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마스터 2급 2차 #2

김나윤·2024년 5월 27일
0
post-thumbnail

2과목 Summary

1. SaaS / IaaS / DaaS / PaaS

aaS => as a Service
S => Software
P => Platfrom
I => Infrastructure

  • 1) SaaS (Software as a Service, 소프트웨어 기반 서비스) : 클라우드 환경에서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들을 서비스
  • 2)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인프라 기반 서비스) : 서버와 스토리지 같은 IT 하드웨어 자원을 빌려주는 클라우드 서비스
  • 3) DaaS : 사용자에게 가상화된 데스크톱을 아웃소싱 형태로 전달하는 서비스
  • 4) PaaS (Platform as a Service, 플랫폼 기반 서비스) :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cf.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이용자의 설정이 많은 순서
I 인프라부터 구축 > P 인프라는 구축되어 있고 플랫폼 설정 > S 소프트웨어 설정


IP

1) IPv4 A/B/C 클래스

  • A : 0.0.0.0 ~ 127.255.255.255 (loopback 네트워크 포함)
  • B : 128.0.0.0 ~ 191.255.255.255
  • C : 192.0.0.0 ~ 223.255.255.255 (256개)

2) IPv4 / IPv6
32bit / 128bit
ip 지정 / ip 지정불가
기본기능 / 확장기능


LAN 통합 통신장비

  • 리피터 : 전송신호 증폭, 재생하여 전달(OSI1)
  • 브리지 : 두 개의 근거리통신망(LAN)을 상호 접속해 주는 연결장치(OSI2)
  • 라우터 : LAN을 연결해주는 장치 / 가장 적절한 통신 통로를 이용(OSI3)
  • 게이트웨이 : 프로토콜이 다른 통신망을 상호접속하기 위한 장치(OSI4)

OSI 7계층

1) 물리계층

  • 네트워크의 전기적, 물리적 연결 담당
  • 관련장비 : 허브, 리피터

2) 데이터 링크 계층

  • 신호 충돌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회선 제어 기능
  • 오류검출, 오류제어
  • 각 노드는 식별가능한 MAC 주소를 가짐
  • 2개의 노드가 직접 연결되어 있을 때, 프레임단위 데이터 전송
  • 관련장비 : 브리지, 스위치

3) 네트워크 계층

  • 노드 간 경로를 설정하는 라우팅 기능
  •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분할, 논리주소를 설정해 전송
  • 관련장비 : 라우터

4) 전송 계층

  • 송수신 프로세스 연결 제공
  • 신뢰성 있는 통신 도움
  • 주소 및 포트지정, 연결제어, 오류복구, 흐름제어
  • TCP/IP

5) 세션 계층

  • 세션 설정 및 유지, 동기, 대화 기능
  • 노드 간 메세지 단위로 데이터 전송

6) 표현 계층

  • 송수신자가 동일한 표현 방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기능 제공
  • 데이터 암호화와 해독, 압축 해제 기능 제공

7) 응용 계층

  • 사용자에게 편리한 응용 환경 제공
  • SMTP, FTF, HTTP 등

. 서버 가상화

1) KVM

  • 전가상화 기술 지원
  • 커널 기반 가상 머신
  • QEMU 라는 CPU 에뮬레이터 사용
  • 전용 하이퍼 바이저가 아닌 Linux 자체를 호스트 OS로 이용

2) XEN

  • 전가상화 기술과 반가상화 기술 모두 지원
  • 베어메탈 방식의 하이퍼 바이저이므로 호스트 OS가 존재하지 않음
  • Domain 0 이라는 특수한 Domain이 존재, 각 도메인을 제어함

3) VirtualBox

  • 이노테크(InnoTek)가 개발
  • 현재는 오라클이 개발 중인 상용, 사유 소프트웨어 (제한된 GPL 버전)
  • 가상머신 생성시 기본 확장자 : vdi

. 클러스터링

1) HPC cluster (고계산용, High Performance Computing)

  • 베어울프(Beowulf) 클러스터'라고도 함
  • 슈퍼컴퓨터, 과학 계산용으로 활용
  • 표준 컴퓨팅 자원(일반 PC등)을 사용하여 구축 가능한 고성능 컴퓨터 클러스터

2) HA cluster (고가용성, High Availability)

  • 연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사용
  • 부하 분산기와 백업 서버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통신하며 이상 유무 점검

3) LVS cluster (Linux Virtual Server cluster, 부하분산)

  • 로드밸런서
  • 대규모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
  • 여러 개의 서버가 부하 분산기에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함

LAN Ethernet, token ring, FDDI
MAN DQDB
WAN 회선교환망 PPP, HDLC
패킷교환망 X.25, ATM, Frame-Realy
VMWare - VMDK


국제기구

1) ICANN (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 인터넷의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 할당을 관리함
  •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 주소의 안정적인 운영을 책임짐
  • IP주소 할당 및 도메인

2)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 전기공학과 전자공학 분야의 정문가 단체
  • 다양한 기술 표준을 개발하고 발표
  • LAN, MAN

3)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표준을 개발하는 비정부 기구
  •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표준을 만듦
  • OSI 7계층

4) EIA

  • T568B 케이블 배열 표준화 기구

5) IANA

  • 인터넷 주소 할당 번호 관리기관

6) TIA (Telecommunications Industry Association)

  • 통신 분야의 기업들이 모여 있는 협회
  • 통신 관련 장비와 서비스에 대한 표준을 개발함

편집기

1) 편집기 개발자

  • vi : 빌(vi) 조이
  • emacs : 리(e)처드 스톨만 (강제 종료 : Ctrl+x -> Ctrl+c)
  • vim : 브람(m) 브레나르
  • IDLE : 귀도 반 로섬
  • nano : 크리스 알레그레타

2) vi 편집기

  • 가장 많이 쓰이는 편집기로써 1976년 빌 조이가 만듦
  • a 커서 뒤부터 입력
  • A 줄의 마지막에 입력
  • i 현재 문자 앞에 입력
  • I 줄의 시작 부분에 입력
  • o 현재 줄 다음 줄에 입력
  • O 커서가 있는 줄 위에 입력
  • :% s/^linux/Linux/ : 파일 전체의 linux로 시작하는 줄을 Linux로 치환 (줄의 첫부분)
  • set nu : 숫자 표기
  • set ai : 위 줄과 같은 열에 커서 지정

3) vim

  • 편집시 다양한 색상을 이용하여 가시성을 높일 수 있음

4) emacs

  • [Ctrl]+[x] - [Ctrl]+[s] : 파일 저장
  • [Ctrl]+[x] - [s] : 현재 열려있는 버퍼 저장
  • [Ctrl]+[b] : 이전(뒤) 칸으로 이동
  • [Ctrl]+[f] : 다음(앞) 칸으로 이동
  • [Ctrl]+[p] : 이전 줄로 이동
  • [Ctrl]+[n] : 다음 줄로 이동
  • [Ctrl]+[a] : 줄의 시작으로 이동
  • [Ctrl]+[e] : 줄의 끝으로 이동

5) nano

  • GNU 프로젝트
  • Ctrl + A 줄의 처음으로 이동
  • Ctrl + E 줄의 끝으로 이동 (End)
  • Ctrl + P 커서를 윗줄로 이동 (Previous)
  • Ctrl + N 커서를 아랫줄로 이동 (Next)
  • Ctrl + Y 이전 페이지로 이동
  • Ctrl + V 다음 페이지로 이동
  • Ctrl + K 한줄 삭제 (Kill)
  • Ctrl + U 붙여넣기
  • Ctrl + O 저장
  • Ctrl + X 종료

6) crontab

  • 0 7 1 1-10/2 * /bin/vipcheck.sh
  • 매년 1월부터 10월까지 두달 주기로 1일날 오전7시 /bin/vipcheck.sh 스크립트를 실행 [분 시 일 월 요일]

참고 사이트

https://velog.io/@sionyy/%EB%A6%AC%EB%88%85%EC%8A%A4%EB%A7%88%EC%8A%A4%ED%84%B0-2%EA%B8%89-2%EC%B0%A8%EC%8B%9C%ED%97%98-%EC%9A%94%EC%95%BD#%EB%A6%AC%EB%88%85%EC%8A%A4-%ED%88%B4-%E2%98%85%E2%98%85%E2%98%85%E2%98%85

profile
Hello, world!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