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 문제 링크
문제 분석
- 로또 6/45(이하 '로또'로 표기)는 1부터 45까지의 숫자 중 6개를 찍어서 맞히는 대표적인 복권이다. 아래는 로또의 순위를 정하는 방식이다.
순위 | 당첨 내용 |
---|
1 | 6개 번호가 모두 일치 |
2 | 5개 번호가 일치 |
3 | 4개 번호가 일치 |
4 | 3개 번호가 일치 |
5 | 2개 번호가 일치 |
6(낙첨) | 그 외 |
- 로또를 구매한 민우는 당첨 번호 발표일을 학수고대하고 있었다. 하지만, 민우의 동생이 로또에 낙서를 하여, 일부 번호를 알아볼 수 없게 되었다. 당첨 번호 발표 후, 민우는 자신이 구매했던 로또로 당첨이 가능했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를 알아보고 싶어 졌다. 알아볼 수 없는 번호를 0으로 표기하기로 하고, 민우가 구매한 로또 번호 6개가 44, 1, 0, 0, 31 25라고 가정해보자. 당첨 번호 6개가 31, 10, 45, 1, 6, 19라면, 당첨 가능한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의 한 예는 아래와 같다.
당첨 번호 | 31 | 10 | 45 | 1 | 6 | 19 | 결과 |
---|
최고 순위 번호 | 31 | 0->10 | 44 | 1 | 0->6 | 25 | 4개 번호 일치, 3등 |
최저 순위 번호 | 31 | 0->11 | 44 | 1 | 0->7 | 25 | 2개 번호 일치, 5등 |
- 순서와 상관없이, 구매한 로또에 당첨 번호와 일치하는 번호가 있으면 맞힌 걸로 인정된다.
- 알아볼 수 없는 두 개의 번호를 각각 10, 6이라고 가정하면 3등에 당첨될 수 있다.
- 3등을 만드는 다른 방법들도 존재한다. 하지만, 2등 이상으로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 알아볼 수 없는 두 개의 번호를 각각 11, 7이라고 가정하면 5등에 당첨될 수 있다.
- 5등을 만드는 다른 방법들도 존재한다. 하지만, 6등(낙첨)으로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 민우가 구매한 로또 번호를 담은 배열 lottos, 당첨 번호를 담은 배열 win_nums가 매개변수로 주어진다. 이때, 당첨 가능한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를 차례대로 배열에 담아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
- lottos는 길이 6인 정수 배열이다.
- lottos의 모든 원소는 0 이상 45 이하인 정수이다.
- 0은 알아볼 수 없는 숫자를 의미한다.
- 0을 제외한 다른 숫자들은 lottos에 2개 이상 담겨있지 않다.
- lottos의 원소들은 정렬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 win_nums은 길이 6인 정수 배열이다.
- win_nums의 모든 원소는 1 이상 45 이하인 정수이다.
- win_nums에는 같은 숫자가 2개 이상 담겨있지 않다.
- win_nums의 원소들은 정렬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 배열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할 것 이므로 algorithm 헤더를 include
-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를 계산할 정수형 함수 ranking을 초기화하고 정수 score를 매개변수로 받음. 7에서 score를 뺀 값이 7이라면 낙첨이므로 최저 순위인 6을, 이외의 경우에는 7에서 score를 뺀값을 return
- 당첨 가능한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를 저장할 정수형 벡터 answer, 배열 lottos내 0의 개수를 저장할 정수형 변수 zero와 lottos와 win_nums의 같은 숫자의 개수를 저장할 same을 0으로 초기화
- sort() 함수를 사용하여 lottos의 원소를 오름차순으로 정렬. for loop를 통해 lottos의 첫번째부터 마지막 원소까지 순회하고, if문을 사용하여 원소가 0일경우 zero를 1씩 늘림. 또 다른 2중 for loop를 사용하여 외부 loop는 배열 lottos를(0은 순회가 불필요 하므로 zero의 위치부터), 내부 loop는 배열 win_nums를 순회. if문을 사용하여 두 원소가 같다면 same을 1씩 늘리고, 내부 loop 탈출을 반복. 모든 loop 탈출 후, 앞서 선언한 ranking() 함수를 사용하여 same + zero와 same을 매개변수로 한 결과값을 answer에 순서대로 저장. 최종적으로 저장된 answer을 return
풀이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int ranking(int score) {
if(7 - score == 7) return 6;
else return 7 - score;
}
vector<int> solution(vector<int> lottos, vector<int> win_nums) {
vector<int> answer;
int zero = 0, same = 0;
sort(lottos.begin(), lottos.end());
for(int i = 0; i < lottos.size(); ++i) {
if(lottos[i] == 0) zero++;
}
for(int i = zero; i < lottos.size(); ++i) {
for(int j = 0; j < win_nums.size(); ++j) {
if(lottos[i] == win_nums[j]) {
same++;
break;
}
}
}
answer.push_back(ranking(same + zero));
answer.push_back(ranking(same));
return answ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