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팩터링 2판 정리 - 조건부 로직 간소화(10)

초보개발자·2022년 3월 26일
0

리팩터링

목록 보기
11/13

1. 조건문 분해하기

  • 복잡한 조건부 로직은 프로그램을 복잡하게 만드는 가장 흔한 원흉에 속한다.
  • 긴 함수는 그 자체로 읽기가 어렵지만, 조건문은 그 어려움을 한층 가중시킨다.
  • 거대한 코드 블록이 주어지면 코드를 부위벼롤 분해한 다음 해체된 코드 덩어리들을 각 덩어리의 의도를 살린 이름의 함수 호출로 바꿔주자. 그러면 전체적인 의도가 더 확실히 드러난다.

절차

  1. 조건식과 그 조건식에 딸린 조건절 각각을 함수로 추출한다.

2. 조건식 통합하기

  • 비교하는 조건은 다르지만 그 결과로 수행하는 동작은 똑같은 코드들이 더러 있는데, 어차피 같은 일을 할 거라면 조건 검사도 하나로 통합하는 게 낫다.
  • 조건부 코드를 통합하는 게 중요한 이유는 두가지다.
  • 첫째, 여러 조각으로 나뉜 조건들을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내가 하려는 일이 더 명확해진다.
  • 두번째, 이 작업이 함수 추출하기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절차

  1. 해당 조건식들 모두에 부수효과가 없는지 확인한다.
  2. 조건문 두 개를 선택하여 두 조건문의 조건식들을 논리 연산자로 결합한다.
  3. 테스트한다.
  4. 조건이 하나만 남을 때까지 2~3 과정을 반복한다.
  5. 하나로 합쳐진 조건식을 함수로 추출할지 고려해본다.

3. 중첩 조건문을 보호 구문으로 바꾸기

  • 조건문은 주로 두 가지 형태로 쓰인다. 참인 경로와 거짓인 경로 모두 정상 동작으로 이어지는 형태와, 한쪽만 정상인 형태다.
  • 두 형태는 의도하는 바가 서로 다르므로 그 의도가 코드에 드러나아 한다.
  • 두 경로 모두 정상 동작이라면 if와 else절 사용, 한쪽만 정상이라면 비정상 조건을 if에서 검사한 다음, 조건이 참이면 함수에서 빠져나온다. 두 번째 검사 형태를 흔히 보호 구문이라고 한다.
  • 중첩 조건문을 보호 구문으로 바꾸기 리팩터링의 핵심은 의도를 부각하는 데 있다.
  • 코드에서는 명확함이 핵심이다.

절차

  1. 교체해야할 조건 중 가장 바깥 것을 선택하여 보호 구문으로 바꾼다.
  2. 테스트한다.
  3. 1~2 과정을 필요한 만큼 반복한다.
  4. 모든 보호 구문이 같은 결과를 반환한다면 보호 구문들의 조건식을 통합한다.

4. 조건부 로직을 다형성으로 바꾸기

  • 클래스와 다형성을 이용하면 복잡한 조건부 로직을 확실하게 분리할 수도 있다.

절차

  1. 다형적 동작을 표현하는 클래스들이 아직 없다면 만들어준다. 이왕이면 적합한 인스턴스를 알아서 만들어 반환하는 팩터리 함수도 함께 만든다.
  2. 호출하는 코드에서 팩터리 함수를 사용하게 한다.
  3. 조건부 로직 함수를 슈퍼클래스로 옮긴다.
  4. 서브클래스 중 하나를 선택한다. 서브클래스에서 슈퍼클래스의 조건부 로직 메서드를 오버라이드한다. 조건부 문장 중 선택된 서브클래스에 해당하는 조건절을 서브클래스 메서드로 복사한 다음 적절히 수정한다.
  5. 같은 방식으로 각 조건절을 해당 서브클래스에서 메서드로 구현한다.
  6. 슈퍼클래스 메서드에는 기본 동족 부분만 남긴다. 혹은 슈퍼클래스가 추상 클래스여야 한다면, 이 메서드를 추상으로 선언하거나 서브클래스에서 처리해야 함을 알리는 에러를 던진다.

5. 특이 케이스 추가하기

  • 코드베이스에서 특정 값에 대해 똑같이 반응하는 코드가 여러 곳이라면 그 반응들을 한 데로 모으는게 효율적이다.
  • 특이 케이스 객체는 이를 캡슐화한 클래스가 반환하도록 만들 수도 있고, 변환을 거쳐 데이터 구조에 추가시키는 형태도 될 수 있다.

절차

  1. 컨테이너에 특이 케이스인지를 검사하는 속성을 추가하고, false를 반환하게 한다.
  2. 특이 케이스 객체를 만든다. 이 객체는 특이 케이스인지를 검사하는 속성만 포함이며, 이 속성은 true를 반환하게 한다.
  3. 클라이언트에서 특이 케이스인지를 검사하는 코드를 함수로 추출한다. 모든 클라이언트가 값을 직접 비교하는 대신 방금 추출한 함수를 사용하도록 고친다.
  4. 코드에 새로운 특이 케이스 대상을 추가한다. 함수의 반환 값으로 받거나 변환 함수를 적용하면 된다.
  5. 특이 케이스를 검사하는 함수 본문을 수정하여 특이 케이스 객체의 속성을 사용하도록 한다.
  6. 테스트한다.
  7. 여러 함수를 클래스로 묶기나 여러 함수를 변환 함수로 묶기를 적용하여 특이 케이스를 처리하는 공통 동작을 새로운 요소로 옮긴다.
  8. 아직도 특이 케이스 검사 함수를 이용하는 곳이 남아 있다면 검사 함수를 인라인한다.

6. 어서션 추가하기

  • 특정 조건이 참일 때만 제대로 동작하는 코드 영역이 있을 수 있다. 객체로 눈을 돌리면 여러 필드 중 최소 하나에는 값이 들어 있어야 동작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 이런 가정이 코드에 항상 명시적으로 기술되어 있지는 않아서 알고리즘을 보고 연역해서 알아내야 할 때도 있다. 주석에라도 적혀 있다면 그나마 형편이 좀 낫다. 더 나은 방법은 어서션을 이용해서 코드 자체에 삽입해놓은 것이다.
  • 어서션은 항상 참이라고 가정하느 ㄴ조건부 문장으로, 어서션이 실패했다는 건 프로그래머가 잘 못했다는 뜻이다.
  • 어서션 실패는 시스템의 다른 부분에서는 절대 검서하지 않아야 하며, 어서션이 있고 없고가 프로그램 기능의 정상 동작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도록 작성돼야 한다.
  • 테스트 코드가 있다면 어서션의 디버깅 용도로서의 효용은 줄어든다.
  • 단위 테스트를 꾸준히 추가하여 사각을 좁히면 어서션보다 나을 때가 많다. 하지만 소통 측면에서는 어서션이 여전히 매력적이다.
  • 어서션은 오류의 출처를 특정하기 어려울 때 특히 제값을 한다.
  • 어서션은 반드시 참이어야 하는 것만 검사한다.
  • 프로그래머가 일으킬만한 오류에만 어서션을 사용한다. 데이터를 외부에서 읽어온다면 그 값을 검사하는 작업은 가정이 아니라 프로그램 로직의 일부로 다뤄야 한다.

절차

  1. 참이라고 가정하는 조건이 보이면 그 조건을 명시하는 어서션을 추가한다.

7. 제어 플래그를 탈출문으로 바꾸기

  • 제어 플래그란 코드의 동작을 변경하는 데 사용되는 변수를 말하며, 어딘가에서 값을 계산해 제어 플래그에 설정한 후 다른 어딘가의 조건문에서 검사하는 형태로 쓰인다. 나는 이런 코드를 항상 악취로 본다.
  • 제어 플래그의 주 서식지는 반복문 안이다. brake문이나 continue문 활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 심언호기도 하고, 함수의 return문을 하나로 유지하고자 노력하는 사람이 심기도 한다.

절차

  1. 제어 플래그를 사용하는 코드를 함수로 추출할지 고려한다.
  2. 제어 플래그를 갱신하는 코드 각각을 적절한 제어문으로 바꾼다. 하나 바꿀 때마다 테스트한다.
  3. 모두 수정했다면 제어 플래그를 제거한다.

출처
리팩터링 2판

profile
주니어 개발자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