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lazy"

Jiwon Hwang·2025년 4월 16일
0

html

목록 보기
7/7
<img src="/img.jpg" alt="" loading="lazy">

🔧 loading="lazy"의 의미와 용도 (코딩 관점에서)

HTML 속성인 loading="lazy"는 이미지나 iframe 같은 요소가 페이지에 바로 표시되지 않을 경우, 실제로 필요해질 때까지 로딩을 지연시키는 기능입니다.
이를 "지연 로딩(lazy loading)"이라고 해요.


✅ 어떤 상황에 쓰이나요?

예를 들어, 웹 페이지에 이미지가 여러 개 있을 때, 맨 아래쪽에 있는 이미지는 처음부터 로딩할 필요가 없겠죠?
이럴 때 loading="lazy"를 사용하면 스크롤을 내려서 그 이미지가 화면에 나타나기 전까지는 브라우저가 다운로드하지 않아요.

이렇게 하면:

  • 페이지 속도가 빨라지고
  • 트래픽도 절약되며
  • 사용자 경험이 개선됩니다.

🖼️ 예제 코드

<img src="example.jpg" alt="설명 텍스트" loading="lazy">

📌 다른 옵션도 있어요

  • loading="eager": 바로 로딩 (기본값)
  • loading="lazy": 지연 로딩
  • loading="auto": 브라우저가 판단

💡 요약

loading="lazy"이미지나 콘텐츠를 늦게 로딩시켜 성능을 최적화하는 HTML 속성입니다.
특히 이미지가 많은 페이지에서 꼭 써보는 걸 추천드려요!

profile
Web Publish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