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phics - 포스트 프로세싱) 복습을 위해 작성하는 글 2023-05-06
📒 갈무리 - 포스트 프로세싱(Post Processing)
📌 포스트 프로세싱이란?
- 기존에 렌더링된 씬에 렌더링 효과를 더하는 작업
- 포스트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씬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 이미지가 화면에 나타나기 전에 카메라의 이미지 버퍼에 전체 화면 필터와 효과를 적용한다. 이를 통해 설정 시간을 많이 들이지 않고도 애플리케이션의 시각 요소를 크게 향상할 수 있다.
- 물리적 카메라와 필름 프로퍼티를 시뮬레이션할 때도 사용된다.
📌 포스트 프로세싱의 종류
안티 앨리어싱(계단 현상 방지)
앰비언트 오클루전
Screen Space Reflaction
Depth of Feild
Motion Blur
블룸
Color Grading
Auto Exposure
📌 안티 앨리어싱(계단 현상 방지)
- 3D 폴리곤을 해상도가 제한된 2D 화면을 래스터화하는 경우 최종 픽셀에 엘리어싱 효과(오브젝트 모서리가 계단처럼 표시되는 것)가 발생하는데, 이 현상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기술
FXAA(Fast Approximate Anti-aliasing) : 모바일과 모션 벡터를 지원하지 않는 플랫폼을 위한 고속 알고리즘 (빠른 근사 안티앨리어싱)
SMAA(Subpixel Morphological Anti-aliasing) : 모바일과 모션 벡터를 지원하지 않는 플랫폼을 위한 고품질 저속 알고리즘 (공간적 안티앨리어싱)
TAA(Temporal Anti-aliasing) : 모션 벡터가 필요한 고급 기술로, 데스크톱과 콘솔 플랫폼에 이상적 (시간적 안티앨리어싱)
📌 앰비언트 오클루전(AO)
- 인접한 주름 또는 구멍 등의 주변광을 차단하여 좀 더 리얼한 그래픽을 표현하는 데 사용 (3D 영화에서는 필수로 사용하는 포스트 프로세싱 중 하나)
📌 Screen Space Reflaction
- 스크린 공간 데이터를 재사용하여 반사를 계산하는 기술
- 바닥같은 곳에 물체를 반사시킬 때 사용
- 많은 비용이 드는 기술이지만 올바르게 사용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모바일에 사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 Depth of Feild(피사계심도)
- 한 곳을 중심으로 초점을 맞추고 다른 곳은 흐리게 만들어, 한 곳에 집중하게 만드는 기술
📌 Motion Blur
- 이미지를 흐리게 만들어서 속도감을 주는데 사용하는 기술
📌 블룸
- 밝은 영역의 경계에서 확장되는 광원을 생성하여 매우 밝은 광원이 카메라를 뒤덮는 듯한 착시 효과를 만든다.
📌 Color Grading
- 오브젝트의 색을 변경하거나 강화하는 과정
📌 Auto Exposure(자동 노출)
- 피사체의 밝기를 카메라가 판단하여 자동적으로 밝기 노출 시간을 정해주는 기술
- 사람이 어두운 방에 오랜시간 있으면 눈이 적응되어 서서히 시야가 밝아지면서 사물이 보이기 시작하는 것처럼 사람이 보기 좋은 밝기 수준을 유지해주는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