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axios만 단독으로 사용해오다가, 리액트쿼리의 장점을 경험해보기위해 이번 RN 프로젝트에 적용해보기로 하였다. 리액트쿼리 버전은 v5를 이용했고, 실행환경은 expo다. 설치 및 환경설정 Fetch - useQuery Update - useMutation
최근에 타입스크립트를 공부하면서 데코레이터에 대해 배웠는데, 요즘 리액트에서 데코레이터를 사용하는 것을 거의 못본 것 같아 리액트에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알아보았다.
채우기 색은 color prop으로, 기타 스타일은 style prop으로 한다.
프로필 편집 기능을 구현하다가 컴포넌트 내에 선언된 useState와 일반 const 변수의 행동 차이를 유의미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글에서 NFC를 탭하면 블록체인 지갑을 만들어주는 기능에 대해 글을 썼었다.그런데 하나의 훅에 너무 많은 기능이 들어있어 리팩토링을 진행했다.NFC 기능은 useNfc라는 hook으로 다시 만들고 매개변수에 nfc가 감지되면 실행할 함수를 넣도록 했다.아래처럼 us
캐시에는 항상 위계가 있다.CDN은 캐시 서버를 구성하는 물리/논리적 방법에 대한 이야기HTTP Cache-Control은 개별 HTTP 요청의 캐싱 정책을 다룸HTTP 캐시 위계 중 서버와 브라우저 사이에 위치한다.CDN이 주든, Origin 서버가 주든 관계 없이
HTTP 1.1 - 인터넷 연결을 위한 TCP application protocol - request-response 모델 : 하나의 request이 발생하면 response가 나가고 연결이 끝남 - Text 기반 Protocol : 어떤 프로토콜은 바이너리 형식
자바스크립트(타입스크립트) 코드를 짜다가 함수가 선언되기도 전에 호출해도 코드가 정상작동 되는 것에 대해 의문을 품게 되었는데, 이것이 자바스크립트의 호이스팅이라는 특성 때문인 것을 알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