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P] 네이버 클라우드 자격증 Pro

김나윤·2025년 2월 4일
0

1. Naver Cloud Platform Certified Professional

https://edu.ncloud.com/CERTI


2. 공부 방법

NCP 시험 접수 https://edu.ncloud.com/mypage/techExam/apply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사용 가이드 https://guide.ncloud-docs.com/docs/home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소개 https://www.ncloud.com/product

NCP 시험 후기 블로그 https://brunch.co.kr/@topasvga/3483
NCP 200 https://quizlet.com/kr/872983984/ncp-200-flash-cards/
NCP 202 https://quizlet.com/kr/918875419/ncp-202-flash-cards/
NCP 207

문제별로 같은 문제지만 답이 다른 경우도 많음 + 퀴즐렛 답이 정확하지 않다는 다른 블로그 글들 을 참고해 정답이 의심되는 문제는 ChatGPT를 이용해 답과 풀이를 찾아보며 공부했다.

1) NCP 200

응시일: 25/02/04 14:00
공부양: NCP 200 퀴즐렛 3회 풀기 + 1시간 30분 개념정리

* Block Storage

  • 빠르게 생성하여 사용하고 반납하는 효율적인 스토리지
  • 추가 스토리지 크기 변경 가능
  • 목적별 스토리지 종류 선택 가능
    HDD 타입 : 가격↓
    SSD 타입 : 빠른 데이터 처리를 위한 고성능 Input/Output이 필요한 서비스에 적합, 1GB당 40 MAX IOPS 보장
  • 스냅샷 기능 제공
  • 기본 스토리지(== root 볼륨)의 디스크 타입과 무관하게 추가 스토리지는 HDD/SSD 모든 타입 볼륨 할당 가능
  • 기본 OS 영역 스토리지 => 리눅스 50GB / 윈도우 100GB
  • 2000GB 이상은 => 리눅스: LVM 사용 / 윈도우: 동적 디스크 할당
  • 1대 VM은 최대 16개 볼륨 추가 가능 (OS 영역 1개 포함)
  • 볼륨용량 : 10GB ~ 2000GB
  • VM 셧다운 상태(중지) 또는 VM 운영 중일 경우 VM 내부에서 볼륨 Unmount 상태에서만 볼륨 해제 가능
  • 볼륨 업사이징 가능, 다운 사이징 불가능
  • zone 간 스토리지 팜이 분리되어 다른 zone 간 공유는 불가능 => 스냅샷 기능을 이용해 해결

* Init Script

  • 서버 생성시 OS 설치 후 스크립트를 통해 원하는 기능 수행
  • 서버 생성시 초기 1회에 한해 실행 (서버 재부팅 등 작업시에는 동작X)
    - 리눅스는 node.js 지원X
  • 리눅스 : Shell, python, perl 스크립트 가능 / 윈도우 : Visual Basic(VB) 스크립트 가능(PowerShell X)

* Bare Metal Server 베어메탈 서버

  • 가상화 되지 않은 고성능의 물리 서버를 클라우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 일반 클라우드 서버처럼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다양한 서비스와 연동 가능,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와도 연동 가능 (단, 내 서버 이미지, 스냅샷, 추가 스토리지 기능 연동X)
  • 가상화 위한 하이퍼바이저OS X
  • 운영체제 : CentOS, Oracle Linux, Windows 2012 R2, Windows 2016... (Ubuntu OS X)
  • Bare Metal Server의 물리적 디스크를 최대 5개의 논리적 파티션으로 나누어 사용 가능(각 파티션 최소 50GB 이상 볼륨)
    (단, Bare Metal Server(GPU A100) 는 파일 시스템 파티션 기능 제공X)
  • 외부 사설망과 통신 하려면, 공인IP를 할당할 수 있도록 Public Subnet에 배치
  • 로컬 디스크 추가 및 서버 스펙 변경 불가
  • CLI & API 제공 (Classic 환경 한정)
  • Live Migration 지원X

* RAID

  • RAID 0 : 스트라이프, 순차적으로 데이터 저장, 디스크 페일시 데이터 유실, 높은 성능, 최소 2개 디스크 필요
  • RAID 1 : 미러링, 가용량 절반, 비용증가, 복원용이, 읽기 성능 향상
  • RAID 5 : 스트라이프, 패리티 정보 가지고 복구 가능, 일반적으로 사용, 웹 서비스와 같은 일반 애플리케이션에 적합
  • RAID 1+0 : 데이터 미러링 + 스트라이프, 최소 4개 디스크 필요, DBMS용과 같은 높은 성능과 안정성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

* Auto Scaling 오토 스케일링

  • 사전 설정에 따라 서버 수를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서비스
  • 한국, 미국, 싱가포르, 일본, 독일 지원
  • Auto Scaling Group당 생성 가능한 최대 서버 수: 30
    cf.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한 계정당 생성할 수 있는 최대 서버 수 50대
  • 총 디스크 크기 150GB 이하 서버만 사용 가능
  • Windows OS는 2012/2016만 지원 + 모든 리눅스
  • Micro 서버 사용X
  • 내 서버 이미지의 경우 10G NAS로 이전 후 생성된 내 서버 이미지에서만 생성 가능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CLI로 제어 가능
  • 스케일 인 대상 VM에 대한 사용자 지정 가능
  • 로드 밸런서와 연동 가능 (오토 스케일링을 통해 스케일 아웃되는 VM들은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로드밸런서 상품과 연동 가능)

* Kubernetes

  • 사용자는 Kubernetes 클러스터 내 Master 서버에 접근 불가능
    (대신 kubectl 사용해 클러스터 관리 및 제어)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NAS와 연동X
  • public subnet, private subnet 모두 배치 가능
  • Kubernetes Ingress를 Application 로드밸런서 상품에 연동 가능

* NAS

  • 다수의 서버를 네트워크에 연결해 사용할 수 있는 스토리지
  • NAS 볼륨 최소 500GB ~ 최대 20TB 생성가능 (여러 개 볼륨 생성도 가능)
    !!NAS 볼륨 최대 20TB로 변경되었다고 시험 시작 전에 채팅으로 알려주심 + 시험출제!!
  • 사용자가 생성한 NAS 볼륨 용량 내에 원하는 만큼 스냅샷 설정 가능
  • 제공 리전: 한국, 미국, 싱가포르, 일본, 독일
  • 리눅스 서버(NFS 프로토콜 기반)과 Windows서버(IFS 프로토콜 기반) 모두 마운트 가능
  • 특정 시점에 생성된 스냅샷으로 복구하면 해당 스냅샷 이후 생성된 모든 스냅샷은 삭제됨
  • 스냅샷이 여러 개 생성되어 설정한 스냅샷 용량을 초과하면 가장 오래된 스냅샷부터 삭제
    스냅샷: 고객이 설정한 NAS 볼륨 데이터 중에 변경하였거나 삭제한 데이터를 설정한 용량 내에서 백업 및 복구하는 기능 / 스토리지 단위로 생성, 볼륨 대상, 스냅샷 이미지를 통해 신규 볼륨 생성 가능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내에서 생성한 서버에서만 마운트 가능

* 내 서버 이미지

  • 서버 스펙 변경 : 동일한 서버 타입에 한 해 CPU, Memory 스펙 변경 가능
    -반드시 정지된 상태에서 변경
    -다른 타입으로 변경하는 경우, 내 서버 이미지를 생성해 해당 이미지로 다른 타입의 서버 생성
  • 내 서버 이미지 생성 == 서버의 현재 상태를 이미지로 생성
    -운영 중인 상태에서 내 서버 이미지 생성 가능
    => Classic 환경: 서버가 정지 중인 상태에서만 / VPC 환경: 서버가 운영 중인 상태에서도 생성 가능
  • 타 리전에 서버 생성시에는 먼저 대상 리전으로 복제
  • 추가 스토리지까지 이미지로 생성 가능
  • 내 서버 이미지는 서버 단위 스냅샷, 스냅샷은 스토리지 단위 스냅샷이다.
  • 내 서버 이미지는 VM 대상

* ACG (Access Control Group)

  • IP 기반 필터링 기능으로 서버로의 네트워크 접근을 관리하는 서비스
  • 클라우드 서비스로 제공되는 IP/폰트 기반 필터링 방화벽
  • Classic 환경: 1개 계정에 최대 100개 ACG / 최대 50개 워커노드 생성가능 / 1개 ACG에 최대 100개 규칙 / 운영 중인 서버에 추가로 ACG 적용X
    VPC 환경: 1개 계정에 최대 500개 ACG / 최대 100대 워커노드 생성가능 / Inbound + Outbound에 대한 ACG 설정가능 / ACG는 서버에 할당된 이후 언제든 룰 수정가능 / 1개 ACG에 최대 50개 규칙
  • 서버 일관적 적용 가능
  • 인바운드 트래픽을 허용하는 규칙만 설정 (아웃바운드 트래픽 설정X)
  • ACG 개체와 다른 ACG 개체 간 네트워크 접근 제어가능
  • ACG는 화이트 리스트 기반으로 동작하는 접근제어도구 => 거부규칙(deny rule) 설정X
  • TCP, UDP, ICMP 에 적용가능 (단, ICMP Type 제외)
  • 서버의 단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에는 최대 5개의 ACG 매핑 가능

* Docker

  • docker run : 도커 이미지를 바탕으로 컨테이너 생성
  • docker push : Container Registry 이용시 이미지를 업로드

* 하이퍼바이저

* 기타

  • 서버에서 기본 스토리지의 Device명은? => /dev/xvda
  • 리눅스에서 HTTPD 서버의 로그파일 위치는 어디인가? (단, 패키지로 설치시) => /var/log/httpd

2) NCP 202

응시일: 25/03/04
공부양: 퀴즐렛 3회독 + 4시간 개념정리

NCP 202 퀴즐렛 문제 정리

3) NCP 207

등시일: 25/03/04
공부양: 퀴즐렛 3회독 + 2시간 30분 개념정리

NCP 207 퀴즐렛 문제 정리

profile
Hello, world!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