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새로 수집하는 자료
○ 다른 목적의 연구를 위해 기존에 이미 수집된 모든 자료
-> 2차자료를 이용하여 탐색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연구문제를 명확히 정의한 후 필요시 1차 자료 수집을 통한 가설검정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연구과정
• 연구자가 소속된 조직내에 존재하는지 여부 기준
-> 내부자료 vs. 외부자료
• 외부자료
○ 공표자료와 전문서비스기업자료
• 공표자료
○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자료
○ 정부자료+비정부자료
• 정부자료
○ 통계청,재경부,산자부,건교부,한국은행(엄밀한 의미로 행정부에 속하지 않음), 금융감독원 등의 정부기관
• Computer database
○ 각종 directory, 통계자료, 조사연구 등
• 상업용자료
○ 조사전문기업에서 주로 기업고객들을 대상으로 소비자, 유통기관 및 산업관련 각종 자료를 수집해서 제공하는 2차 자료
• 계량적 자료(quantitative data)
○ 현상을 계량적인 의미를 가지는 부호, 즉 수로 측정한 자료
• 질적 자료
○ 비계량적인 부호로 측정한 ㅏ료
• 의사소통법(communication method)
○ 조사하려고 하는 사회현상의 속성을 보유하고 있는 조사대상에 대한 의사소통이 수반되는 자료수집방법
• 관찰법
○ 사소통이 수반되지 않는 자료수집방법
-> 일반적으로 관찰법만을 사용한 조사연구는 매우 희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