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을 이용한 자료정리

lakebear·2023년 3월 19일
0
post-thumbnail

시각적, 직관적

막대그래프
질적자료에서 각 범주의 도수를 막대 모양으로 나타낸 그림
-수직 막대그래프:막대 세로
-수평 막대그래프:막대 가로

🌟히스토그램
양적자료의 도수분포표에서 계급국나을 밑변으로 하고, 계급의 도수를 높이로 하는 직사각형을 좌표평명에 차례로 나타낸 그래프

계급간격, 막대수

막대그래프와 히스토그램 차이점
첫 번째, 표현하고자 하는 자료의 종류
수치형(양적): 히스토그럄
질적: 막대그래프
두 번째, 그리는 방법

도수분포다각형
히스토그램에서 각 계급구간의 개급값의 빈도수를 직선으로 연결하여 그린 그림
-도수분포다각형은 히스토그램에서 각 직사각형의 윗변의 중점, 즉 각 계급의 계급값에 해당하는 도수를 선분으로 연결하고, 양끝은 도수가 0인 계급을 하나씩 추가하여 그 중점을 연결하여 그린 그래프

원그래프
원을 계급의 수나 자료의 범주 수만큼 파이 모양의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 표현한 그림을 원그래프(pie chart)
-(부채꼴의 중심각)=360도X(상대도수)

줄기-잎 그림(stem-and-leaf plot)
어떤 자료에 대해 큰 수의 자리값은 줄기에, 작은 수의 자리값은 잎에 서서 나타낸 그림
-자료의 분포 형태를 쉽게 파악하면서도 각 관측값을 알 수 있는 그림

줄기-잎 그림 작성 순서
❶줄기와 잎을 구분한다.이때 변동이 적은 부분을 줄기, 변동이 많은 부분을 잎으로 지정한다.
❷줄기 부분은 작은 수부터 순서대로 정리한다.
❸잎 부분의 관측값을 작은 수부터 순서대로 정리한다.
❹전체 자료의 중앙에 높이는 관측값이 있는 행의 맨 앞에 괄호를 만들고, 괄호 안에 그 행의 잎의 수(도수)를 기입한다.
❺괄호가 있는 행을 중심으로 괄호와 동일한 열에 누적도수를 위와 아래 방향에 각각 기입하고, 최소 단위와 전체 자료의 수를 기입한다.

꺾은선그래프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양을 점으로 찍고 그 점을 선분으로 연결하여 나타낸 그림
-2개 이상의 자료 집단을 범쥐에 따라 비교할때
(막대그래프: 막대 수가 많아져서 그림이 복잡하다. )
-시간의 경과에 따라 연속으로 관측된 자료 추이 나타낼 때 많이 사용
-수직축(y축)의 척도 간격에 따라 그래프 모양이 달라 보일 수 있다.

시계열 데이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연속으로 관측된 데이터에 대하여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한 데이터를

엑셀
-차트디자인-데이터선택-가로(항목)축 레이블 편집-축서식
-ctrl+v:차트요소테이블레이블 범례
-옵션-분석도구-축-데이터-도구기능
줄기-잎
REFP COUNTIF

=REPT("0", COUNTIF(B$2:B51,E5*10+0))&REPT("1", COUNTIF(B2:2:B51,E5*10+1))&REPT("2", COUNTIF(B2:2:B51,E5*10+2))&REPT("3", COUNTIF(B2:2:B51,E5*10+3))&REPT("4", COUNTIF(B2:2:B51,E5*10+4))&REPT("5", COUNTIF(B2:2:B51,E5*10+5))&REPT("6", COUNTIF(B2:2:B51,E5*10+6))&REPT("7", COUNTIF(B2:2:B51,E5*10+7))&REPT("8", COUNTIF(B2:2:B51,E5*10+8))&REPT("9", COUNTIF(B2:2:B$51,E5*10+9))

🌟시험-표 해석

profile
https://lakedata.tistory.com 블로그 이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