다

다만 값이 일치하거나 크거나 작거나 , 이상 이거나 이하 이거나 의 값만 수정할수 있다.

가장 높은 값을 찾아서 색칠해줘 라는 것은 안된다. 그리고 해당 컬럼만 색칠되서 값이 큰 값 부분의 전체 컬럼을 다 칠해줘 이런것은 불가능 한것 같다. (심화로 찾아보면 될것 같은데 못찾았다 )

DATA

위에서 잠깐 언급한 내용처럼 원본 데이터 가 나오는게 전부이다
result 부분은 결과를 볼수 있고 SQL을 누르면 SQL 코드가 나온다

여기서 팁은 SQL 부분을 보면 루커가 내가 만든 SQL을 다시 select 로 감싸서 그룹을 주고 실행시킨다

필터 부분을 만약 여기에 추가하면 전체 데이터에서 필터 를 거는 것이라서 상당히 느려질수 있다.
로딩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파라미터 로 옵션을 줘서 맨위에서 필터 작업을 거쳐서 데이터 양을 줄이게 되면
속도 측면에서 향상된 로딩시간을 만나볼수 있다.

맨 오른쪽 부분에는 row limit 이 걸려있는데 5000까지 걸린다
데이터가 많을 경우 5000까지 걸어버리면 로딩이 엄청 오래걸리기 때문에 visualiztion까지 활성화 되어 있으면
페이지가 버벅이게 된다

여기서 Visualiztion을 작업을 해야한다면 limit을 1로 지정하여 값을 보이게 실행하고 Visualiztion을 작업하게 된다면 훨씬 빠른속도로
작업할수 있다.

Total은 전체 더한 값을 컬럼별로 맨 아래에 Total로 빼준다 다만 measure 만 계산해준다

5000개만 보여주는 것도 단점인데 만약 데이터가 예로 만개 인데 오천개로 리밋을 끊어버리니
필터 걸때 5000개에서만 필터를 걸어줘서 가장 최대값을 못뽑아 낼때도 있다 주의하자

custom Fileds

이곳은 dimention이나 measure 를 커스텀 할수 있으며 Table calculations라고
테이블 내부 값을 이용해 계산 식을 한 결과를 도출할수 있다

여기 Custom에서는 다양한 함수들이 사용 가능하다 Max , if, sum , concat 등등 여러 함수가 등장하니
필요한 함수들을 활용해서 사용해보자

그 아래에는 dimention, 파라미터 , measure 들이 등장한다.
파라미터는 필터로만 사용할수 있다

dimention, measure 에서 원하는 것들만 클릭해서 데이터를 넣으면 data부분에 추가 되며 run을 눌렀을 경우 visuallzation에 추가가 되는 것이 보인다.

작업을 완료 하였으면 맨 오른쪽 상단의 톱니바퀴를 눌러서 대시보드나 looks로 저장이 가능하다

이전 포스트에서 대시보드 와 looks의 차이점에 대해서 작성하였으니 여기서는 이만 줄인다

profile
프론트엔드 개발자 초보에서 고수까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