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ta Communication

26개의 포스트
post-thumbnail

[데이터통신]양극성 AMI,biphase방식

양극성 AMI 양극성 AMI 방식은 0은 0V, 즉 선로 신호가 없고,1은 전압의 극성이 교대로 나타나며, 한 비트 시간 동안 전압 레벨이 유지된다. > **- 이진 1: +전압과 - 전압이 교대됨 이진 0: 선로 신호 없음 ** 양극성 AMI 방식은 1이 나타날 때마다 + 전압과 - 전압이 교대되므로 1이 자주 나타난다면 수신 측은 전압 극성이 변하는 시점에서 재동기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NRZ방식에 비해 대역폭이 적게 요구되며, 전압 극성이 교대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오류 검출도 가능하므로 장거리 통신에 사용된다. biphase 방식 한 비트 시간 동안에 최소한 한 번 이상의 전압 변동, 즉 천이(transition)가 일어나는 부호화 방식을 biphase 방식이라 한다. biphase 방식 방식에는 두가지 방식이 있다. Manchseter 코드 Manchseter 코드는 각 비트의 중간 지점에서 반드시 천이가 일어나는 형태의 대표

2023년 4월 1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데이터 통신] 채널 부호화

채널 부호화 채널 부호화는 오류 검출이나 동기 맞춤 등을 위해 컴퓨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다른 형태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이다. 채널 부호화 방법을 선택할 때에는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대역폭이 좁은가? DC(Direct Current,직류) 성분이 적은가? 비트 동기가 용이한가? 오류 검출 능력이 좋은가? 단순하여 비용이 적게 드는가? 채널 부호화 방식에는 NRZ방식,양극성 AMI방식,Biphase 방식, 다중 레벨 방식 등이 있다. NRZ방식 nrz(Non return to-zero)방식은 +-v의 양극성 전압으로 1과 0을 표현하며, 한 비트 시간 동안 전압 레벨이 유지된다.nrz 방식은 NRZ-L(NRZ-Level)과 NRZL(NRZ Inverted)로 구분된다. NRZ-L 이진 1: -전압(낮은 전압) 이진 0: + 전압(높은 전압) ![](https://velog.velcdn.com/images/lixxce/po

2023년 4월 1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데이터통신]정보원 부호화

먼저 부호화(endcode)란? 어떤 형태의 정보나 데이터를 다른 형태나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를 보안적으로 안전하게 전송하거나 저장할 수 있습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호화는 일련의 규칙이나 방법을 사용하여 입력 데이터를 다른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텍스트를 암호화하는 경우 텍스트를 특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암호화된 형태로 변환합니다. 이렇게 암호화된 데이터는 보안적으로 안전하게 전송하거나 저장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복호화(decode)는 부호화된 데이터를 원래의 형태나 형식으로 다시 변환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부호화된 데이터를 읽거나 처리할 수 있습니다. 정보원 부호화 정보원 부호화는 음성이나 영상과 같은 아날로그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하기 위해 디지털로 변환하는 기능입니다. pcm Pulse Code Modulation(Pcm)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중 하나입

2023년 4월 1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데이터통신]ARQ(Automatoc Repeat reQuest) Go-back-N ARQ &Selctive AQR

ARQ(Automatoc Repeat reQuest) Go-back-N ARQ &Selctive AQR 연속적 ARQ GO-BACK-N ARQ 방식은 N개까지의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n을 최대 WINDOW 크기라고 하며, k비트의 프레임 순서 번호와 최대 윈도우 크기 n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N=2ek-1 수신 측에서는 수신한 프레임에 오류가 없을 경우 몇 개의 프레임에 대하여 ACK 응답을 보낼수도 있다. 송신 측에서는 프레임들을 연속적으로 전송하며, 만일 수신 측으로부터 NAK 응답을 받게 되면 이미 송신한 프레임이라 하더라도 NAK 응답을 받은 해당 프레임부터 다시 재전송한다. 업로드중.. Selctive AQR 선택적 arq ![](https://velog.velcdn.com/images/lixxce/pos

2023년 4월 1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데이터통신]ARQ(Automatoc Repeat reQuest) stop and wait

ARQ(Automatoc Repeat reQuest) 재전송 기반 에러제어 신뢰성 있는 에러제어를 위한 재전송 기반 하는,제어방식 검출후 재전송 방식 또는 ARQ 기법` 이라고도 함 신뢰성을 보장하는 프로토콜 tcp에서 사용한다. ARQ에는 정지-대기 ARQ와 Go-back-N ARQ가 있다. 정지-대기ARQ 정지 대기 arq의 동작 방식 ** seder 측과 receive측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한다. -송신 측: 타임아웃 타이머 구동 -수신 측:ack/nak 응답 또는 무응답 ** 정지-대기ARQ의 동작 송신측에서는 프레임0을 송신하고 수신측으로부터 응답을 기다린다. 수신측에서는 프레임 0이 도착하면 crc 오류 검사를 하여 오류가 없으면 프레임 0을 수신하고, 후속프레임

2023년 4월 1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데이터통신]오류제어 기법 :패리티 검사,crc 오류검출

데이터 통신시 전송되는 프레임에는 다음과 같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프레임 상실: 프레임이 수신 측에 도착하지 못하여 프레임이 상실될 수 있습니다. -프레임 지연: 프레임이 너무 늦게 도착할 수도 있습니다. -프레임 손상: 프레임이 손상되어 수신 측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프레임의 순서 바뀜과 잘못된 배달: 프레임이 송신한 순서와 다르게 프레임들이 도착할 수도 있으며, 목적지가 아닌 곳에 프레임이 잘못 도착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이때 프레임에 손상된 경우에는 오류를 검출하여 송신 측에 재전송을 요청하거나 수신 측이 자체적으로 오류를 정정하여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오류제어에는 **-오류무시 -패리티 검사 -crc코드 -convolutional code ** 기법들이 있습니다. 패리티 검사 오류 검출 기법 중 하나입니다. 1차원 패리티검사와 2차원 패리티 검사가 있습니다. ![](https://velog.velcdn.com/imag

2023년 4월 1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컴퓨터네트워크]Gratuitous ARP란?

Gratuitous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란 호스트가 자신의 mac 주소를 대상 ip 주소에 대한 브로드캐스트로 보내는 arp 메세지입니다. 이러한 arp 메세지는 호스트가 네트워크에 처음 연결될 때 다른 호스트들에게 자신의 ip 주소를 알리는 데 사용됩니다. 이때 호스트는 자신의 ip주소와 mac주소를 사용하여 arp 요청 패킷을 보내며, 다른 호스트의 ip주소를 요청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arp 메세지는 Gratuitous ARP 메세지라고도 합니다. Gratuitous ARP 메시지의 목적 1.ip 주소 충돌 방지 호스트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또는 ip 주소를 변경할 때 다른 호스트가 이미 사용중인 ip주소를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하려면 Gratuitous ARP 메세지를 사용하면 됩니다. 이 경우, 호스트는 자신의 ip 주소와 mac 주소를 사용하여 Gratuitous ARP 메세지를 보내

2023년 4월 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컴퓨터네트워크]ARP

ARP 주소 결정 프로토콜(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란 네트워크 상에서 ip주소를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mac)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입니다. 로컬 네트워크에서는 단말과 단말 간 통신을 하기위해서 ip 주소와 함께 mac주소를 이용하게 되는데 ip 주소를 mac address와 매칭하여 목적지 ip의 단말이 소유한 mac 주소를 향해 제대로 찾아가기 위함입니다. arp의 기본동작 요청 주소 결정이 필요한 장비의 ip 주소를 브로드캐스트 메세지로 전송. 2.응답 해당 장비가 자신의 mac 주소를 송신자에게 유니캐스트 메세지로 전송 두 가지 방법으로 기본적으로 동작합니다. 위 사진 설명 1.출발지 장비에서 arp 캐시 확인 2.출발지

2023년 4월 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데이터 통신]연결형과 비연결형

통신 당사자 간에 전송로를 설정하는 방법에 따라 연결형 방식과 비연결형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연결형 방식 연결형 방식은 전화와 마찬가지로 미리 상대방과의 전송로를 설정한 다음 통신하는 방식이다. 연결형의 통신프로토콜의 primitive와 연관지은 절차이다. 1,connect.requset 2.connect.indication 3.connect.resopnse 4.connect.confrim data 6.data.acknowledge 7.disconnect 연결형 방식은 결국 요약하면 연결 설정,데이터 전달, 연결 종료로 요약되어진다. 연결형의 특징 -연결을 설정하는 데 오버헤드와 지연이 발생한다. -수신 측이 통신 가능한 상태여야 한다. -데이터 전달 도중에는 연결이 유지되

2023년 4월 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데이터통신]점대점 포인트와 멀티포인트

컴퓨터를 전송 채널로 연결하는 방법에 따라 점대점 방식과 멀티 포인트 방식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점대점 방식 점대점 방식은 두 컴퓨터를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다. 점대점 방식은 두 컴퓨터 간에 전용 케이블이 존재하므로 항상 통신이 가능하고 케이블의 전체 용량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연결 시킬 수 있는 컴퓨터의 수가 포트에 제약을 받으며, 케이블의 비용이 많이 든다. 점대점 방식의 통신의 예로는 허브와 컴퓨터 간의 통신이 있으며, 통신 프로토콜에는 ppp(point to point protocol)이 있다. 전송 매체의 수가 증가하면 가격이 증가하지만 성능이 증가하고 전송 매체의 수가 적으면 트래픽이 걸려 네트워크 혼잡도가 증가한다. ppp(point to point p

2023년 4월 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Data Communication Ch.1

OSI 7 Layer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은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서 개발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모델이며, OSI 7 Layer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누어 정의한 것이다. OSI 7 Layer 모델 은 Physical Layer, Datalink Layer, Network Layer, Transport Layer, Session Layer, Presentation Layer, Application Layer 의 7개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7 layer으로 나눈 이유? OSI 모델에서 프로토

2023년 3월 27일
·
0개의 댓글
·

Switching

1. Switched Network When there are multiple devices, how do you connect each device on a one-to-one basis? -> Switching : Consists of a series of interlinked nodes, called switches. Three Methods of Switching > >1. Circuit Switching : 회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 >2. Packet Switching : 데이터를 일정한 단위로 교환하는 방식 -> Datagram approach : packet의 정보를 참조해 교환 -> Virtual-circuit approach : Circuit을 virtual로 만들면

2022년 12월 6일
·
0개의 댓글
·

Wireless LAN

1. Introduction Wired VS Wireless Wired : 통신 선로가 있음 -> Infra가 있다! Wireless : 통신 선로가 없음 -> Ad Hoc Network -> Infraless Ad Hoc Network : Network without infrastructure -> 이동이 가능하고 무선으로만 전송할 수 있는 단말기들로만 구성된 network -> No need a base network or an access point (only organized b

2022년 12월 4일
·
0개의 댓글
·

Ethernet

1. IEEE Standard for LANs >- Ethernet MAC >- Token ring MAC : Physical ring 형태를 구성해서 토큰을 주고받으며 medium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방식 >- Token bus MAC : 형태는 Bus이지만 Logical ring을 구성해서 토큰을 주고받으며 medium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방식 -> Network Interface Card를 장착하면 Data-link layer, Physical lalyer에 상호간에 알맞은 방식으로 설정, 구현이 되어있다. --

2022년 12월 3일
·
0개의 댓글
·

Local Area Network

1. Topology Bus Topology > >- 모든 node들이 양 끝에 terminator (저항)가 있는 하나의 transmission medium에 의존해서 통신한다. >- 통신 link가 끊어지게 되면 시스템이 마비된다. Star Topology > >- 각각의 노드들은 공통되는 중앙 노드에 연결되어 통신한다. >- 2개의 point-to-point 링크를 사용한다. 각각 전송, 수신 용도 >- 특정 노드와의 통신 link가 끊어지더라도 다른 노드들간의 통신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 Centr

2022년 12월 2일
·
0개의 댓글
·

Data Link Control Protocols

1. Data Link Control Protocols Physical Layer : 신호를 송, 수신 DataLink Layer : Frame 단위를 송, 수신 >- Frame Synchronization : 송신측, 수신측 동일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동기화되어야 한다. >- Flow Control : 송신측에서는 수신측에서 수용 가능한 Buffer사이즈에 알맞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관찰, 흐름제어가 되어야한다. -> Overflow 방지 >- Error Control : Error Detection + Error Correction Error Correction : Retransmiss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 Retran

2022년 11월 30일
·
0개의 댓글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1. Types of Errors Single bit errors : 하나의 비트에 대해서만 발생하는 오류 -> can occur white noise Burst errors : 하나의 데이터 무리에 집단적으로 발생하는 오류 -> can occur impulse noise -> has greater effect at higher data rates 2. Error Detection Error Control : Error Detection + Error Correction 프레임 단위의 Error Detection 경우, 고려할 사항들 ![](https://velog.velcdn.com/images/taegon1998/post/19f9a40f-fce5-4347-9272-6f

2022년 11월 28일
·
0개의 댓글
·

Multiplexing

1. Multiplexing Channel : 여러개의 input data 가 하나의 link 로 전달되어질 때, 각각의 input 을 수용할 수 있는 논리적인 단위 FDM and TDM >- 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같은 시간에 여러개의 Carrier 주파수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법 본인에게 주어진 주파수 -> Channel Analog Multiplexing >- 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여러 시간대로 나누어서

2022년 11월 5일
·
0개의 댓글
·

Transmission Media

1. Claases of transmission media ->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물리적 경로로써 Physical Layer의 제어를 받는다. -> 유, 무선 media 의 주파수 대역을 보여주고 있으며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간격이 넓어진다는 특성을 가지고있다. 2. Guided Transmission Media 한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가는 통로를 제공한다. 종류 : Twisted Pair (TP), Coaxial cable, Optical fiber ![](https://velog.velcdn.c

2022년 11월 4일
·
0개의 댓글
·

Analog Transmission

1. Digital to Analog conversion Amplitude, Frequency, Phase 이용 표현 단위 : Bit rate, Baud rate 사용 Carrier signal : 정보를 담고있는 signal Digtal data -> Analog signal : Modulator Analog signal -> Digital data : Demodulator Modulator + Demodulator = MODEM 2. ASK (Amplitude Shift Keying) Amplitude 를 바꿈으로써 Carrier signal의 signal element 를 구별할 수 있다. 잡음이 많은 환경에서 신호 구분이 어렵다. -> 노이즈에 의해서

2022년 11월 4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