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시대에 살아남는 IT지식(2)

장우솔·2023년 1월 3일
2

book

목록 보기
2/5

삶에 관한 정보

생활요소

차 : 자율주행차

집 : 사물인터넷 예를 들어 집에 사물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있으면 공간이 스마트해짐

냉장고 - 냉장고에 넣은 오래된 것 버릴 수도 있지만 고성능 컴퓨터를 탑재하여 냉장고 내부에 몇 가지 센서를 부착하고 스마트폰과 연동한다면? 오래된 음식에 대한 경고를 알람으로 받을 수도 있다.

집의 모든 기기가 연결되어 있다면? - 스마트폰이 방안에서 울리고 있을 때 가장 가까운 기기를 찾아 화면에 스마트폰 연락 알림을 대신 전달받을 수도 있다.

인공지능 스피커 - 집에 도착해 사람이 행동을 하면 귀가한 것을 파악할 수 있고 사람의 행동패턴을 학습해 집이 알아서 사람에게 맞춰 말을 제시하고 행동하는 스마트 홈이 될 수 있다.

스마트 제조

산업 전반에 높은 수익을 가져다 줄 뿐만 아니라 다품종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제조과정이 유연해지면 고객 입맛에 맞는 상품을 생ㅅ안하기 좋아진다.

스마트 건설

드론 같은 장비로 사람에게 위험한 지역을 대신해서 원격으로 조종해서 건설현장을 스마트하게 관리할 수 있다.

건설 과정을 유기적으로 연결 - 빌딩 정보 모델링(BIM)은 단순히 디지털 설계도를 만들고 다루는 것이 아니라 건설 과정 전체에서 필요한 정보를 누구나 접속해서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디지털에 꾸린다. 이를 통해 전체 건설 과정을 총괄하기 좋아진다. 이를 위해선 각 부문 협력이 필요하다.

스마트 그리드

전력과 같은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소부터 에너지를 사용하는 곳까지 연결하는 전체 망

냉난방 많이 가동되는 시간대에 전력 생산량을 자동으로 늘릴 수 있다.

컴퓨팅

  • 클라우드 컴퓨팅 : 인터넷을 통해 다른 곳에 있는 컴퓨터 성능과 저장공간을 빌리는 개념

  • 포그 컴퓨팅 : 클라우드와 본사와 분점 같은 관계. 사람이 몰려서 클라우드 컴퓨팅 사용이 어려우면 신속히 처리해서 회신해줄 성능과 저장공간을 갖춘 것

  • 엣지 컴퓨팅 : 각종 가전기기를 포함한 제조품들이 직접 컴퓨팅하는 것.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고객이 제품을 사용하는 시간, 방법을 기록하고 인터넷을 통해 본사에 기록을 보낸다. 그럼 본사는 이를 분석해 해당 제품에 결과를 다시 내보내고 제품은 이 결과를 토대로 고객에게 알맞는 작동 방식을 택한다.

증강현실

현실세계의 모습 일부 또는 전부에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정보를 덧씌우는 기술. 이 기술을 통해 또 하나의 세계를 구축한다면, 그것이 증강현실 메타버스다.

라이프 로깅

SNS 올리는 행위, 운동 애플리케이션에서 거리, 위치, 심박수 기록해주는 것도 라이프 로깅 서비스이다.











나의 관한 정보

멀티팩터 인증

다양한 부문의 사실을 확인해서 우리가 자심임을 인증해주는 기술. - 암호화보다 보안에 더 높은 효과를 발휘. 중요한 정보를 사용하는 서비스일수록 멀티팩터 인증을 사용할 수 밖에 업음

‘서로 다른 수단’을 통한 인증

  1. 지식 : 예시) 비밀번호
  2. 소유 : 예시) 스마트폰, 비밀번호 카드, 통장 내용 등
  3. 속성 : 예시) 홍채, 지문인식 등

마이 데이터

기업의 것인 줄 알았던 정보들이 사실은 개인들의 것이었고, 개인들이 활용하기 편하게 만들어줘야한다는 인식이 자라났다. 자신의 권리를 찾기 시작했으며 정보를 다루는 기업들은 그에 대응해야만 했다.

영향을 준 요인

  • GDPR

EU에서 2016년 일반 정보에 대한 보호법을 공개했다. 사람들이 인터넷 환경에서 회원가입 하거나, 나의 정보를 업로드하며 사용하는 서비스는 사용자가 원할 때 언제든 그 정보가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한 확ㅇ니, 정보 수정 및 삭제까지 용이하게 만들어야한다는 법

이로 인해 계정 정보 수정 및 삭제 절차가 잘 정리되어 있다.

  • PSD2

2018 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할 때 지불하는 서비스에 대한 지침

자산의 관한 정보는 개인의 것이므로 개인이 원한다면 얼마든지 다른 은행, 서비스에서도 은행이 저장하고 있는 이 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해줘야한다. 이것을 가능하게 해준 지침!

탈중앙화 신원증명

어떤 사실을 증명하는 문서가 더이상 물리적으로만 발행될 필요가 없다.

신분증, 백신 접종 증명서 등 위조 증명서가 많은데 이를 블록체인을 통해 스마트폰에 있는 실제 소유자, 상태 그리고 이 스마트폰에 있는 것이 맞는지 확인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실제로 한국에서 나중에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신분증명 방식을 백신 증명서 시스템에 도입하게 된다.

이때 앱에 본인인증을 하고 접종이력이 저장되어있는 분산화 데이터베이스-블록체인에 요청해 당사자의 백신접종 이력을 불러왔다. 타인에게 접종이력을 증명하기 위한 화면으로 QR코드가 생성된다.

profile
공부한 것들을 정리하는 블로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