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공부 - 원자재이론

고독한 키쓰차·2023년 11월 1일
0

배터리 공부

목록 보기
7/7

양극

  • 리튬 전이금속 화합물
  • 용량, 안전성
  • LCO, NCM, NCA, LMO, LFP
  • 가격이 가장 큰 비중 (재료비와 공정비가 싸져야함)
  • 활물질(입자)
  • 도전재(Carbon)
  •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를 잘 섞어서 (Slurry)를 집전체(호일) 위에 잘 깔고
    말리면 젤리튜브가 됨
  • 에너지(일을 할 수 있는 능력, capacity * voltage)을 저장해야함
  • 무게당 용량도 크고 부피당 에너지가 커야함, 전압이 높아야함
  • 활물질의 특징: 리튬(충전시 음극으로 이동), 메탈(충전시 음극으로 전자 제공), 음이온(전이금속 M과 결합하여 구조를 형성)
  • LiCoO2 (코발트)
  • LiNiO2 (니켈) 니켈이 더 안정성이 크지만, 합성이 어렵고 구조의 불안정성이 있음
  • 코발트 사용량을 줄이고 니켈로 대체하면 가격절감 및 고용량화, 하지만 단독으론 힘들어서 Ni+Co+Mn or Al으로 대체, 니켈의 함량이 높아지면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
  • 코발트를 아예 쓰지말고 Mn, Fe(망간, 철)로 대체해보자 (중대형 중심)
  • NCA: high energy density, Co -> Al로 대체
  • NCM/NMC : Co -> Ni 함량을 높여서 대체
  • LMO: low cost, high safety, Li, Mg, Al등을 Mn으로 치환
  • LFP: high safety & low cost, 높은 안전성, 낮은 원재료비, but 전압이 낮음

음극

  • 흑연(, 용량, 수명
  • 반응 전압이 낮을수록 좋음
  • 리튬이 들어오면 부피 변화가 크기 때문에 변화가 없는 물질이 필요
  • Coulombic률이 좋아야함
  • 가격이 저렴하고 친환경이 필요함
  • 활물질 + 도전재 + 바인더 + 집전체
  • 흑연계 (인조흑연, 천연흑연) 압도적으로 99% 많음
  • 합금계(실리콘) 합금화 반응을 통하여 전하 저장(but, 수명이 적음, 현재 연구중)
  • 흑연 자체가 전도성이 좋아서 도전제가 필요 없음
  • 흑연(graphene): 전기 전도성 및 기계적 강도 우수, 리튬 저장 용이, 낮은 가격과 화학적 안정성
  • 인조흑연: 제조 비용이 천연흑연보다 높음, 싸이클 고성능 좋고 부피 변화가 낮음,but 천연흑연은 비용이 낮고 high capacity
  • SBR/CMC(부피 변화 해소) 적용으로 천연흑연이 많이 사용됨 (소형 전지)
  • 탄소계: Soft carbon(코크스): 2000도 이상에서 열처리로 흑연에 가까워짐, Hard carbon: 고온의 열처리에도 흑연화가 되지 않음
  • SEI: 전해액 분해를 통해 만들어진 피막으로 추가적인 전해질 분해 억제, 비가역 용량(초기에 필요함 피막을 생성하기 위해)

분리막

  • 두 전극간의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고 이온 전달의 통로를 제공 -> 안전성
  • 폴리올레핀계
  • 열정 안전성: PE, PP 같은 경우 고온에서 녹아버림 -> PET, PVDF
  • 전고체 배터리를 위해 Polymer electrolytes
  • 주로 사용하는 소재: Microporous separator
  • 열 수축 억제, PE/PP 위에 세라믹 코팅
  • SRS: 세라믹 코팅된 SRS 분리막 적용

전해액

  • 유기 용매(물의 전기화학적 안정성) -> 금속 케이스
  • 안전성, 신뢰성
  • polymer 전해질(GPE, SPE(고체)) -> LiPB -> 파우치 사용
  • 요구사항: 이온이 잘 이동할 수 있도록, 전해액이 분해되지 않도록
  • 유기전해액: Salt(LiPF6-> 음극쪽 피막 형성 잘함) + Solvent(EC, PC)
  • 리튬염 쓰는 이유: 양이온과 음이온의 사이즈가 커서 더 좋음, 음이온이 큰게 전도가 더 증가됨, 운반율이 더 큼
profile
Data Scientist or Gourmet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