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장3절: 설문지 작성

Johnny Lee·2022년 10월 27일
0

확률과 통계

목록 보기
13/15

6장3절: 설문지 작성

1. 설문지의 의의

• 설문지(questionnaire)

○ 응답자로부터 필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일련의 정형화된 질문
-> 계량적 자료수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자료수집도구
예) IQ검사지, 심리검사설문지 등
-> 조사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설문지 작성을 위해 사전준비 필요

1) 설문지의 상대적 장점

○ 표준화된 자료수집도구인 설문지 이용함으로써 수집자료의 비교가능성과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자료수집 후 수집자료에 대한 분석을 용이하게 함
○ 비교적 객관적이고 솔직한 자료를 입수할 수 있음
○ 응답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응답형태를 사전에 정할 수 있음

2) 설문지의 구성요소

• 조사대상 현상을 구체적인 문항으로 나타내야 함
• 응답자로 하여금 모든 문항에 응답하도록 흥미와 동기를 부여하여야 함
• 응답자의 응답오류를 최소화해야 함
A. 응답자에 대한 협조 요청
B. 응답요령설무문항응답자 분류용 문항
C. 응답자 식별용 정보

2. 설문지 작성과정

○ 설문지작성과정은 순차적이지만 과정을 순행하기도 하고 역행하기도 하는 등, 적지 않은 시행착오를 거쳐서 완성된다고 할 수 있음

1) 수집정보의 결정

• 설문지를 통해 수집할 정보는 무엇인지 결정하는 과정
-> 결국 어떠한 현상들간의 관계를 연구하려는 가에 대한 결정을 내리고 이러한 ㅅ현상을 개념적으로 그리고 조작적을 ㅗ잘 정의한 다음, 이러한 조작적 정의를 기초로 구체적인 설무문항을 작성
•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하려는 개념들을 결정하고, 또 이러한 개념들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결정이 설문지의 작성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이미 이루어져야 함.

2) 자료수집방법의 결정

○ 설문지를 이용해서 자료를 수집하되, 어떠한 방법으로 수집할 것인가를 구체적으로 결정
->면접설문법, 우현설문법, 전화설문법, 전자설문법의 장단점 고려
설문지를 통해 수집할 수 있는 정보의 양, 설문지의 형태, 질문방식 등이 달라짐

3) 개별문항의 내용결정

○ 연구대상 개념을 대변하는 개별적인 문항들을 결정
1. 꼭 필요한 문항인가?
->연구자는 "이 문항이 꼭 필요한 것인지 또 이 문항에 대한 응답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 자문 필요
2. 복수의 문항이 필요하지는 않은가?
->여러 가지 정보를 하나의 묺앙을 통해 수집해야 한다고 것은 아님

4) 응답능력과 응답의도를 고려한 문항설계

  1. 응답능력을 고려한 문항작성
    • 응답자가 필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가?
    • 응답자는 알고 있는 정보를 기억하는가?
    • 응답자가 그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가?
    1. 응답의도를 고려한 문항적성
    • 응답에 필요한 노력의 정도응답자가 느끼는 문항의 적절성 여부
    • 응답자가 느끼는 문항의 적절성 여부
    • 민감한 정보

5) 질문형태의 결정

-> 개별문항별 질문/응답의 형태 결정 필요
-> 자유응답형 혹은 선택형?
• 선택형 질문
다지선다형과 양자택일형으로 구분
• 자유응답형 질문
=공개적 질문(open-ended question)
1. 자유응답형 질문
○ 응답의 형태에 ㅓㄴ형 제약을 가하지 않은 질문형태
• 장점
○ 다양한 응답을 얻을 수 있음
○ 기대하지 않았던 정보도 발견 가능
• 단점
○ 자료수집이 완료되어 응답을 실제로 검토하고 걱 응답유형마다 수를 부여하기 전까지는 어떠한 통계분석도 할 수 없다는 점
2. 다지선다형 질문
○ 응답자가 응답할 수 있는 응답범주를 몇 가지로 제약하는 방법
• 제시된 응답범주는 응답가능한 모든 경우를 포괄해야 함
• 응답범주간에 중복되는 내용을 가지고 있으면 안됨
• 장점
○ 쉽게 응답할 수 있다는 점
○ 통계분석시 편리
• 단점
○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

  1. 양자택일형 질문
    • 장점
    ○ 다지선다형 질문보다 응답이 더 쉬움
    ○ 응답에 대한 수의 부여와 추후 통계분석이 다지선다형 질문보다 더 용이
    • 단점
    ○ 두 개의 극단적인 응답범주만을 제시하고 이 중 하나만을 선택하게 함으로써, 중간수준의 응답을 원하는 응답자도 양극단의 의견을 표시해야 하므로 현실을 적절히 반영하지 않는 측정치가 얻어지게 될 가능성

6) 개별문항의 표현 완성

○ 개별문항의 구체적인 표현을 완성하는 것

  1. 쉬운 단어의 사용
    1. 명확한 단어의 사용
    2. 유도성 질문사용금지
    3. 응답이 곤란한 질문은 간접 질문으로 변형

7) 문항의 순서결정

• 기초정보,분류정보, 그리고 식별정보순으로 문항구성
• 기초정보와 관련해서 쉬운 질문이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질문을 앞에 배치하고 어려운 질문은 뒤로 배치
• 기초정보와 관련해서 조사대상 현상과 관련한 일반적인 질문을 먼저 배치하고 특수한 질문은 나중에 배치

8) 설문지의 외형결정

○ 동일한 문항내용과 순서를 가진 설문지라도 설문지의 외형이 어떻게 구성되었는가에 따라 응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9) 예비 설문조사

○ 이상의 과정을 거쳐 설문지 초안이 완성되면 일단의 가상적인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예비 설문조사를 실시
-> 연구자의 의도와는 다른 응답 혹은 반응을 확인
-> 오류의 수정 후 본조사를 위한 최종적인 설문지가 완성됨

profile
You can always be bett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