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티란?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특성이 유사한 것끼리 모아놓은 집합 판단기준: 관리하고자 하는 데이터인가?설계 목적 : 업무에 필요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구성요소 : 인스턴스, 속성, 식별자기본 개념인스턴스(집합의 원소) : 실제
업무 요건에 필요한 속성을 묶어서 엔터티를 설계하는 것그렇다면 유사한 속성을 묶는 방법은? -> 함수종속함수 종속의 결정자와 종속자결정자(식별자) : 속성 간의 종속성을 분석할 때 기준이 되는 값 종속자(비식별자) : 결정자의 값에 의해 정해질 수 있는 값\-> 함수
이력데이터란?원천 데이터가 변경되기 전 과거 데이터, 원천 데이터에 종속되어있다. (변경이력,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필요성 : 과거 상태를 추적할 필요가 있기 때문기준 : 주 식별자에 종속된 속성값이 바뀌면 이력 데이터가 생긴다.Ex) 주문 수량이나 배송지를 수정한다고
속성이란?데이터를 저장하는 가장 작은, 독립된 저장 단위\-> 속성의 쓰임새를 알려면 속성의 종류을 알아야한다. 이를 통해 속성이 무엇인지 상세하게 알 수 있다.속성의 분류법식별자(Key) 속성 & 비식별자(Non-Key) 속성원본 & 추출속성기초 속성 & 관계 속성
유사한 성격의 데이터를 합치는 것 (데이터를 일반화한다.)데이터 통합은 정규화를 기반으로 이뤄져야 한다. \-> 동질성을 판단하려면 데이터 성격을 규정해야 하고, 정규화를 통해 속성과 엔터티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선행돼야 한다. 비정규형은 중복 데이터를 채택한 모델이므
관계란?두 개 이상의 엔터티 간에 존재하는 연관성단, 논리적인 연관성이 있어야하고, 바로 상위 관계여야한다. (논리적 연관성을 물리적으로 구현한 것이 “참조 무결성 제약”이다)관계는 속성의 일부이다. = 실체가 존재한다 = 조인도 양쪽 속성이 존재해야 가능하다 관계선은
인덱스란?데이터베이스의 검색속도 향상을 위해 유지, 관리하는 자료구조컬럼의 값과 해당 레코드가 저장된 주소를 키와 값의 쌍으로 삼아 인덱스를 만든다.Ex) 책의 색인, 위치를 가리키는 지표인덱스의 사용 목적조건을 만족하는 튜플을 빠르게 조회하기 위해 사용하는 쿼리에 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