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근이는 요즘 설탕공장에서 설탕을 배달하고 있다. 상근이는 지금 사탕가게에 설탕을 정확하게 N킬로그램을 배달해야 한다. 설탕공장에서 만드는 설탕은 봉지에 담겨져 있다. 봉지는 3킬로그램 봉지와 5킬로그램 봉지가 있다.
상근이는 귀찮기 때문에, 최대한 적은 봉지를 들고 가려고 한다. 예를 들어, 18킬로그램 설탕을 배달해야 할 때, 3킬로그램 봉지 6개를 가져가도 되지만, 5킬로그램 3개와 3킬로그램 1개를 배달하면, 더 적은 개수의 봉지를 배달할 수 있다.
상근이가 설탕을 정확하게 N킬로그램 배달해야 할 때, 봉지 몇 개를 가져가면 되는지 그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잠깐 !!! - 이 문제 푸는데가지 하루 걸렸어요 ㅎㅎㅎ
여기서 제 시간을 많이 잡았던 이유는 문제집에서 (적은) 봉지라는 단어를 (작은) 봉지라고 이했던 것이 였습니다.
문제 알고리즘 구현:
코드
n = int(input()) # 설탕 양 입력
count = 0 # 봉지에 개수를 담을 변수
# n > 0 까지 while 문으로 들어가고
while n > 0:
if n % 5 == 0: # 만약 나머지가 0이면
count = count + ( n // 5 ) # count 몫만큰 증가
break # 반복문을 빠져 나감 (남는 n의 없기 때문에)
else:
n = n - 3 # 남은 설탕 수
count = count + 1 # count 1증가
if n < 0: # 만약 n는 0부터 작으면 -1 출력 (밑에 설명을 참고하시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print(-1)
else: # 아니면 봉지수를 출력
print(count)
어려웠던 점:
정확하게 N킬로그램을 만들 수 없다면 -1을 출력한다.
입력이 4가 들어오면 else 부분에서 4에서 3을 뺀 값을 1이에기 때문에 한번도 돌고 1에서 3을 한번도 빼고 count 가 증가 하고 2 가 되기 때문에 조금 막힌 것 같습니다.
if n < 0: # 만약 n는 0부터 작으면 -1 출력
print(-1)
else: # 아니면 봉지수를 출력
print(count)
결론
print(count,n) # 출력 부분에서 n 찍어 보고 -2가 나온 것을 확인을 한 다음에 우리가 음수 가 나오면 -1 출력 해야돤다라는 생각을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