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를 전송 채널로 연결하는 방법에 따라 점대점 방식과
멀티 포인트 방식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점대점 방식은 두 컴퓨터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다.
점대점 방식은 두 컴퓨터 간에 전용 케이블이 존재하므로
항상 통신이 가능하고 케이블의 전체 용량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연결 시킬 수 있는 컴퓨터의 수가
포트에 제약을 받으며, 케이블의 비용이 많이 든다.
점대점 방식의 통신의 예로는 허브와 컴퓨터 간의 통신이 있으며,
통신 프로토콜에는 ppp(point to point protocol)이 있다.
전송 매체의 수가 증가하면 가격이 증가하지만 성능이 증가하고
전송 매체의 수가 적으면 트래픽이 걸려 네트워크 혼잡도가 증가한다.
점대점 프로토콜이란 네트워크 분야에서 두 통신 노드간의 직접적인 연결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이다.
점대점 프로토콜은 인증,암호화를 통한 전송 및 데이터
압축이 가능하다.
점대점 프로토콜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에서 사용이된다.
멀티 포인트 방식은 다중점이라고도 하며, 하나의 케이블에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방식이다.
멀티포인트 방식은 케이블의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으나 여러 컴퓨터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충돌이 발생한다.
충돌을 회기하기 위해 회선 사용을 통제하는 access control이 필요하다
멀티 포인트 방식에 사용되는 회선의 액스 제어 방식은
#### 경쟁식 방법
회선 사용을 통제하는방법
두가지가 존재한다.
각 컴퓨터들이 임의로 회선을 사용하는 경쟁식 방법의 예로는 ethernet layer에서 사용하고 있는 프로토콜 csma 방식이 있다.
회선 사용을 통제하는 주 컴퓨터를 주 스테이션,통제를 받는 컴퓨터를 부 스테이션이라고 한다,
주 스테이션이란 회선 통제하는 주 컴퓨터를 주 스테이션,
통제를 받는 컴퓨터를 부 스테이션이라 하며, 주 스테이션이 회선을 제허나는 방법에는 폴링,선택 방법이 있다.
폴링은 라운드로빈 방식으로 주 스테이션이 부 스테이션에게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지 질의 하는 방법이다. 주스테이션이 부 스테이션에게 폴 메세지를 보내면
부 스테이션은 보낼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없는 경우에는 nak으로 응답한다.
선택은 주 스테이션이 특정 부 스테이션에게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스테이션이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는 지를 질의하는 방법이다. 주 스테이션이 부 스테이션에게 선택 메세지를 보내면 부 스테이션은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으면 ack로 응답하고, 주스테이션은 데이터를 전송한다.
위키피디아,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크 저자 오창석 교수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