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티 알아보기

칼든개구리·2024년 10월 1일
0

개발 방법론

일반적인 콘텐츠 제작 프로세스에서 첫번째 단계인 제안 기획 단계에서 개발 진행에 대한 여부를 검토한 후, 프로토타이핑을 통해 제안 기획의 내용을 검증합니다. 결과가 긍정적일 경우, 본격적인 프로젝트 진행에 착수하고 단계별 개발 일정을 산출한 후 상용화에 따른 알파와 베타 검증 과정을 통해 시장에 출시됩니다.
콘텐츠는 이와 같은 복잡한 프로세스를 거쳐 시장에 출시되는데, 콘텐츠의 품질도 중요하지만 개발에 따르는 비용도 중요합니다.


초기 기획자가 기획을 완성한 후 기획서를 아트와 프로그래머에게 전달하고 아트의 리소스를 제작한 뒤 프로그래머가 작업하는 구조였기 때문에 많은 문제를 야기했습니다. 과거 개발 방식의 큰 문제는 기획자로부터 출발해 프로그래머에게 전달되는 순차적인 개발 방법입니다. 최종 결과물이 프로그래머로부터 나오는 형태이고, 다른 직군의 결과물과 수정 요구를 프로그래머가 반영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프로젝트 막바지에 이르면 프로그래머의 업무 부하가 발생합니다. 프로그램 직군뿐 아니라 프로젝트 진행 초기에는 기획 직군의 업무에 부담이 가중되고, 기획 완료 이후에 아트의 업무 부담이 순차적으로 발생합니다. 총 제작 기간의 초기의 기획자 업무 부담, 중기의 아트의 업무 부담, 말기의 프로그래머 업무 부담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비효율적인 부분이 많았습니다.


효율적인 개발을 위해서 위와 같이 프로젝트 제작 기간 동안의 업무가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분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각 직군별 결과물 확인 및 적용이 타 직군에 의존적이지 않고 독립된 형태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는 결과물의 퀄리티 상승과 더불어 개발 기간의 단축으로 인한 제작비 부담 감소로 이어져 효율적인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직군의 구분과 이해

-PD, Director, PM
PD는 콘텐츠의 전체 방향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영화에 비유하면 영화감독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담당하는 직군이다. 콘첸츠의 방향을 결정할 뿐 아니라 비즈니스 모델(BM), 인력 배분, 개발 계획 수립, 자금 및 수입 관리 및 감독에 대한 책임도 있다. 영화 제작에 있어 영화감독과 더불어 각각 직군별 역할을 담당하는 책임자가 있는데, 카메라 감독, 조명 감독, 무술 감독, 디자인 감독 등은 해당 직군에서 방향을 결정하고 책임 및 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콘텐츠 제작에서도 이에 해당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을 디렉터라고 합니다. 다른 말로 파트장이라고 하며 여러 파트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밖에도 프로젝트 일정과 팀원 간의 의사결정을 조율하는 PM(Project Manager)이 있습니다.

-기획
기획자는 콘텐츠의 설계도를 만드는 사람입니다. 기획 업무도 이야기를 구성하는 시나리오 기획, 콘텐츠가 어떻게 구성되고 진행되는지에 대한 시스템 기획, 콘텐츠의 내용에 대한 콘텐츠 기획, 전체 기능의 밸런스를 위한 레벨 디자인 기획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프로그램
프로그래머는 기획의 결과물인 설계도와 아트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실제 동작하는 콘텐츠를 구현하는 직군입니다. 프로그래머는 크게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나눌 수 있는데, 클라이언트는 동작의 핵심인 엔젠, 콘텐츠 제작에 도움을 주는 저작도구 개발, 이야기를 구성하거나 기획자의 작업에 도움을 주는 스크립터,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위한 UI작업으로 구분되고, 서버는 사용자간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와 사용자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DB, 해킹 위험으로부터 방어하는 보안작업으로 구분됩니다.

-아트
아트는 콘텐츠의 디자인 관련 요소를 만드는 직군입니다. 콘첸트 디자인 영역별로 배경, 원화, 이펙트, 애니메이션, 텍스처 등으로 구분해 담당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콘텐츠 제작에서 유니티를 활용함에 따라 TA(Technical Artist)라는 직군이 생겼으며 콘텐츠의 품질을 위해 아트와 기술이 합쳐진 직군이 생겼습니다.

profile
메타쏭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