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1) 정수로 이루어진 배열 numbers가 있습니다. 배열 의 각 원소들에 대해 자신보다 뒤에 있는 숫자 중에서 자신보다 크면서 가장 가까이 있는 수를 뒷 큰수라고 합니다.
정수 배열 numb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원소에 대한 뒷 큰수들을 차례로 담은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단, 뒷 큰수가 존재하지 않는 원소는 -1을 담습니다.
제한사항
입출력 예
numbers | result |
---|---|
[2, 3, 3, 5] | [3, 5, 5, -1] |
[9, 1, 5, 3, 6, 2] | [-1, 5, 6, 6, -1, -1]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2의 뒷 큰 수는 3입니다. 첫 번째 3의 뒷 큰수는 5입니다. 두 번째 3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5는 뒷 큰수가 없으므로 -1입니다. 위 수들을 차례대로 배열에 담으면 [3,5,5,-1]
이 됩니다.
입출력 예 #2
9는 뒷 큰수가 없으므로 -1입니다. 1의 뒷 큰수는 5이며, 5와 3의 뒷 큰 수는 6입니다. 6과 2는 뒷 큰수가 없으므로 -1입니다. 위 수들을 차례대로 배열에 담으면 [-1,5,6,6,-1,-1]
이 됩니다.
나의 풀이
이중 loop 로직 (타임에러 발생)
package programmers;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FindTheNextBigNumber {
public static int[] solution(int[] numbers) {
int[] answer = new int[numbers.length];
for(int i = 0; i < numbers.length; i++) {
answer[i] = - 1;
for(int j = i + 1; j < numbers.length; j++) {
if(numbers[j] > numbers[i]) {
answer[i] = numbers[j];
break;
}
}
}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answer));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bers = {9,1,5,3,6,2};
solution(numbers);
}
}
Stack을 이용한 로직
package programmers;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Stack;
public class FindTheNextBigNumber {
public static int[] solution(int[] numbers) {
int[] answer = new int[numbers.length];
Stack<Integer> stack = new Stack<>();
Arrays.fill(answer, -1);
for(int i = 0; i < numbers.length; i++) {
while (!stack.isEmpty() && numbers[stack.peek()] < numbers[i]) {
answer[stack.pop()] = numbers[i];
}
stack.push(i);
}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bers = {9,1,5,3,6,2};
solution(numbers);
}
}
나의 생각
{9,1,5,3,6,2} 배열을 사용하여 로직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단계별로 보자.
먼저, answer 배열을 -1로 초기화 한다.
빈 스택 stack을 생성
1. i = 0, numbers[i] = 9
- 스택은 비어있으므로 9의 인덱스 0을 stack에 추가
- stack = {0}
2. i = 1, numbers[i] = 1
- 스택의 top 원소에 해당하는 값 numbers[0] = 9는 1보다 큼
- 1의 인덱스 1을 stack에 추가
- stack = {0,1}
3. i = 2, numbers[i] = 5
- 스택의 top 원소에 해당하는 값 numbers[1] = 1은 5보다 작음,
따라서, answer[1] = 5로 설정하고 인덱스 1을 stack에서 제거
- 그 다음, number[0] = 9는 5보다 큼
- 5의 인덱스 2를 stack에 추가
- stack = {0,2}
4. i = 3, numbers[i] = 3
- 스택의 top 원소에 해당하는 값 number[2] = 5는 3보다 큼
- 3의 인덱스 3을 stack에 추가
- stack = {0,2,3}
5. i = 4, numbers[i] = 6
- 스택의 top 원소에 해당하는 값 numbers[3] = 3은 6보다 작음
따라서, answer[3] = 6으로 설정하고 인덱스 3을 stack에서 제거
- 그 다음, numbers[2] = 5도 6보다 작음
따라서, answer[2] = 6으로 설정하고 인덱스 2를 stack에서 제거
- numbers[0] = 9는 6보다 큼
- 6의 인덱스 4를 stack에 추가
- stack = {0,4}
6. i = 5, numbers[i] = 2
- 스택의 top 원소에 해당하는 값 numbers[4] = 6은 2보다 큼
- 2의 인덱스 5를 stack에 추가
- stack = {0,4,5}
배열의 순회가 끝나면, answer 배열은 [-1,5,6,6,-1,-1]이 됨
📑 문2) 게임 캐릭터를 4가지 명령어를 통해 움직이려 합니다.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U: 위쪽으로 한 칸 가기
D: 아래쪽으로 한 칸 가기
R: 오른쪽으로 한 칸 가기
L: 왼쪽으로 한 칸 가기
캐릭터는 좌표평면의 (0, 0) 위치에서 시작합니다. 좌표평면의 경계는 왼쪽 위(-5, 5), 왼쪽 아래(-5, -5), 오른쪽 위(5, 5), 오른쪽 아래(5, -5)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ULURRDLLU"로 명령했다면
이때, 우리는 게임 캐릭터가 지나간 길 중 캐릭터가 처음 걸어본 길의 길이를 구하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위의 예시에서 게임 캐릭터가 움직인 길이는 9이지만, 캐릭터가 처음 걸어본 길의 길이는 7이 됩니다. (8, 9번 명령어에서 움직인 길은 2, 3번 명령어에서 이미 거쳐 간 길입니다)
단, 좌표평면의 경계를 넘어가는 명령어는 무시합니다.
예를 들어, "LULLLLLLU"로 명령했다면
이때 캐릭터가 처음 걸어본 길의 길이는 7이 됩니다.
명령어가 매개변수 dirs로 주어질 때, 게임 캐릭터가 처음 걸어본 길의 길이를 구하여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입출력 예
dirs | answer |
---|---|
"ULURRDLLU" | 7 |
"LULLLLLLU" | 7 |
나의 풀이
package programmers;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LinkedHashSet;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Set;
public class VisitLength {
public static int solution(String dirs) {
int[] current = {0,0};
Set<List<Integer>> paths = new LinkedHashSet<>();
for(int i = 0; i < dirs.length(); i++) {
int oldX = current[0];
int oldY = current[1];
switch (dirs.charAt(i)) {
case 'U':
current[1] +=1;
break;
case 'D':
current[1] -=1;
break;
case 'R':
current[0] +=1;
break;
default:
current[0] -=1;
break;
}
if (current[0] < -5 || current[0] > 5 || current[1] < -5 || current[1] > 5) {
current[0] = oldX;
current[1] = oldY;
continue;
}
paths.add(Arrays.asList(oldX, oldY, current[0], current[1]));
paths.add(Arrays.asList(current[0], current[1], oldX, oldY));
}
System.out.println(paths);
return paths.size() / 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olution("LULLLLLLU");
}
}
📑 문3) 초 단위로 기록된 주식가격이 담긴 배열 pric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가격이 떨어지지 않은 기간은 몇 초인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사항
입출력 예
prices | return |
---|---|
[1,2,3,2,3] | [4,3,1,1,0] |
입출력 예 설명
나의 풀이
package programmers;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public class StockPrice {
public static int[] solution(int[] prices) {
Queue<Integer> queue = new LinkedList<>();
for(int price : prices) {
queue.add(price);
}
int[] answer = new int[prices.length];
int cnt = 0;
while(!queue.isEmpty()) {
cnt++;
int temp = queue.poll();
int second = 0;
for(int a : queue) {
if(temp > a) {
second++;
break;
}else {
second++;
}
}
answer[cnt - 1] = second;
}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prices = {1,2,3,2,3};
solution(prices);
}
}
더 효율적인 로직
package programmers;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StockPrice {
public static int[] solution(int[] prices) {
int n = prices.length;
int[] answer = new int[n];
for(int i = 0; i < n; i++) {
int time = 0;
for(int j = i + 1; j < n; j++) {
time++;
if(prices[i] > prices[j]) {
break;
}
}
answer[i] = time;
}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answer));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prices = {1,2,3,2,3};
solution(prices);
}
}
📑 문4) 선행 스킬이란 어떤 스킬을 배우기 전에 먼저 배워야 하는 스킬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선행 스킬 순서가 스파크 → 라이트닝 볼트 → 썬더일때
, 썬더
를 배우려면 먼저 라이트닝 볼트
를 배워야 하고, 라이트닝 볼트
를 배우려면 먼저 스파크
를 배워야 합니다.
위 순서에 없는 다른 스킬(힐링 등)
은 순서에 상관없이 배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파크 → 힐링 → 라이트닝 볼트 → 썬더
와 같은 스킬트리는 가능하지만, 썬더 → 스파크
나 라이트닝 볼트 → 스파크 → 힐링 → 썬더
와 같은 스킬트리는 불가능합니다.
선행 스킬 순서 skill과 유저들이 만든 스킬트리1를 담은 배열 skill_tre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가능한 스킬트리 개수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입출력 예
skill | skill_trees | return |
---|---|---|
CBD | ["BACDE", "CBADF", "AECB", "BDA"] | 2 |
입출력 예 설명
나의 풀이
package programmers;
public class SkillTree {
public static int solution(String skill, String[] skill_trees) {
int answer = 0;
for(String skill_tree : skill_trees) {
if(isValid(skill,skill_tree)) {
answer++;
}
}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boolean isValid(String skill, String skill_tree) {
int idx = 0;
for(char c : skill_tree.toCharArray()) {
if(skill.indexOf(c) != -1) {
if(skill.charAt(idx) == c) {
idx++;
}else {
return false;
}
}
}
return tru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kill = "CBD";
String[] skill_trees = {"BACDE", "CBADF", "AECB", "BDA"};
solution(skill, skill_trees);
}
}
📑 문5)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서는 친구가 아닌 사람들과 대화를 할 수 있는데, 본래 닉네임이 아닌 가상의 닉네임을 사용하여 채팅방에 들어갈 수 있다.
신입사원인 김크루는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을 개설한 사람을 위해, 다양한 사람들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지켜볼 수 있는 관리자창을 만들기로 했다. 채팅방에 누군가 들어오면 다음 메시지가 출력된다.
"[닉네임]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에서 누군가 나가면 다음 메시지가 출력된다.
"[닉네임]님이 나갔습니다."
채팅방에서 닉네임을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이다.
닉네임을 변경할 때는 기존에 채팅방에 출력되어 있던 메시지의 닉네임도 전부 변경된다.
예를 들어, 채팅방에 "Muzi"와 "Prodo"라는 닉네임을 사용하는 사람이 순서대로 들어오면 채팅방에는 다음과 같이 메시지가 출력된다.
"Muzi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에 있던 사람이 나가면 채팅방에는 다음과 같이 메시지가 남는다.
"Muzi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Muzi님이 나갔습니다."
Muzi가 나간후 다시 들어올 때, Prodo 라는 닉네임으로 들어올 경우 기존에 채팅방에 남아있던 Muzi도 Prodo로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나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은 중복 닉네임을 허용하기 때문에, 현재 채팅방에는 Prodo라는 닉네임을 사용하는 사람이 두 명이 있다. 이제, 채팅방에 두 번째로 들어왔던 Prodo가 Ryan으로 닉네임을 변경하면 채팅방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Ryan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나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에 들어오고 나가거나, 닉네임을 변경한 기록이 담긴 문자열 배열 recor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기록이 처리된 후, 최종적으로 방을 개설한 사람이 보게 되는 메시지를 문자열 배열 형태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
제한사항
입출력 예
record | result |
---|---|
["Enter uid1234 Muzi", "Enter uid4567 Prodo","Leave uid1234","Enter uid1234 Prodo","Change uid4567 Ryan"] |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Ryan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나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
나의 풀이
package programmers;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List;
public class OpenChatting {
public static String[] solution(String[] records) {
HashMap<String, String> uidToName = new HashMap<>();
List<String> result = new ArrayList<>();
for(String record : records) {
String[] parts = record.split(" ");
String action = parts[0];
String uid = parts[1];
if(!action.equals("Leave")) {
String nickname = parts[2];
uidToName.put(uid, nickname);
}
}
for(String record : records) {
String[] parts = record.split(" ");
String action = parts[0];
String uid = parts[1];
if(action.equals("Enter")) {
result.add(uidToName.get(uid) + "님이 들어왔습니다.");
}else if(action.equals("Leave")) {
result.add(uidToName.get(uid) + "님이 나갔습니다.");
}
}
return result.toArray(new String[0]);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records = {"Enter uid1234 Muzi", "Enter uid4567 Prodo","Leave uid1234","Enter uid1234 Prodo","Change uid4567 Ryan"};
solution(record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