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나서 반가워 터미널" 아이펠_온라인4기_4일차

Joonlaxy·2023년 4월 27일
0

오늘로써 아이펠 온라인 4기 4일차..

📣 Teacher 그루분들 Student그루를 알려주세요!
"야호!"

안녕! 검은 화면

우분투 터미널

검은 창에 텍스트 커서가 깜빡이고만 있다..

이제 이곳에서 타이핑만으로 모든 임무를 수행해야 하는데, 친해지기 위해 배운 명령어들과 내가 찾아본 명령어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이거 참... "익숙해지면 마우스는 필요 없을지도?"

현재 나는 어디에 있을까?

명령어 pwd

"pwd" 이 세글자만 입력하면 나의 위치를 알려준다.

그렇다면 내가 갈 수 있는 길(폴더)는 몇 갈래로 나뉠까?

명령어 ls

명령어 ls로 내 현 위치에 "aiffel"로 가는 길(폴더or파일)와 "data"로 가는 두 갈래 길(폴더or파일)이 있음이 보여진다.
이 도착지가 폴더인지 파일인지 확인하는 방법은

3
2
1
.
.
.

ls -l

ls 명령어 뒤에 추가 명령을 더해주어 자세히 확인 할 수 있다.

ls -al


숨은 친구들까지 확인해 보았다.

print(출력)된 내용은 총 8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각 구성 그룹을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1번 그룹 : 첫번째 글자로 파일인지, 폴더인지, 링크(바로가기)인지 디바이스(장치)인지 나뉜다.

2번 그룹 : 두번째 글자부터 열번째 글자까지로 여기서 또 세 가지 소 항목으로 나뉜다.
소유자 항목, 그룹 항목, 기타 사용자 항목으로 나뉜다.

"rwxr-xr-x " 지금이 의미는 내가 소유자로 접속했다면 읽고 쓰고 실행까지 할 수 있다. 그런데 소유자가 아닌 그룹에 속한 사용자라면 읽고 실행은 할 수 있지만 쓰지는 못한다. 마지막 이 그룹에 속하지 않은 기타 사용자 또한 읽고 실행은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P.S 읽기=실행, 쓰기=저장 이라고 이해하였음

3번 그룹은 링크 수

4번 그룹은 소유권을 가진 사용자의 이름

5번 그룹은 소유권을 가진 사용자의 그룹 이름

6번 그룹은 용량이며 단위는 비트(bit)이며 가능이 어려울 경우 사람이 읽을 수 있는 human readlbe의 약자 h를 추가로 입력하면 된다.

7번 그룹은 마지막 수정 일자이며 쓰기(저장)될 경우 이 일자가 갱신될 것이다.

8번 그룹은 이름이다.

명령어 ls -al -h

6번 그룹의 용량은 비트 단위로 표현되기에 우리가 매번 계산기로 나누기를 할 수 없지 않겠는가? 사람이 읽기 편한 human readable 명령어 -h를 통해 쉽게 볼 수 있다.

생성과 이동 그리고 소멸..

거창한 소제목과 다르게 주제는 폴더의 생성 폴더 이동, 복사, 삭제 정도의 간단한 내용이다. 만약 Windows 혹은 MacOS였다면 우클릭을 통해 직박구리 폴더 정도는 손쉽게 만들었을테고 Drag&Drop을 통해 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 기록에 남기지 않았을텐데... 이 터미널에서는 모든지 타이핑으로 해야하고 평생의 컴퓨터 사용 습관과 다르게 익숙치 않아 기록을 남긴다.

명령어 mkdir

폴더를 생성 하는 make directory 명령어.

[상황1] 폴더 하나
현 위치에서 폴더를 하나 생성할 경우

폴더 생성 전

폴더 생성

# mkdir my_first_dir

폴더 생성 후

현 위치에 my_first_dir 이라는 폴더(direcotry)가 생성됐다.

[상황2] 폴더 속 폴더 속 폴더

# mkdir -p grandma/mama/me

현 위치에서 grandma라는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mama라는 폴더를 만들고 또 그 안에 me라는 폴더를 만들었다.

명령어 mv

폴더를 이동시키는 move 명령어이며 Windows의 잘라내기 기능을 생각하면 동작과 같다.

명령어 rm

폴더를 삭제(소멸)시키는 remove 명령어

명령어 cp

폴더를 복사하는 copy 명령어.

profile
Come in here

0개의 댓글