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1) 세 차례의 코딩 테스트와 두 차례의 면접이라는 기나긴 블라인드 공채를 무사히 통과해 카카오에 입사한 무지는 파일 저장소 서버 관리를 맡게 되었다.
저장소 서버에는 프로그램의 과거 버전을 모두 담고 있어, 이름 순으로 정렬된 파일 목록은 보기가 불편했다. 파일을 이름 순으로 정렬하면 나중에 만들어진 ver-10.zip이 ver-9.zip보다 먼저 표시되기 때문이다.
버전 번호 외에도 숫자가 포함된 파일 목록은 여러 면에서 관리하기 불편했다. 예컨대 파일 목록이 ["img12.png", "img10.png", "img2.png", "img1.png"]일 경우, 일반적인 정렬은 ["img1.png", "img10.png", "img12.png", "img2.png"] 순이 되지만, 숫자 순으로 정렬된 ["img1.png", "img2.png", "img10.png", img12.png"] 순이 훨씬 자연스럽다.
무지는 단순한 문자 코드 순이 아닌, 파일명에 포함된 숫자를 반영한 정렬 기능을 저장소 관리 프로그램에 구현하기로 했다.
소스 파일 저장소에 저장된 파일명은 100 글자 이내로, 영문 대소문자, 숫자, 공백(" "), 마침표("."), 빼기 부호("-")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파일명은 영문자로 시작하며, 숫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다.
파일명은 크게 HEAD, NUMBER, TAIL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HEAD
는 숫자가 아닌 문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소한 한 글자 이상이다.NUMBER
는 한 글자에서 최대 다섯 글자 사이의 연속된 숫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앞쪽에 0이 올 수 있다. 0부터 99999 사이의 숫자로, 00000이나 0101 등도 가능하다.TAIL
은 그 나머지 부분으로, 여기에는 숫자가 다시 나타날 수도 있으며, 아무 글자도 없을 수 있다.파일명 | HEAD | NUMBER | TAIL |
---|---|---|---|
foo9.txt | foo | 9 | .txt |
foo010bar020.zip | foo | 010 | bar020.zip |
F-15 | F- | 15 | (빈 문자열) |
파일명을 세 부분으로 나눈 후, 다음 기준에 따라 파일명을 정렬한다.
무지를 도와 파일명 정렬 프로그램을 구현하라.
입력형식
입력으로 배열 files가 주어진다.
나의 풀이 (feat. ChatGPT)
package programmers;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Comparator;
import java.util.regex.Matcher;
import java.util.regex.Pattern;
public class FileNameSort {
static class File {
String head, number, tail;
File(String head, String number, String tail){
this.head = head;
this.number = number;
this.tail = tail;
}
}
public static String[] solution(String[] files) {
File[] fileObjs = new File[files.length];
Pattern p = Pattern.compile("^([^\\d]+)(\\d+)(.*)");
for(int i = 0; i < files.length; i++) {
Matcher m = p.matcher(files[i]);
if (m.find()) {
fileObjs[i] = new File(m.group(1), m.group(2), m.group(3));
}
}
Arrays.sort(fileObjs, new Comparator<File>() {
@Override
public int compare(File o1, File o2) {
int headCompare = o1.head.compareToIgnoreCase(o2.head);
if (headCompare != 0) return headCompare;
int number1 = Integer.parseInt(o1.number);
int number2 = Integer.parseInt(o2.number);
return Integer.compare(number1, number2);
}
});
String[] answer = new String[files.length];
for (int i = 0; i < fileObjs.length; i++) {
answer[i] = fileObjs[i].head + fileObjs[i].number + fileObjs[i].tail;
}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answer));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files = {"F-5 Freedom Fighter", "B-50 Superfortress", "A-10 Thunderbolt II", "F-14 Tomcat"};
solution(files);
}
}
📑 문2) 철수는 롤케이크를 두 조각으로 잘라서 동생과 한 조각씩 나눠 먹으려고 합니다. 이 롤케이크에는 여러가지 토핑들이 일렬로 올려져 있습니다. 철수와 동생은 롤케이크를 공평하게 나눠먹으려 하는데, 그들은 롤케이크의 크기보다 롤케이크 위에 올려진 토핑들의 종류에 더 관심이 많습니다. 그래서 잘린 조각들의 크기와 올려진 토핑의 개수에 상관없이 각 조각에 동일한 가짓수의 토핑이 올라가면 공평하게 롤케이크가 나누어진 것으로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롤케이크에 4가지 종류의 토핑이 올려져 있다고 합시다. 토핑들을 1, 2, 3, 4와 같이 번호로 표시했을 때, 케이크 위에 토핑들이 [1, 2, 1, 3, 1, 4, 1, 2] 순서로 올려져 있습니다. 만약 세 번째 토핑(1)과 네 번째 토핑(3) 사이를 자르면 롤케이크의 토핑은 [1, 2, 1], [3, 1, 4, 1, 2]로 나뉘게 됩니다. 철수가 [1, 2, 1]이 놓인 조각을, 동생이 [3, 1, 4, 1, 2]가 놓인 조각을 먹게 되면 철수는 두 가지 토핑(1, 2)을 맛볼 수 있지만, 동생은 네 가지 토핑(1, 2, 3, 4)을 맛볼 수 있으므로, 이는 공평하게 나누어진 것이 아닙니다. 만약 롤케이크의 네 번째 토핑(3)과 다섯 번째 토핑(1) 사이를 자르면 [1, 2, 1, 3], [1, 4, 1, 2]로 나뉘게 됩니다. 이 경우 철수는 세 가지 토핑(1, 2, 3)을, 동생도 세 가지 토핑(1, 2, 4)을 맛볼 수 있으므로, 이는 공평하게 나누어진 것입니다. 공평하게 롤케이크를 자르는 방법은 여러가지 일 수 있습니다. 위의 롤케이크를 [1, 2, 1, 3, 1], [4, 1, 2]으로 잘라도 공평하게 나뉩니다. 어떤 경우에는 롤케이크를 공평하게 나누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롤케이크에 올려진 토핑들의 번호를 저장한 정수 배열 topping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롤케이크를 공평하게 자르는 방법의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입출력 예
topping | result |
---|---|
[1, 2, 1, 3, 1, 4, 1, 2] | 2 |
[1, 2, 3, 1, 4] | 0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나의 풀이
HashMap을 사용한 방법
package programmers;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HashSet;
public class CuttingCake {
public static int solution(int[] topping) {
int answer = 0;
HashMap<Integer, Integer> firstHalf = new HashMap<>();
HashMap<Integer, Integer> secondHalf = new HashMap<>();
for(int top : topping) {
secondHalf.put(top, secondHalf.getOrDefault(top,0) + 1);
}
for(int i = 0; i < topping.length - 1 ; i++) {
firstHalf.put(topping[i], firstHalf.getOrDefault(topping[i], 0) + 1);
secondHalf.put(topping[i], secondHalf.get(topping[i]) - 1);
if(secondHalf.get(topping[i]) == 0) {
secondHalf.remove(topping[i]);
}
if(firstHalf.size() == secondHalf.size()) {
answer++;
}
}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topping = {1,2,1,3,1,4,1,2};
solution(topping);
}
}
📑 문3 ) 자연수 x
를 y
로 변환하려고 합니다. 사용할 수 있는 연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x
에 n
을 더합니다x
에 2
를 곱합니다.x
에 3
을 곱합니다.자연수 x
, y
, n
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x
를 y
로 변환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연산 횟수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이때 x
를 y
로 만들 수 없다면 -1을 return 해주세요.
제한사항
입출력 예
x | y | n | result |
---|---|---|---|
10 | 40 | 5 | 2 |
10 | 40 | 30 | 2 |
2 | 5 | 4 | -1 |
나의 풀이
package programmers;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public class NumberConverter {
public static int solution(int x, int y, int n) {
if (x == y) {
return 0;
}
boolean[] visited = new boolean[y+1];
Queue<int[]> queue = new LinkedList<>();
queue.offer(new int[] {x,0});
visited[x] = true;
while(!queue.isEmpty()) {
int[] current = queue.poll();
int currentValue = current[0];
int currentCount = current[1];
System.out.printf("currentValue: %d currentCount: %d \n", currentValue, currentCount);
int[] nextValues = new int[]{currentValue + n, currentValue * 2, currentValue * 3};
for(int nextValue : nextValues) {
System.out.println(nextValue);
if(nextValue == y) {
return currentCount + 1;
}
if(nextValue > 0 && nextValue <= y && !visited[nextValue]) {
visited[nextValue] = true;
queue.offer(new int[]{nextValue, currentCount + 1});
}
}
}
return -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olution(10, 40, 5);
}
}
📑 문4) 가로 길이가 2이고 세로의 길이가 1인 직사각형모양의 타일이 있습니다. 이 직사각형 타일을 이용하여 세로의 길이가 2이고 가로의 길이가 n인 바닥을 가득 채우려고 합니다. 타일을 채울 때는 다음과 같이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예를들어서 n이 7인 직사각형은 다음과 같이 채울 수 있습니다.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이 직사각형을 채우는 방법의 수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입출력 예
n | result |
---|---|
4 | 5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나의 풀이
package programmers;
public class NTiling {
public static int solution(int n) {
int mod = 1000000007;
int[] dp = new int[n+1];
dp[1] = 1;
dp[2] = 2;
for(int i = 3; i <= n; i++) {
dp[i] = (dp[i-1] + dp[i-2]) % mod;
}
return dp[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olution(4);
}
}
📑 문5) 양의 정수 x에 대한 함수 f(x)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f(2) = 3
입니다. 다음 표와 같이 2보다 큰 수들 중에서 비트가 다른 지점이 2개 이하이면서 제일 작은 수가 3이기 때문입니다.수 | 비트 | 다른 비트의 개수 |
---|---|---|
2 | 000...0010 | |
2 | 000...0011 | 1 |
f(7) = 11
입니다. 다음 표와 같이 7보다 큰 수들 중에서 비트가 다른 지점이 2개 이하이면서 제일 작은 수가 11이기 때문입니다.수 | 비트 | 다른 비트의 개수 |
---|---|---|
7 | 000...0111 | |
8 | 000...1000 | 4 |
9 | 000...1001 | 3 |
10 | 000...1010 | 3 |
11 | 000...1011 | 2 |
정수들이 담긴 배열 numb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numbers의 모든 수들에 대하여 각 수의 f 값을 배열에 차례대로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입출력 예
numbers | result |
---|---|
[2,7] | [3,11] |
나의 풀이
처음 생각한 방법 (시간 초과)
package programmers;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DifferentBit {
public static long[] solution(long[] numbers) {
long[] answer = new long[numbers.length];
int idx = 0;
for(long number : numbers) {
String a = Long.toBinaryString(number);
String paddedA = String.format("%50s", a).replace(' ', '0');
long nextNum = number + 1;
while(true) {
long xorResult = number ^ nextNum;
int diffBitCount = Long.bitCount(xorResult);
if(diffBitCount <= 2) {
answer[idx++] = nextNum;
break;
}
nextNum++;
}
}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ong[] numbers = {2,7};
solution(numbers);
}
}
홀수와 짝수를 나누어 생각한 로직
package programmers;
public class DifferentBit {
public static long[] solution(long[] numbers) {
long[] answer = new long[numbers.length];
for (int i = 0; i < numbers.length; i++) {
if (numbers[i] % 2 == 0) {
answer[i] = numbers[i] + 1;
} else {
String binaryString = Long.toBinaryString(numbers[i]);
if (!binaryString.contains("0")) {
binaryString = "10" + binaryString.substring(1);
} else {
int lastZeroIndex = binaryString.lastIndexOf("0");
int nextOneIndexAfterZero = binaryString.indexOf("1", lastZeroIndex);
binaryString = binaryString.substring(0, lastZeroIndex) + "1" +
"0" + binaryString.substring(nextOneIndexAfterZero + 1);
}
answer[i] = Long.parseLong(binaryString, 2);
}
}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ong[] numbers = {2,7};
solution(numbers);
}
}
나의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